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54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351)
사전(1,115)
- 육재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건석(李健錫)의 시문집. [내용] 불분권 1책. 필사본. 저자의 맏형이 정리하였고, 권두와 권말에 그의 서문과 만사 3수가 있다. 이 책에는 적소에서 지은 시 227수가 실려 있는데, 모두 품격이 고아하여 고인의 시풍...
- 병수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이건주(李建胄)의 시문집. [내용] 2권 2책. 필사본. 손자 원항(源恒)ㆍ증손 상원(相元)ㆍ종증손 상조(相祖) 등이 필사하였다. 권말에 상조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 500여수, 서...
- 해경당수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이건승(李建昇)의 시문집. [내용] 4책.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제1책에 설(說)‧논(論)‧제문‧서(序)‧기(記)‧발(跋)‧명(銘)‧찬(贊)‧변(辨)‧서(敍)‧묘지명, 제2책에 행장‧애사(哀辭)‧뇌(誄...
- 죽하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이건우(李謇愚)의 시문집. [내용] 5권. 목활자본. 후손 해익(海翼)이 편집, 간행한 『이산세고(伊山世稿)』에 수록되어 있다. 권두에 이항익(李恒翼)의 서문이, 권말에 이헌재(李獻宰)의 발문이 있다. 『이산세고』는 국...
- 이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14(광해군 6)∼1662(현종 3). 조선 후기의 종실. [내용] 할아버지는 선조이며, 아버지는 인성군 공(仁城君珙)이다. 일찍이 인성군이 반정공신 이귀(李貴)의 핍박으로 역모혐의를 받고, 1628년에 대역처분을 받으면서 형 길(佶)...이칭별칭 자강(子强)| 규창(葵窓)| 충효(忠孝)|해원군(海原君)
단행본(4)
- 동도서기의 의미지평 [근현대 한국의 동서철학사상 접변양상 연구-교착 지평과 보편 개념 분석 | 서울대학교]저자 : 엄연석, 양일모, 강중기, 이원석, 한정길 ... | 출판사 : 도서출판 동과서 | 출판일 : 20191231본서는 19세기 말 이후 서기(西器)의 충격과 도전이 격화되던 시대적 전환기에 지식인들이 동도(東道)를 기초로 한 ’서기’의 수용이라는 소극적 대응으로부터 ’서도(西道)’까지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하게 되는 동서문명의 지평융합과 역전의 과정을 탐색하였다.
- 한말사대가 평전 4책 [(1)추금 강위 평전 (2)영재 이건창 평전 (3)매천 황현 평전 (4)창강 김택영 평전] [한말 사대가 평전 총서 | 성균관대학교]저자 : (1)김진균 (2)이은영 (3)이은주 (4)한영규 ... | 출판사 : 소명출판 3책, 학자원 1책 | 출판일 : 20240210한말사대가는 강위(姜瑋, 1820~1884)와 김택영(金澤榮, 1850~1927), 이건창(李建昌, 1852~1898), 황현(黃玹, 1855~1910) 네 사람을 지칭하는 말이다. 이들은 한문학이 공식 문장으로 활용되던 마지막 시기에 하나의 문학 그룹을 이루...
- 사회사상과 동서접변 [근현대 한국의 동서철학사상 접변양상 연구-교착 지평과 보편 개념 분석 | 서울대학교]저자 : 한정길, 이원석, 양일모, 김재현, 엄연석 ... | 출판사 : 도서출판 동과서 | 출판일 : 20191231이 책은 19-20세기 초 동아시아에 사회진화론, 무정부주의 등 서양의 다양한 사회사상 혹은 기독교 등의 사상적 조류가 급속도로 확산되는 시점에 조선의 학자들이 전통사상의 토대에서 자유와 민주, 평등과 같은 서양적 가치를 이해하고 대응하는 문법을 검토하였다.
- 유니코드 한자정보 사전 [유니코드 한자 정보 및 이체자 사전 | 고려대학교]저자 : 김흥규(고려대학교 명예교수), 김언종(고려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이재훈(고려대학교 중어... | 출판사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출판일 : 2013.05.30분야언어 | 유형단행본이 책은 1990년대 후반부터 2011년까지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의 문자코드연구센터를 주요 기반으로 하여 동아시아학 및 한국학 자료 전산화와 한자 정보처리의 토대를 견고하게 마련하고자 했던 장기적 연구활동의 결실이다. 이 책을 낳은 직접적 모태는 〈유니코드 한자정보 및...
고서·고문서(3,101)
- 레이건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레이건 이 남자 연합국비밀실 3 3 레이건, 대통령, 84년, 영화, 제작소, 공작, 할리우드, 제작소, 배우, 출연, 요청,대표표제어레이건 | 성씨이
- 이건(李健) 시(詩)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시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시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이건(李健) 시(詩)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시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시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이건수(李健秀)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제천 한수 연안이씨
- 이건수(李健秀) 등 통문(通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제천 한수 연안이씨
구술자료(220)
- 이건환 악사_영상001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기타 인터뷰 이건환 악사_영상001 종교‧철학 행사 현대 2018년 06월 16일 15분 45초 DH_10_PI_이건환_180616_001.mp4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지역기타 | 구분인터뷰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이건환 악사_영상002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기타 인터뷰 이건환 악사_영상002 종교‧철학 행사 현대 2018년 06월 16일 07분 56초 DH_10_PI_이건환_180616_002.mp4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지역기타 | 구분인터뷰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충청남도 청양군_1.얼카뎅이 2.방하호 3.올라가세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4_317 충남 충청남도 청양군 충청남도 청양군_1.얼카뎅이 2.방하호 3.올라가세 1.얼카뎅이 2.방하호 3.올라가세 논매기소리 충청남도 청양군 목면 신흥리, 본의리 1988.3.29 素88-3-29①B 1.이건석 2.유정식 3.본의리 가창자 중에서.녹음지역충청남도 청양군 목면 신흥리, 본의리 | 녹음날짜1988.3.29 | 가창방식멕받형식(선후창)
- 삼현육각의 음악 강연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27 00:00 A면 1) 경풍년(00:00~04:20)2) 취타(07:18~09:30)피리 김정집 이건희 대금 노부영 해금 윤문숙 장구 정유석 좌고 조인환 3) 경기 삼현육각 중 긴염불(12:58) 반염불(14:48) 허튼타령(15:자료구분상세강연녹음자료 | 자료유형삼현육각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건희
- 삼현육각의 음악 강연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육각(26:18~27:01)피리 박복률 대금 이치조4) 전주 농삼현 중 타령(27:32~47) 자진타령(27:47~28:18)5) 경풍년(31:00~32:23)피리 김정집 이건희 대금 노부영 해금 윤문숙 장구 정유석 좌고 조인환이보형은 강연 중간에 준비한 음원을 재생하자료구분상세강연녹음자료 | 자료유형삼현육각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건희
기초학문(61)
- 불설장아함경에 나오는 니건자(尼乾子)의 지칭(指稱)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미숙, 게재일 : 200923090 김미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보조사상연구원 2009 불설장아함경에 나오는 니건자(尼乾子)의 지칭(指稱) 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유형논문 | 게재일2009
- 난곡 이건방의 난곡존고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천병돈, 게재일 : 201456945 천병돈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 난곡 이건방의 난곡존고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유형논문 | 게재일2014
- 耕齋 李建昇의 亡命 前後 梅花詩 變化 樣相 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은영, 게재일 : 201715635 이은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근역한문학회 2017 耕齋 李建昇의 亡命 前後 梅花詩 變化 樣相 硏究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유형논문 | 게재일2017
- 朝鮮朝 濟州三邑 鄕校의 新創, 重創, 移建에 關한 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양진건, 게재일 : 200618837 양진건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6 朝鮮朝 濟州三邑 鄕校의 新創, 重創, 移建에 關한 硏究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유형논문 | 게재일2006
- 상상력과 지식교육: 이건과 비고츠키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곽덕주, 게재일 : 201616199 곽덕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교육철학학회 2016 상상력과 지식교육: 이건과 비고츠키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16
신문·잡지(637)
- 照會二件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공가 외부에 죠회야 일젼에 도 슈비쟝관을 동야 폐현을 쳥엿고 죠회기를 칭경례식시에 각국 친왕 특 대 공령의 좌와 각항졉에 응는 졀를 시명야 각 공령가 회의 질뎡케라 엿다더라게재일1903년 4월 4일 | 기사분류잡보
- 李建麟(李建麟商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建麟(李建麟商店) 서울 李建麟 李建麟商店 永登浦町 469 복장품 - 일본/서양식 잡화(和洋雜貨) 소매 32.4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대표표제어李建麟(李建麟商店) | 지역서울 | 품목복장품 | 영업종목일본/서양식 잡화(和洋雜貨)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李建夏(李建夏)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建夏(李建夏) 서울 李建夏 李建夏 鍾路 4-40 포백류 - 포목(布木) 소매 289.14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李建夏(李建夏) | 지역서울 | 품목포백류 | 영업종목포목(布木)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李健春(李健春)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健春(李健春) 서울 李健春 李健春 麻浦町 393 금융 - 금융 - 37.5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李健春(李健春) | 지역서울 | 품목금융 | 영업종목금융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李建澤(李建澤商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建澤(李建澤商店) 개성 李建澤 李建澤商店 南本町 369 - - 면포업 - - - 開城商工名錄, 1936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李建澤(李建澤商店) | 지역개성 | 품목- | 영업종목면포업 | 자료출처開城商工名錄, 1936년
멀티미디어(1)
- 서울특별시가 주최한 제11회 어린이건강심사회에서 입선된 우량아들에 대해 1957년 5월 15일 덕수궁 후원에서 표창이 수여됐다. 영상은 표창수여식이 진행되는 과정 중 일부이다.자료구분리버티뉴스 | 제작년도1957년 5월 | 제작주한미공보원
기타자료(212)
- 이건;李鍵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8530 중국 상하이 학교(집합) 소화7년도종합보고(193111~193210) 재상해조선총독부파견원 1932 12면 1. 유학생 조사표(전문학교 이상) 이건;李鍵 전남;동교 기숙사 내학교소재지역상하이 | 학교명학교(집합)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건복;李健馥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9223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8면 이건복;李健馥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건영;李健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2398 남한 경성 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1-18 同窓會員名簿(昭和十九年四月現在) 1944 88면 이건영;李健永 인천부 만석정 제12회 1937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건호;李健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3893 북한 평남 평양사범학교 3-12 교우회지 제6호 1937―02―28 0 이건호;李健浩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평양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건영;李建榮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7479 남한 경성 경신학교 1-23 회원명부 1943―09 53면 이건영;李建榮 충북 청주군 가덕면 노현리 제29회 1935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6)
-
유니코드 한자 정보 및 이체자 사전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김홍규 | 고려대학교 | 2007 | 국내 | 서울
-
한국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구술자료 아카이브 구축사업 | 김병선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08 | 국내 | 경기
-
한말 사대가 평전 총서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한영규 | 성균관대학교 | 2015 | 국내 | 서울
-
한국 상고사 재정립을 위한 동북아와 유럽의 역사학 및 고고학의 학제적 연구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이성주 | 경북대학교 | 2013 | 국내 | 대구
-
하곡학파(霞谷學派)의 형성과 전개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남옥 | 한국국학진흥원 | 2019 | 국내 | 경북
주제어사전(192)
-
이건 / 李健 [종교·철학/개신교]
항일기의 기독교인·목사(1900-?). 1931년 경성성서학원의 교수로 일제 말 폐교되기까지 인재를 양성하였고, 광복과 함께 다시 개교한 서울신학교의 교장이 되었다. 1950년 8월 23일 납북되었다. <성서영해전집>, <성서인물강화> 등을 저술하였다.
-
이건 / 李健 [종교·철학/유학]
1614(광해군 6)∼1662(현종 3). 조선 후기의 종실. 할아버지는 선조, 아버지는 공이다. 일찍이 인성군이 반정공신 이귀의 핍박으로 역모혐의, 1628년에 대역처분을 받으면서 형 길·억 등과 더불어 역신의 자손으로 제주도에 유배되었다. 그 뒤 1633년(인조 1
-
이건명 / 李健命 [종교·철학/유학]
1663(현종 4)∼1722(경종 2). 조선 후기의 문신. 유록 증손, 할아버지는 경여, 아버지는 민서, 어머니는 원두표의 딸이다. 1686년 춘당대 문과에 을과로 급제, 서장관, 우승지, 이조판서, 좌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시문과 소차를 모은 ≪한포재집≫
-
이건승 / 李建昇 [문학/한문학]
일제강점기 『해경당수초』를 저술한 유학자.양명학자. 영재(寧齋)이건창(李建昌)의 아우이며 난곡(蘭谷)이건방(李建芳)의 재종형이다. 하곡(霞谷)정제두(鄭齊斗)에서 연원하는 강화학파(江華學派)의 학맥을 이어서 양명학(陽明學)의 사상을 지녔다. 매천(梅泉)황현(黃玹)과
-
이건창 / 李建昌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대문장가(1852∼1898). 강위·김택영·황현 등과 교분이 두터웠으며 용모가 청수했다고 전한다. 갑오경장 이후로는 새로운 관제에 의한 각부의 협판·특진관 등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거절했다. 고향인 강화에 내려가서 서울과는 발길을 끊고 지내다가 47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