[전체] “이계동”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4)
사전(27)
- 이계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50(세종 32)∼1506(중종 1). 조선 중기의 무신. [개설] 본관은 평창(平昌). 자는 자준(子俊). 1470년(성종 1) 무과에 장원으로 급제해 훈련원판관에 임명되었다. 1476년 무과 중시에 급제해 종친부전첨(宗親府典籤)이...이칭별칭 자준(子俊)| 헌무(憲武)
- 이계동(李季仝)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6684 인물 이계동(李季仝) 이계동 李季仝 1450 1506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평창(平昌). 자는 자준(子俊). 1470년 무과에 장원으로 급제해 훈련원판관에 임명되었다. 1476년 무과 중시에 급제하여유형분류인물
- 李瓊仝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0005 李瓊仝 인물 完山, 平昌 文挺, 光廟, 任士洪, 士洪, 南孝溫, 昭陵, 李季仝, 憲武 D_01_01_03 대동운부군옥 1권 1장 3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권 1장 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김일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사(擒制使) 이계동(李季仝)의 군사를 격파하였다. 수안군수 김귀정(金貴汀)과 많은 군사를 죽여 한때 세력이 컸으나 여러 차례의 싸움과 굶주림과 추위에 못 이겨 잡혀죽었다. 이 싸움에 공을 세운 박산(朴山) 등은 승진하였고, 그에게 항복한 이극검은 파면되었다. ...
- 조지서(趙之瑞)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급제하하였다. 1479년 일본과의 화친을 끊지 말라는 신숙주(申叔舟)의 유언을 옳게 여긴 성종의 뜻을 받들어 정사 이형원(李亨元), 부사 이계동(李季仝), 서장관(書狀官) 김흔(金訢) 등이 일본에 파견되었을 때, 군관(軍官)으로서 부사 이계동을 배행하였다. 그러나 쓰...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71)
- 1849년 이계동(李啓東) 준호구(準戶口)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신안 우이도출장소
- 1843년 이계동(李啓東) 준호구(準戶口)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신안 우이도출장소
- 1846년 이계동(李啓東) 준호구(準戶口)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신안 우이도출장소
- 1831년 이계동(李啓東) 준호구(準戶口)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신안 우이도출장소
- 1822년 이계동(李啓東) 준호구(準戶口)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전라도 나주목 우이도의 경주이씨 이계동가계의 호적자료이다. 우이도는 지금의 신안군 도초면 우이도리인데, 현재 이계동의 후손은 섬에 살지 않는다. 후손이 섬을 떠나면서 남겨진 자료가 우이도출장소의 창고에 방치되었고, 최근에 이를 한 직원이 수습하여 신안군청에 정리를 의...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신안 우이도출장소
신문·잡지(6)
- 本人이桂洞米廛李景化處陰曆廿五日推次...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本人이桂洞米廛李景化處陰曆廿五日推次當錢壹萬兩於音一片路中遺失얏스니誰某拾得야도休紙施行홈 忠남洪州金洞居 尹泰翊 告白게재일1907년 1월 18일 | 기사분류광고
- 본인이南門內水閣橋李先達啓賢處에질五千...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본인이南門內水閣橋李先達啓賢處에질五千兩於音一片을遺失엿스니누구던지拾得셔도休紙施行시오 李桂童 告白게재일1901년 6월 18일 | 기사분류광고
- 치문경훈주(緇門警訓註) 27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卷下 21.4x31.1 續集 第18張: 歲次戊寅季冬湖南道海南地頭輪山大興寺開刊 秉節校尉行龍驤衛副司果金熙采謹書 H8, p.552. 전남 담양 용흥사 동국대 ABC사업단 전체 제공 1. 卷下末(第77張): '吳城西幻住庵比丘 永中謹識'의 識語가 있음...대표표제어치문경훈주(緇門警訓註) 27 | 대표서명緇門警訓註 | 한글서명치문경훈주 | 서지형태형태서지
- 치문경훈주(緇門警訓註) 2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卷下 21.4x31.1 刊記(續集 第18張): 歲次戊寅季冬湖南道海南地頭輪山大興寺開刊...金熙采謹書 1. 卷下末(第77張)에 '吳城西幻住庵比丘 永中謹識'의 識語가 있음 2. 續集 제15, 16張 墨書 筆寫 補入 3. 續集 제18장 左面에 金熙采가 쓴...대표표제어치문경훈주(緇門警訓註) 22 | 대표서명緇門警訓註 | 한글서명치문경훈주 | 서지형태형태서지
- 새한민보_1947_01_0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샬 구주경제재건안에 대한 일고찰 이계동 28 해방후 금융정세의 추이 백두진 30 국민경제건설과 광공생산편성방향 (3) 임문환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7
주제어사전(2)
-
이계동 / 李季仝 [역사/조선시대사]
1450(세종 32)∼1506(중종 1). 조선 중기의 무신. 1470년(성종 1) 무과에 장원으로 급제해 훈련원판관에 임명되었다. 1476년 무과 중시에 급제해 종친부전첨, 창성부사, 동부승지, 형조참판, 선전관, 함경도절도사, 경기도관찰사, 병조판서 등을 역임하였
-
비융사 / 備戎司 [정치·법제/법제·행정]
갑의 생산을 관장하게 하였는데 도제조·제조는 각각 영의정 한치형과 병조판서 이계동이 겸직하였다. 그전에는 무비에 힘쓰지 않아 군사들이 두꺼운 종이나 가죽으로 갑옷을 만들어 입었으나 비융사가 설치된 뒤로는 철갑옷이 본격적으로 생산되어 널리 보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