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격”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0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06)
사전(117)
- 학곡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이격(李格)의 시문집. [내용] 6권 3책. 연활자본. 1911년 6대손 운(澐)과 도(0x9594)가 수집한 것을 한회선(韓晦善)이 편집, 김승학(金升學)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최익현(崔益鉉)‧이유승(李裕承)의 서...
- 이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82(숙종 8)∼1759(영조 35).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양성(陽城). 자는 사정(士正), 호는 학곡(鶴谷). 아버지는 증 호조참판 영련(英璉)이며, 어머니는 참봉 한여구(韓汝龜)의 딸이다. 11세부터 주미곡(...이칭별칭 사정(士正)| 학곡(鶴谷)
- 이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48(영조 24)∼1803(순조3). 조선 후기의 무신. [내용]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천로(天老), 호는 만오(晩悟).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부만(傅萬)이다.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글을 잘 지었으며, 성장하면서 무재(武才)가 뛰어...이칭별칭 천로(天老)| 만오(晩悟)
- 근대신어 : 니켈(尼格勒)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09092 니켈 나항 尼格勒 英名尼格勒 영국 이름으로 니켈 第三等値百抽七五貨物 漢城旬報 25 博文局 1884 윤5 1 10 ニッケル: 棚橋一郞ㆍ鈴木誠一, 日用 舶來語便...출전漢城旬報[博文局] | 계통분류 [과학지식] 인명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니코마코스(尼格馬古斯)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09099 니코마코스 나항 尼格馬古斯 子名尼格馬古斯 아들의 이름은 니코마코스 亞里斯多得里傳 漢城旬報 24 博文局 1884 5 21 20 인명출전漢城旬報[博文局] | 계통분류 [과학지식] 인명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1,110)
- 이격 조종기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5582 P-SDK-05582-P-C-08-02 P-SDK-05582-P-C-08-02-1 P-SDK-05582-P-C-08-02-2 이격 조종기 離隔操縱機 싸우는 소년병 미술전 회엽서 봉투 있음. 8매 세트. 사제엽서 정치 군사 ...자료명이격 조종기 | 발행처女流美術家奉公隊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六騎徑詣渭水上與頡利隔水而語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610 與猶堂全書補遺○眞珠船 ITKC_MP_0597A_1610_000_0800 六騎徑詣渭水上與頡利隔水而語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眞珠船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性有偏辟,吏則窺之,因以激之,以濟其奸,於是乎墮陷矣。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240 牧民心書 卷四 ITKC_MP_0597A_1240_010_0080 性有偏辟,吏則窺之,因以激之,以濟其奸,於是乎墮陷矣。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권차명牧民心書 卷四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고려도경_挈壺之職 名實近古 逐刻以擊鼔爲節 中廷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5513 중국 정서 고려도경 雜俗1 挈壺 180 인종(仁宗) 1 1123 挈壺之職 名實近古 逐刻以擊鼔爲節 中廷立表 以揭牌 每時正 則一紫衣吏 捧牌立于左 一綠衣人 致躬報曰 某時 然後搢笏詣表 易牌而退 생활, 이 글은 『宣和奉...국가중국 | 서명고려도경 | 왕대인종(仁宗) 1
- 江原道內出沒共匪(강원도내출몰공비) 警察(경찰)이擊戰掃蕩(격전소탕)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江原道內出沒共匪(강원도내출몰공비) 警察(경찰)이擊戰掃蕩(격전소탕)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대표표제어江原道內出沒共匪(강원도내출몰공비) 警察(경찰)이擊戰掃蕩(격전소탕)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이북, 공비, 소탕, 격퇴, 교전, 월남, 사살
신문·잡지(18)
- 四郡兼察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츙쳥남도 진잠군슈 졍륜영씨 회덕 연산 은진 삼읍셔리를겸얏 삼군이 비록졉계라나 상거가여리이오 남북이격졀즉 한사이 네고을무를 겸찰슈도업고 겸야 각군의시급무가 만만위황즉 그긔를급급히 치보치아니치못야 보고니 각군슈를 별노히신칙야 불일...게재일1906년 2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譴責停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젼령암군슈죠동완씨를 경무쳥에셔 착슈고로 법부에셔 논훈기를 죠동완이가 증경 칙임관인데 상쥬치아니고 경션구라 것이격례에어긔엿다야 경무 셔상대씨를 견에쳐다지라 경무가 발명기를 령암군슈 죠동완으로착슈얏고칙임관의쟈격으로 착슈일이업다으로 견을 물시...게재일1906년 5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 부에셔 원수부에 죠회기를 우리나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부에셔 원수부에 죠회기를 우리나라 셔북디경이 쳥국만쥬과 장이격고로 겨울에 합빙이되면 한쳥 뎡계를분변 수업 즁 우리나라 기변방에 병진을 쳘파 후로 쳥국향마젹의 무리가 창금을 가지고 촌락에 드러와셔 부녀와산을 겁탈고 관리를 살폐가 잇슨즉 압녹강변 구...게재일1899년 10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석마하연론(釋摩訶衍論) 98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석마하연론(釋摩訶衍論) 98 釋摩訶衍論 석마하연론 형태서지 版本釋摩訶衍論卷第二假名付刻本 釋摩訶衍論卷第二(終) 木版本 [日本] 江戸前期版、 江戸時代印刷 粘葉...대표표제어석마하연론(釋摩訶衍論) 98 | 대표서명釋摩訶衍論 | 한글서명석마하연론 | 서지형태형태서지
- 법해보벌(法海寶筏) 4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22.8x13.6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D 219.7 법92 無 1. 내용: 臨濟三句圖說. - 臨濟三句頌. - 維摩經方便品疏中抄出. - 義理格外辨. - 法華經二十八品. - 眞心直說. - 修禪結社文. - 三門直指. - 國魂請 古書目錄 : 동국대학교...대표표제어법해보벌(法海寶筏) 4 | 대표서명法海寶筏 | 한글서명법해보벌 | 서지형태형태서지
기타자료(61)
- 이격원;李格元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5622 북한 평남 義明學校學 3-09 義明學校學友會 會員名簿 n.r. 5면 1. 통상회원의 부(가나다순);5) 제5회졸업자(1917년도) 이격원;李格元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義明學校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Transcript of Proceedings, Sixteenth Session, Conference at Kaesong, Korea, on the Armistice Proposal, 1 August 1951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0km 이격한 방어선 제안(유엔 측 거절)함. Kaesong meeting, C.T. Joy, USN, L.C.Craigie, USAP, S.Y.Paik, ROKA, H.I.Hodes, USA, A.A.Burke, Nam IL, NKPA, Tung Hua...국내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봉화 청암정 주변유적 -봉화 닭실마을 정비사업 부지내-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북쪽의 긴 석열은 연못 호안 석축 곁에서 동쪽 종택을 향해 직선으로 진행하며, 짧은 남쪽 석열은 충재의 동쪽 기단 밑에 물려 역시 마당쪽으로 잛게 진행하다 북쪽 긴 석열사이를 반원형으로 연결된 형태이다. 석열 3은 충재 북쪽 기단에서 1.2m가량 이격한 북쪽에 기단...발행연도2008 | 발굴기관(재)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경상북도
- 부여 동남리 501-8번지 문화유적 시굴조사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결과 조사지역에서는 백제시대의 방형수혈유구 1기와 조선시대 주거지 2기가 확인되었다. 조선시대 1호 주거지가 위치한 곳은 남사면에 해당하는 지점으로, 서측으로 약 3.6m 이격된 거리에 백제시대 방형수혈유구가, 동측으로 약 6.2m 거리에는 조선시대 2호 주거지가...발행연도2007 | 발굴기관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부여시 | 발굴지역충청남도
- 여주 가남CC 골프장조성부지내 여주 안금리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관련된 폐기장 2기, 작업장 1기 등의 생산유적과 함께 고려시대 이후 토광묘 5기 및 수혈유구 1기 등 총 11기의 유구가 확인되었다. 청자가마는 남쪽 사면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도기가마에서 동쪽으로 7m 가량 이격되어 나란하게 조성되어 있다. 해발 100~106m...발행연도2007 | 발굴기관중앙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경기도
주제어사전(3)
-
이격 / 李格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무신(1748∼1803). 아버지는 부만이다. 1769년(영조 45)에 무과에 급제하여 병마절도사·도총부총관 등을 역임했다. 홍국영과의 갈등으로 남양에 유배되었다. 아들 이현직이 어영대장에 오르자 좌참찬에 추증되었다.
-
이현직 / 李顯稷 [종교·철학/유학]
1797년(정조 21)∼미상. 조선 후기의 무신. 이격 아들, 이학영의 아버지이다. 1846년(헌종 12) 경상좌도수군절도사·전라도병마절도사, 1854년(철종 5) 삼도수군통제사·함경북도병마절도사, 1865년(고종 2) 총융사, 이듬해 어영대장과 공조판서를 역임하였
-
이달충 / 李達衷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제정집』을 저술한 유학자.문신. 증조는 문하평리(門下評理)이핵(李翮), 할아버지는 밀직부사 이세기(李世基), 아버지는 첨의참리(僉議參理) 이천(李蒨), 어머니는 연창군부인박씨(延昌郡夫人朴氏)이다. 1326년(충숙왕 13) 충숙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