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건하” 에 대한 검색결과 58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60)

사전(30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35(헌종 1)∼? 조선 말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대시(大始). 서울 출신이다. 아버지는 이인화(李寅和)인데, 이인우(李寅禹)에게 입양되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64년(고종 1...
    이칭별칭 대시(大始)
  • 북여요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處士) 김노규는 국경 문제에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고금의 여러 문헌에서 자료를 모으고 자기의 의견도 첨가하여 경계시찰위원(境界視察委員)의 참고 자료가 되도록 저술하였다. ()ㆍ김가진(金嘉鎭)ㆍ유완무(柳完茂) 등의 서문과 이병순(李秉純)의 발문이 실려...
    이칭별칭대한북여요선(大韓北輿要選)
  • 가독보상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임시로 사용되었다. 주로 존호(尊號)를 올리는 의례나 책봉례(冊封禮) 또는 흉례(凶禮)에서 시보나 책보를 놓고 서서 읽기 위한 용도이다. 대부분 독보상으로 표기하며 독책보안(讀冊寶案)으로 적기도 한다. 假函二部紅紬袱排案牀二坐紅紬袱褥席各讀寶床二坐紅紬袱...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시중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도 한다. 그 뒤 고을터가 옮겨짐에 따라 원당리‧북사리로 이건되었고, 지금의 건물은 1870년(고종 7)에 세워진 것이다. 한때 자인초등학교 교실로 사용된 적도 있었지만 1936년에 서림 서편으로 였고 1980년에는 서림숲 한장군의 사당 옆으로 였다...
  • 영춘향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상리에 있는 향교. [내용] 1399년(정종 1)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14년(광해군 6) 남천리로 였으며,...
    연계항목영춘향교(永春鄕校)

고서·고문서(72)

  • 가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拜謝向日暫穩 尙今耿耿 卽惠 拜
    분야문학 | 유형문헌
  • 1881년 ()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 신관휴에게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 而尙無影形, 尤極狡惡, 隨現捉囚, 猛治爲 計矣, 諒之如何, 餘姑留、 不備謝禮。 乙巳念五, 弟、 拜謝。韓山 漁洞 申都事宅 回納 本使 謹㚆
    분야문학 | 유형문헌
  • 가 신관휴에게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天寒木落, 詹詠政勤, 伏拜審辰下, 仕體調節護旺, 區區仰頌, 記下, 一味冗擾而已耳, 俯戒金漢所謂可痛, 別般懲厲 爲計矣、 渠之妻孥, 旣若是乞隣, 則烏可無闊狹耶, 待其邑報, 當卽懲放矣, 諒會如何, 餘留 不備謝禮。 丙申十月十日, 記下朞服人, 二拜。天寒木落, 詹詠政勤、...
    분야문학 | 유형문헌
  • 백대구를 진상하는데 라는 자가 경감을 칭하며 토색하였다는 등장에 따라, 어공하는 물품에 공인이 명색을 가지는 것은 부당하니 잘못된 것을 답습하지 말라는 관.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吉州 幼學 許彪 등의 等狀에 吉州, 明川, 鏡城의 3邑이 白大口를 進上할 때 京人이 간섭하지 못하게 하고 각각 封進할 뜻으로 蒙題하였는데, 라는 자가 京監이라 칭하며 宮內府의 關文을 가지고 와서는 討索하였다고 함. 御供하는 물품들이 모두 宮內府費로 마련하였으니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기초학문(2)

  • A Study on the Play Space of Residential Complexes for Children in Hefei, China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건하, 게재일 : 2012
    36320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건축학회/대한건축학회 2012 A Study on the Play Space of Residential Complexes for Children in Hefei, China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고구려 석조건축의 축조법에 관한 연구-고구려 백암성곽의 축성법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건하, 게재일 : 2007
    20901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건축학회지연합회 2007 고구려 석조건축의 축조법에 관한 연구-고구려 백암성곽의 축성법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
    유형논문 | 게재일2007

신문·잡지(78)

  • 경제·산업 사건 근대 () 서울 鍾路 4-40 포백류 - 포목(布木) 소매 289.14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李建夏(李建夏) | 지역서울 | 품목포백류 | 영업종목포목(布木)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松京商會) 서울 松京商會 鍾路 3-45 금융 - 금융 - 97.5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李建夏(松京商會) | 지역서울 | 품목금융 | 영업종목금융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부대신 씨가 의졍셔리를 피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부대신 씨가 의졍셔리를 피임야 작일 오후두시에 회의엿데 그건은 일젼 즁츄원의쟝 김가진씨의 샹소즁 가결과 샹표실시와 그외에 군경 량부에 무 건이라더라
    게재일1900년 10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 젼 공쥬관찰 씨가 공젼가하가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젼 공쥬관찰 씨가 공젼가하가 몃만량 잇 이번 탁지부에셔 려간 파원의 보고가 탁지로 올나온 에 리관찰을 잡아 올닌다 더라
    게재일1898년 8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젼 츙쳥 남도 관찰 씨와 젼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젼 츙쳥 남도 관찰 씨와 젼 상쥬군슈 리관하씨와 전 졔쳔군슈 김익진씨와 젼 안동 시찰관 죠한셕씨와 젼 긔쟝군슈 리경우씨와 젼 보은군슈 리규 제씨는 임 엿슬 △에 각각 공젼을 범용 죄로 법부로 져져히 △아 가두고 밧으려  즁인 씨는 임의 현...
    게재일1898년 8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4)

  • 남원 실상사 백장암-시굴 및 금당지 주변 발굴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데 2차 건물지와 같이 가공석재를 사용하지 않고 대형의 할석을 이용하였다. 숙종 6년(1680) 경에 중건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 후 고종 5년(1866)에 3차 화재를 입어 3년 뒤에 지금의 백장암터에서 윗쪽의 새로운 터로 면서 삼층석탑 주변의 백장암 건물지는...
    발행연도2001 | 발굴기관남원시/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 발굴지역전라북도
  • c4-0057 유구 2013-08-15_0.2465479_해미읍성 IV 표지.jpg 해미읍성Ⅳ 2008 한서대학교박물관 215 안덕임,,문상종 안덕임,문상종 한서대학교박물관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읍내리 372번지 해미읍...
    발행연도2008 | 발굴기관한서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충청남도
  • 법당이 들어서 있었는데, 법당을 신축하기 위해 임시로 법당을 북동쪽으로 였다. 이 일대는 대부분 복토되어 있었다. 조사지역 남쪽에는 장대석 기단이 일부 노출되어 있었고, 치석된 원형 초석이 지표상에 드러나 있었다. 감산사 법당 신축부지 발굴조사는 사찰 영내 일부만...
    발행연도2001/09 | 발굴기관중앙문화재연구원/감산사 | 발굴지역경상북도
  • 이천 갈산2지구 주택건설사업부지내 이천 갈산동 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 문헌에 따르면 안흥사는 고려 초기에 사세가 크게 확장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13~15호 건물지에서 출토된 신유(辛卯)명 기와로 볼 때 고려 초기(93년, 991년)에 동쪽 지역으로 여 중창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일대에서 출토된 소형의 석탑재를...
    발행연도2007 | 발굴기관중앙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경기도

주제어사전(126)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35∼?). 1864년(고종 1)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부교리가 되었다. 이후 형조판서·중추원부의장 등을 지냈다. 1904년 상소를 올려 일본의 황무지개척권 확보를 저지하였다. 국권강탈 후 일본정부로부터 남작의 지위를 받았다.

  • 삼척향교 / 三陟鄕校 [교육/교육]

    강원도 삼척시 교동에 있는 향교. 1398년(태조 7)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1407년(태종 7) 옥서동월계곡(月桂谷)으로 였다가 1468년(세조 14) 현재의 위치로 였다.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

  • 서천향교 / 舒川鄕校 [교육/교육]

    1) 서부면 동조리로 였으며, 1413년에 현재의 위치로 였다고 한다. 1869년을 비롯하여 수차례에 걸쳐 보수하였으며, 1984년에 중수하였다.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졌다. 대신 봄·가을에 석전(釋奠)을 봉행(奉行)하며 초하루

  • 순창향교 / 淳昌鄕校 [교육/교육]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교성리에 있는 향교. 1413년(태종 13)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그 뒤 군수 김수광(金秀光)이 군 북쪽의 옥천동으로 였으며, 1560년 군수 신련(申璉)이 중수하였다. 1661년

  • 울진향교 / 蔚珍鄕校 [교육/교육]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 읍내리에 있는 향교. 1484년(성종 15)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월변동(月邊洞)에 창건되었다. 1697년(숙종 23)고성리 성저동으로 였다가, 1872년(고종 9)에 현재의 위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