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경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8)
사전(76)
- 이경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송자대전(宋子大全)』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이경여(1585-1657) 1585(선조...이칭별칭 직부(直夫)| 백강(白江), 봉암(鳳巖)| 문정(文貞)
- 이경여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호란 때에 병조참판으로, 사직을 청하는 상소에서 김상헌과 정온이 죄가 없음을 밝힌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이휘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15(숙종 41)∼1785(정조 9).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미경(美卿), 호는 노포(老圃). 경여(敬輿)의 종손으로, 할아버지는 민서(敏敘)이고, 아버지는 좌의정 관명(觀命)이며, 어머니는 권중만(權...이칭별칭 미경(美卿)| 노포(老圃)| 문헌(文憲)
- 이헌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91(정조 15)∼?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치보(稚寶). 경여(敬輿)의 후손이며, 면지(勉之)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철상(徹祥)이고, 아버지는 장소(章紹)이며, 어머니는 조진대(趙鎭大)의 딸이다. 영...이칭별칭 치보(稚寶)| 익헌(翼獻)
- 이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형윤(炯胤)이며, 어머니는 최행(崔行)의 딸이다. [내용] 1633년(인조 11) 생원시에 합격하고, 1643년 유학으로서 김상헌(金尙憲)ㆍ이경여(李敬輿) 등을 재상에 임명할 것을 소청(疏請)하여 임용하게 하였다. 1644년(인조 22)...이칭별칭 자중(子重)| 남곡(南谷)
고서·고문서(101)
- 1904년 이경여(李敬汝) 방매 가사매매명문(家舍賣買明文)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904년에 이경여가 작성한 문서이다. 이경여는 이사를 가기 위하여 오랫동안 거주해 오던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에 있는 가옥 2칸과 텃밭 1負, 과일나무 2그루를 21냥에 팔았다.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가사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가사매매명문 | 현소장처전북대학교 박물관
- 백강선생집(白江先生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壽進宮(1808)_황해도 재령군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075546 18384_2194 奎18384 壽進宮(1808) 황해도 재령군 下舉琴村前坪 황해도 재령군 下舉琴村前坪 322 322결 이경여(李景如) 이경여(李景如)자료번호18384_2194 [奎18384]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英親王宮(1900)_전라도 여수군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110974 18780_0509 奎18780 英親王宮(1900) 전라도 여수군 新根洞 전라도 여수군 新根洞 77 2 77결 2두락 이경여(李京如) 이경여(李京如)자료번호18780_0509 [奎18780]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1871년 양생원댁노(梁生員宅奴) 승엽(勝葉)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871년12월 18일에 보성군에 사는 이경여는 자신이 구입해서 농사를 짓고 있던 논 1마지기를 사정이 생겨서 팔게 되었다. 본 문서는 이때 이경여가 작성한 문서로 그가 논을 팔고 받은 돈은 26냥이다. 그의 논이 있는 조내면 감수동은 오늘날 전라남도 보성군 조성면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원광대학교 박물관
기타자료(1)
- 이경녀;李敬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2562 남한 경성 동덕여자고등보통학교 1-26 同德二十年 동덕여학교창립20주년기념축하회 1928―10―06 34면 1. 졸업생;2) 보통학교;(5) 제5회 77명 1928년 3월 이경녀;李敬女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동덕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6)
-
이경여 / 李敬輿 [종교·철학/유학]
1585(선조 18)∼1657(효종 8). 조선 중기의 문신. 세종의 7대손, 할아버지는 극강, 아버지는 유록, 어머니는 송제신의 딸이다. 1609년(광해군 1) 증광 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1611년 검열이 되었으나, 광해군의 실정이 심해지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였다.
-
이익명 / 李益命 [정치·법제/법제·행정]
생졸년 미상. 조선 후기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세종의 아들인 밀성군(密城君)의 6대손으로, 조부는 영의정(領議政) 이경여(李敬輿)이다. 부친 대사헌(大司憲) 이민적(李敏迪)과 모친 의주부윤(義州府尹) 황일호(黃一皓)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형은 경종 대
-
부산서원 / 浮山書院 [교육/교육]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진변리에 있는 서원. 1719년(숙종 45)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집(金集)과 이경여(李敬輿)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같은해에 ‘부산(浮山)’이라고 사액되어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대원군의
-
동산서원 / 東山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 동산리에 있었던 서원. 1718년(숙종 4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경여(李敬輿)·이민서(李敏敍)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으며, 그 뒤 이관명(李觀命)·이건명(李健命)을 추가배향하였다. 이 서원은 1721년(경종 1)
-
구원집 / 九畹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이춘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56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1656년(효종 7) 그의 제자들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경여(李敬輿)·정두경(鄭斗卿)의 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권1∼3에 시 417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