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건명” 에 대한 검색결과 22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8)

사전(11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朝鮮後期의 良役變通論議에 대한 檢討(鄭萬祚, 同大論叢 7, 1977) 1663(현종 4)-17...
    이칭별칭 중강(仲剛)| 한포재(寒圃齋)| 충민(忠愍)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문신 한국 조선 숙종~영조 이현숙 이범직 2015 중강(仲剛) 한포(寒圃)ㆍ한포재(寒圃齎) 충민(忠愍) 양반 남자 1663년(현종 4) ...
  • 이연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19(숙종 45)∼1782(정조 6).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민서(敏叙)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좌의정 건명(健命)이고, 아버지는 술지(述之)이다. 족숙 성지(性之)에게 입양되었다. [내용] ...
  • 이헌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84(정조 8)∼1858(철종 9).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치서(稚瑞), 호는 국간(菊幹). 좌의정 건명(健命)의 현손이며, 면지(勉之)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철상(徹祥)이고, 아버지는 장현(章顯)이...
    이칭별칭 치서(稚瑞)| 국간(菊幹)| 충간(忠簡)
  • 이천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게 전하였다. 이천기 등은 이이명의 부탁을 받고 그의 자질(子姪)인 희지(喜之)ㆍ기지(器之)와 김창집(金昌集)의 손자 성행(省行) 등과 모의해 무사와 술객을 비밀리에 길러 비상 사태에 대비하였다. 경종이 왕위에 오른 1720년 8월 김창집ㆍ이이명ㆍ()...

고서·고문서(105)

  • 72615 B072615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45年 5月 15日_030 ○所達, 此東萊府使徐命淵狀達也。 自前島主江戶往返之後, 必送告還差倭, 自此, 亦有接待相問之禮矣。 今貴島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2234 B072234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45年 5月 15日_030 ○所達, 此東萊府使徐命淵狀達也。 自前島主江戶往返之後, 必送告還差倭, 自此, 亦有接待相問之禮矣。 今貴島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9327 B009327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26年 2月 25日_007 ○, 以御營廳言啓曰, 本廳所管江都土城水門頹毁處, 今春修築事, 曾已定奪矣。 所入浮石, 今纔完畢, 各處水門及土城改築之後, 今月二十一日, 旣已始役, 而役軍則自本廳依前給價募用之意, 敢...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9417 B009417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30年 2月 23日_009 ○行吏曹判書李濡所啓, 都城旣已定計, 而頃日上敎都城定計之後, 亦當增修江都者, 誠爲允當, 蓋必堅守江都, 可使賊船, 不得沿流而直上也。 臣見前留守而議之, 則有數件定奪事, 而已遞未及云。...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9428 B009428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30年 2月 23日_009 ○行吏曹判書李濡所啓, 都城旣已定計, 而頃日上敎都城定計之後, 亦當增修江都者, 誠爲允當, 蓋必堅守江都, 可使賊船, 不得沿流而直上也。 臣見前留守而議之, 則有數件定奪事, 而已遞未及云。...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

  • 호즁젼신을 들은즉 온양군슈 김호승씨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호즁젼신을 들은즉 온양군슈 김호승씨가 톄임되고 김영운씨가 피임후에 그골임 이란사이 쥬쟝야 구관을 원류 각동에 통지기를 어느 동리던지 원류 젼이라도 내지아니면 원류 부비를 그동리에 징츌리라 며 필경 원류쟝을 뎡여 실호가업고 급기 신관이...
    게재일1901년 4월 6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2)

  • (교육현장은 말한다) 실험실습 시설 관리요원 확보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학교시설설비 잡지 1992 2 교육월보 122호 교육부 ...
    범주1중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건명 | 사료철명교육월보
  • 특집 (학교경영) 재무관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육재정 사학교육재정 잡지 1975 3 문교월보 64호 문교부중앙교육연구원
    범주1교육재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건명 | 사료철명문교월보

주제어사전(6)

  • / [종교·철학/유학]

    1663(현종 4)∼1722(경종 2). 조선 후기의 문신. 유록 증손, 할아버지는 경여, 아버지는 민서, 어머니는 원두표의 딸이다. 1686년 춘당대 문과에 을과로 급제, 서장관, 우승지, 이조판서, 좌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시문과 소차를 모은 ≪한포재집≫

  • 조선국왕세제 책봉고명 / 朝鮮國王世弟 冊封誥命 [정치·법제]

    청 강희제가 연잉군(후일의 영조)을 조선 왕세제로 책봉한 두루마리 문서. 이 문서는 한자와 만주자로 씌어 있다. 1721년 좌의정 ()이 주청사로 파견되어 왕세제 책봉을 알리고 고명을 요청하자 이듬해에 사신 아극돈(阿克敦)과 부사 불륜(佛倫)이 이를 가져왔

  • 동산서원 / 東山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 동산리에 있었던 서원. 1718년(숙종 4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경여(李敬輿)·이민서(李敏敍)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으며, 그 뒤 이관명(李觀命)·()을 추가배향하였다. 이 서원은 1721년(경종 1)

  • 사충서원 / 四忠書院 [교육/교육]

    경기도 하남시 상산곡동에 있는 서원. 1725년(영조 1) 노론 4대신인 김창집(金昌集)·이이명(李頤命)·()·조태채(趙泰采)를 제향하기 위하여 노론계 관료와 유생이 추진하고 국가의 보조에 의하여 경기도 과천에 건립되었다. 건립과 동시에 국가로부터 사액을

  • 이해 / 李瀣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691∼1779). 이여 후손, ·권상하의 문인이다. 숙종 때 청주에서 도내별과에 제4등으로 뽑힌 이후,《소학》을 근본으로 정성과 공경, 사물의 이치와 인간의 본성을 깊이 연구하여 학문과 덕행을 쌓았다. 문장은 경서와 사기에 기본을 두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