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경휘” 에 대한 검색결과 6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1)

사전(2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集)』 (1617-1669) 1617(광해군 9)∼1669(현종 10). 조선 후기의 문신. 글씨는 ≪근묵≫에서.
    이칭별칭 여하(汝夏)| 풍계(楓溪)|춘전거사(春田居士)|익헌(翼憲)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문신 한국 조선 인조~현종 이현숙 이범직 2014 군미(君美) 묵호(默好), 춘전(春田) 익헌(翼憲) 양반 남자 1617년(광해군 9) 2월 7일 1669년(현...
  • 윤형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파직상소 사건 때에는 ()ㆍ유상운(柳尙運)과 함께 삼간(三奸)의 한 사람으로 불린 일도 있었다. 그 뒤 1672년 세자시강원문학이 되고, 뒤에 필선ㆍ보덕ㆍ사예ㆍ예빈시정ㆍ함평현감ㆍ삼척부사를 역임하고 옥천군수를 거쳐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랐다. 1674...
    이칭별칭 경임(景任)| 기기재(棄棄齋)
  • 이인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33(인조 11)∼1699(숙종 25).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문백(文伯), 호는 생곡(生谷). 대건(大建)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판서 시발(時發)이고, 아버지는 경휘(慶徽)이며, 어머니는 심대복(沈...
    이칭별칭 문백(文伯)| 생곡(生谷)
  • 승적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잘 지냄. 就審邇間 政履勝迪 慰浣何極, (), 49-338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32)

  • 2_036235 18262_0212 奎18262 明禮宮(1707) 황해도 연안현 西面 황해도 연안현 西面 50 50결 () ()
    자료번호18262_0212 [奎18262]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2_036291 18262_0263 奎18262 明禮宮(1707) 황해도 연안현 西面 황해도 연안현 西面 79 79결 () ()
    자료번호18262_0263 [奎18262]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威逼之阨 一 【糾差嚇捉,七命投淵,根由竊禾,實因自溺】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nk?DCI=ITKC_MP_0597A_1410_030_0090_2015_031_XML 031 載寧民,威逼崔召史,母子七人致死。○査官報狀曰:“之於崔召史,爲五寸叔姪之親。而乃因數束之滯穗,遂冒一室之惡名,忍能對面,謂之...
    권차명欽欽新書 卷七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13128 B013128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顯宗 2年 1月 21日_006 ○, 以備邊司言啓曰, 缺邑江都·南漢移轉穀物捧未捧開缺, 今已累日, 時無發落, 而正月將盡缺之請相繼, 而京官未反庫之前, 不可缺來稟於本司矣。 當此飢民望哺之日, 缺過時可慮, 敢此申稟。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3132 B013132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顯宗 2年 1月 21日_010 ○, 以備邊司言啓曰, 本司郞廳校理金宇亨, 發送畿邑, 捧留缺反庫事草記, 答曰, 日子已迫, 分遣兩人缺事, 命下矣。 江都屬十一邑, 則仍以缺發送, 南漢八邑, 則以郞廳兵曹正郞缺發送, 使...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1)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617(광해군 9)∼1669(현종 10). 조선 후기의 문신. 제현 후손, 경윤 증손, 할아버지는 대건, 아버지는 시발, 어머니는 신응구의 딸이다. 1644년(인조 22)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춘추관기사관, 강화유수, 경기감사, 이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 박세모 / 朴世模 [종교·철학/유학]

    원··서필원·이상진 등과 교유하였고, 특히 윤선거와는 우의가 두터웠다.

  • 이인혁 / 李寅爀 [종교·철학/유학]

    1634년(인조 12)∼1710년(숙종 36). 조부는 이시발, 부친은 이다. 1657년(효종 8) 사마시에 합격하여 음직으로 공조좌랑에 제수되었다.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으로 인현왕후가 폐위된 뒤,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였다. 1694년(숙종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