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경윤”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2)
사전(36)
- 이경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g-yun(Burglind Jangmann, 三佛金元龍敎授停年退任記念論叢 Ⅱ, 一志社, 1987) 산수도 / 이경윤 1545(인종 1)∼1611(광해군 3). 조선 중기의 사대부 화가. 이경윤의 산수화. 국립중...이칭별칭 수길(秀吉)| 낙파(駱坡), 낙촌(駱村), 학록(鶴麓)
- 이대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50(명종 5)∼1574(선조 7).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여립(汝立), 호는 오촌(梧村). 원(黿)의 증손으로, 아버지는 증좌승지 경윤(憬胤)이며, 어머니는 원주이씨(原州李氏)로 병절교위 은(垠)의 ...이칭별칭 여립(汝立)| 오촌(梧村)
- 이위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97(선조 30)∼1673(현종 14).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태언(台彦), 호는 운포(雲浦). 아버지는 학림정(鶴林正) 경윤(慶胤)이며, 순의군(順義君) 경온(慶溫)에게 입양되었다. 1618년(광해군...이칭별칭 태언(台彦)| 운포(雲浦)
- 탁족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條)에 수록되어 있으며, 우리 나라에서는 조선 중기를 중심으로 다소 그려졌다. 유작으로 조선 중기의 이경윤(李慶胤)의 전칭작인 <고사탁족도 高士濯足圖>(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와 <탁족도>(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이정(李禎)의 <노옹탁족도 老翁濯足圖>(개인 소장)...
- 한선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풍이 중기에 유행한 김시(金禔)‧이경윤(李慶胤)의 화풍을 따른 것이다. 槿域書畵徵(吳世昌, 啓明俱樂部, 1928) 韓國繪畵大觀(劉復烈 編, 文敎院, 1969) 澗松文華 18-道釋人物畵-(韓國民族美術硏究所, 1980)이칭별칭 군필(君弼)
고서·고문서(62)
- 雲雷屯,君子以經綸。【鄭玄本,綸作論,形誤也】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710 周易四箋 卷七 ITKC_MP_0597A_0710_030_0040 雲雷屯,君子以經綸。【鄭玄本,綸作論,形誤也】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권차명周易四箋 卷七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1832년 김성규(金星奎)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832년 3월 7일에 김성규가 임실현 신평면 율치에 있는 李敬允의 산지를 사면서 받은 토지매매명문이다. 거래가격은 나락 2섬, 보리 12말, 쌀 6말과 전문 5냥이다. 신평면 율치는 현재 임실에서 진안으로 넘어가는 고개이다.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임실 청웅 밀양박씨가
- [內需司]庄土文績_제5책 : 庄土ニ關スル文績類 20. 請願書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x25.8 판심(度支部訴訟紙), 관인, 位土調査員의 指令 2장, 36.2x25.8cm(가로x세로), 판심(度支部訴訟紙), 관인, 位土調査員의 指令 1908년(융희 2) 7월 17일 李範植/李德汝/李敬允/吳致...자료명[內需司]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당(堂)이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수 남(南) 군의 답장을 전했다. 편지에 술 1동이‧소 위(胃) 1개를 보낸다고 한 것 같은데, 술은 말에서 떨어져 반(半)이 샜고, 소 위는 값을 받아다가 사서 올리겠다고 한다. ○화원(花園) 사람 이경윤(李景允)이 와서 들 참새[野雀] 30마리를 주었다. 卄七日...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李埈公實錄資料 3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게 흥선대원군의 使者 李慶允이 출발하였다는 것을 李埈鎔(改名 李埈, 1870~1917)에게 전해달라는 내용으로 『李埈鎔關係書類』에서 채록하였다. 정욱재 2015. 01. 07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1. 07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신문·잡지(2)
- 李敬倫(-)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敬倫(-) 목포 李敬倫 - 竹洞 - - 견직물상 - 34 - 木浦案內: 商工人名錄, 192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李敬倫(-) | 지역목포 | 품목- | 영업종목견직물상 | 자료출처木浦案內: 商工人名錄, 1921년
- 전남교육_1975_05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제발 망언이 아니기를 김경희 75 보람 이경윤 75 어느 초임교사의 인간교육을 위한 출발 변영숙 76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5
멀티미디어(59)
- 이다. 1주차. 새 왕조 서화의 복고풍과 안평대군 이용 2주차. 왕조를 대표한 화가,안견 3주차. 시대 예술의 모범 사례- 이경윤,이징 부자(父子) 4주차. 백대에 남길 글씨, 서예가 한호(韓濩) 5주차. 문제아에서 그림의 신(神)으로불린 화가 김명국(金明國) 6주강좌제목조선의 서화가 | 강의자류승민
- 이다. 1주차. 새 왕조 서화의 복고풍과 안평대군 이용 2주차. 왕조를 대표한 화가,안견 3주차. 시대 예술의 모범 사례- 이경윤,이징 부자(父子) 4주차. 백대에 남길 글씨, 서예가 한호(韓濩) 5주차. 문제아에서 그림의 신(神)으로불린 화가 김명국(金明國) 6주강좌제목조선의 서화가 | 강의자류승민
- 이다. 1주차. 새 왕조 서화의 복고풍과 안평대군 이용 2주차. 왕조를 대표한 화가,안견 3주차. 시대 예술의 모범 사례- 이경윤,이징 부자(父子) 4주차. 백대에 남길 글씨, 서예가 한호(韓濩) 5주차. 문제아에서 그림의 신(神)으로불린 화가 김명국(金明國) 6주강좌제목조선의 서화가 | 강의자류승민
- 이다. 1주차. 새 왕조 서화의 복고풍과 안평대군 이용 2주차. 왕조를 대표한 화가,안견 3주차. 시대 예술의 모범 사례- 이경윤,이징 부자(父子) 4주차. 백대에 남길 글씨, 서예가 한호(韓濩) 5주차. 문제아에서 그림의 신(神)으로불린 화가 김명국(金明國) 6주강좌제목조선의 서화가 | 강의자류승민
- 이다. 1주차. 새 왕조 서화의 복고풍과 안평대군 이용 2주차. 왕조를 대표한 화가,안견 3주차. 시대 예술의 모범 사례- 이경윤,이징 부자(父子) 4주차. 백대에 남길 글씨, 서예가 한호(韓濩) 5주차. 문제아에서 그림의 신(神)으로불린 화가 김명국(金明國) 6주강좌제목조선의 서화가 | 강의자류승민
기타자료(3)
- 이경윤;李景胤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1637 남한 제주 제주농업학교 2-46 회원명부(1930년 3월 현재) 1930―03 20면 이경윤;李景胤 제주면 일도리 1171 제10회(42명) 1930년 3월8일학교소재지역제주 | 학교명제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교육논단) 장학의 발전적 방향 장학 조직을 중심으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잡지 이경윤 1997 12 교육제주 98호 제주도교육청 ...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경윤 | 사료철명교육제주
- (선후배 교사의 만남 후배교사에게) 가르치는 일에 긍지와 보람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잡지 이경윤 1989 2 교육제주 64호 제주도교육위원...범주1중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경윤 | 사료철명교육제주
주제어사전(3)
-
이경윤 / 李慶胤 [종교·철학/유학]
1545(인종 1)∼1611(광해군 3). 조선 중기의 사대부 화가. 이관의 종증손이다. 서화에 능하였고 동생 영윤과 두 아들 그리고 서자인 징 모두 그림과 글씨에 능하였다. 학림수를 제수받았고 뒤에 학림정에 봉해졌다. 인물화첩, 산수도, 탁족도 등이 그의 대표적인
-
이징 / 李澄 [종교·철학/유학]
1581(선조 14)∼? 조선 중기의 화가. 16세기의 대표적인 문인화가인 이경윤의 서자이다. 화원으로 벼슬은 주부를 지냈다. 1609년 원접사의 수행 화원으로 동행하였으며, 1623년 위항 문인 유희경의 요청에 의하여 그의 별서의 실경 산수화인 <임장도>를 그렸다
-
백자 청화송죽인물문 항아리 / 白磁靑畵松竹人物文立壺 [예술·체육/공예]
)과 인물의 배치 및 묘사는 16세기 후반 조선시대 화단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쳤던 이경윤(李慶胤)의 전칭 작품들과 매우 비슷하여, 이 항아리의 제작 시기는 대체로 16세기 후반경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