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경전” 에 대한 검색결과 1,30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01)

사전(3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67(명종 22)∼1644(인조 22).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중집(仲集), 호는 석루(石樓). 치(穉)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지번(之蕃)이고, 아버지는 영의정 산해(山海)이며, 어머니는 조언수(趙彦...
    이칭별칭 중집(仲集)| 석루(石樓)
  • 이상홍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하였다. 그 뒤 선조가 의주로 파천하자 영변(寧邊)에서 동궁(東宮 : 세자)이 머물고 있는 이천으로 돌아왔다. 1591년에 이조좌랑으로서 그의 처남인 () 등과 함께 독서당(讀書堂)에 선발되어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였다.
  • 이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00(선조 33)∼1684(숙종 10).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연지(延之), 호는 과암(果菴). 내자시정 지번(之蕃)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영의정(領議政) 이산해(李山海)이고, 아버지는 한평군(韓平君...
    이칭별칭 연지(延之)| 과암(果菴)
  • 설구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男)을 역모죄(逆謀罪)로 처형할 뿐만 아니라 서궁(西宮)을 폐출시키라고 여러 차례 연명(聯名)으로 소를 올렸다. 또 서궁폐출에 대한 회의에 참석하지 않은 대신 박승종(朴承宗)ㆍ()의 탄핵과 유간(柳澗)의 치죄(治罪), 서궁을 폄삭(貶削)하는 절차를 천...
  • 석루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 ()의 시문집. [개설] 4권 4책. 목판본. 아들 무(袤)가 병자호란에 없어지고 남은 원고를 모아 편집, 간행하였다. 권1‧2에는 시, 권3에는 소(疏)‧차(箚)‧제문‧기‧발‧설‧명‧인(引)‧상량문‧서(序)...

고서·고문서(1,267)

  • 인조 연간 () 석루선조필택(石樓先祖筆澤)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예산 한곡 한산이씨 수당 고택
  • 인조 연간 () 석루초연정기(石樓超然亭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기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기 | 현소장처예산 한곡 한산이씨 수당 고택
  • 인조 연간 () 서초당상량문(瑞草堂上樑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경제-토목/건축-상량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상량문 | 현소장처예산 한곡 한산이씨 수당 고택
  • 漢耿弇謝於破齊之日,諭在南陽,首建大策,常以爲落落難合,有志者事竟成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30_0920 漢耿弇謝於破齊之日,諭在南陽,首建大策,常以爲落落難合,有志者事竟成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주역대전 : 해제_51. 오치기(吳致箕)의 「주역경전증해(周增解)」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 58 해제 51. 오치기(吳致箕)의 「주역경전증해(周增解)」 오치기(吳致箕, 1807~?)가 지었다. 오치기의 자는 자범(子範)이고, 본관은 해주(海州)이다. 관직은 1856년에 지방관인 강원도(江原道) 통천군수(通川郡守)에 임명되었다. 부친...
    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기초학문(1)

  • 지능형 에이전트가 인터넷 사업에 미치는 영향: 사업 모형 관점에서의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경전, 게재일 : 2000
    00990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0 지능형 에이전트가 인터넷 사업에 미치는 영향: 사업 모형 관점에서의 분석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
    유형논문 | 게재일2000

신문·잡지(1)

  • 444 김봉훈 평북로동신문사 소비조합 비료 교역 사업은 □도내 방방곡곡에서 전체 농민들의 열성적 참가로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신의주시 소비조합에서는 지난 2월 19일에 예정 계획량 100%를 보장하였으며 21일에는 115.9%로 초...
    대표표제어평북로동신문_1948_0225_04 | 책임주필김봉훈

주제어사전(5)

  • / [종교·철학/유학]

    1567(명종 22)∼1644(인조 22). 조선 중기의 문신. 치 증손, 할아버지는 지번, 아버지는 산해, 어머니는 조언수의 딸이다. 1590년(선조 23)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이듬해 사가독서를 하였다. 예조좌랑, 병조좌랑, 형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 이동근 / 李東根 [종교·철학/유학]

    1644년(인조 22)~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 조부는 이후이다. 부친은 이오빈, 생부는 이인빈이다. 외조부는 정원첨, 동생으로 이효근과 이도근이 있다. 1689년(숙종 15) 증광시 문과에 을과 4위로 급제하였다. 관직은 사간원정언‧사헌부지평‧필선‧

  • 이심전 / 李心傳 [종교·철학/유학]

    1738년(영조 14)∼미상. 조선 후기 문신. 고조는 이중번, 증조는 이태즙, 조부는 이언후. 부친 통정대부 사간원대사간 이성수 모친 한계진의 딸 사이에서 2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동생은 이다. 1771년(영조 47) 식년시에서 생원에 합격하였고 1773년

  • 송도기이 / 松都記異 [문학/한문학]

    씨설(定爲王氏說), 이죽천송도견문후(李竹泉松都見聞後)를 수록하였다. 책 끝에는 신익성(申翊聖)·이식(李植)·() 등의 발문이 있다.

  • 석루집 / 石樓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문신 의 시문집. 4권 4책. 목판본. 아들 무가 병자호란에 없어지고 남은 원고를 모아 편집, 간행하였다. 권1·2에는 시, 권3에는 소·차·제문·기·발·설·명·인·상량문·서·책, 권4에는 부록이 수록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보아 시가 가장 많은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