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개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
사전(6)
- 이개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46(명종 1)∼1625(인조 3). 조선 중기의 의병장.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대중(大中), 호는 성오대(省吾臺)ㆍ역봉(櫟峰). 대호군(大護軍) 욱(昱)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부호군(副護軍) 선동(善童)이고, 아버지는...이칭별칭 대중(大中)| 성오대(省吾臺), 역봉(?峰)
- 이상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97(선조 30)∼1666(현종 7).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용수(溶叟), 호는 성서(城西). 아버지는 휘음(徽音)이며, 어머니는 안동권씨(安東權氏)로 두문(斗文)의 딸이다. 할아버지인 증병조참판...이칭별칭 용수(溶?)| 성서(城西)
- 의산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영주시 장수면 성곡리에 있었던 서원. [내용] 1664년(현종 5)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개립(李介立)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99년(정조 23)에 김응조(金應祖)를 추가배향하여
- 우계일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비를 세우자 이이첨의 죄상을 준엄히 통박한 글이다. 서는 이개립(李介立)과 한산두(韓山斗) 등에게 보내는 것으로, 시사와 안부를 묻는 내용이다. 책문은 1만여자에 이르는 장문으로, 인재의 등용과 소인들의 양화(釀禍)‧농간을 근절하고 공정과 천리로 민생을 보살펴야...
- 성오당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의병장 이개립(李介立)의 시문집. [내용] 3권 2책. 목활자본. 저자의 유고는 병란으로 거의 소실되고 남은 것이 얼마 안 되었는데, 1775년(영조 51)에 5세손 광배(光培)가 모아서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상정(李象靖)의...
고서·고문서(12)
- 성오당선생문집(省吾堂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人事門4_祭三世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禮》“無田者薦而不祭”, 如“春薦韭”之類, 是也. 故“不耕者無盛, 不畜者無牲”, 粢盛犧牲, 非其分也. 至於後世, 無官之士, 悉得祭四世, 而皆立木主. 又國法許始祖之不祧, 則大夫以下至士庶, 皆有二昭二穆與太祖之廟, 而與國君等, 僭亂兆矣. 奚可哉?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兄子學樵墓誌銘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樵也以編髮,送行于華城之南柳川之店,時年十一也。家有番國所產蛇眼珠一枚,乃巨蟒眼睛,凡此珠所在,蛇蝮不敢近,遇有衝撞,卽以珠照之,蛇皆立斃爲槁木,蓋異珍也。樵也泣而獻之曰:“黑山蓁蓁多蛇蝮,願以是自護。” 先生受而囊之,亦潸然出涕,遂與爲別。其後余見二兒書,每云:“樵也好學如舊,而相愛如同胞。”...권차명文集 卷十六 | 문체傳記類|碑誌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구계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卷2 [附錄] 輓詞 1 草澗 權文海(1536~1591)가 지은 저자의 만사이다. 祭文 1 동생 李介立(1546~1625)이 지은 저자의 祭文이다. 家狀 3 동생 李介立이 지은 저자의 家狀이다. 事蹟補遺 4 襄陽誌, 永嘉誌, 陶山及門錄, 嘯皐門人錄, 龜潭書堂 등에 기...분야문학 | 유형문헌
- 죽일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등 세 가지 항목이 있다. 이 아래에 ‘이하 여섯 조목이 누락됨[下六條缺]’이라는 주가 있어 원래 아홉 조목이었음을 알 수 있다. 與李省吾堂介立 38 省吾堂 李介立(1546~1625)에게 보낸 문안편지이다. 이개립은 金誠一의 문인으로 훗 날 천거를 받아 참봉에 오...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6)
-
이개립 / 李介立 [종교·철학/유학]
1546(명종 1)∼1625(인조 3). 조선 중기의 의병장. 욱의 증손, 할아버지는 선동, 아버지는 준, 어머니는 권공례의 딸이다. 김성일의 문인이다. 1591년 장현광과 함께 유일로 천거되어 참봉이 되었다. 1596년 산은현감에 임명되고, 이후 고향에 돌아와 후진양
-
성오당집 / 省吾堂集 [종교·철학/유학]
이개립의 문집. 석인본, 서:이상정(1775), 3권2책. 1775(영조 51)년 5세손 광배가 모아서 간행하였다. 이태익이 수습하여 보관하고 있던 것을 이상정의 교정을 거쳐 의산서원에서 간행하였다. 권1에는 오언절구 21수,오언사운 32수,칠언절구 51수가 실려 있
-
이적의 / 李適意 [종교·철학/유학]
1652년(효종 3)∼1725년(영조 1). 조선 후기 문신·학자 증조는 이개립, 조부는 이휘음이다. 부친 이숭언의 6남 중 5남으로 태어났다. 외조부는 이상백이다. 형으로 이달의·이원의·이수의·이술의가 있고, 동생으로 이첨의가 있다. 서형으로 이철의가 있다. 부인은
-
정돈섭 / 丁敦燮 [종교·철학/유학]
1870년(고종 7) 3월 17일∼1947년 6월 14일. 일제 강점기 항일운동가. 증조는 정의찬, 조부는 정원교이다. 부친 정대진과 모친 이개립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박기양의 딸이다. 이병호의 문하에서 수학, 곽종석에게 나아가 주돈이의 태극통서를 공부하였
-
죽일집 / 竹日集 [종교·철학/유학]
김광엽의 문집. 석인본, 서: 유도헌(1901), 발: 김상학, 권상규, 2권 1책. 권1에는 연보와 시 8제, 계사, 차자, 권2에는 이원익과 이개립에게 보낸 편지 4편과 송시 및 증별시 4제, 만사 22제, 묘갈명, 십대손 김상준이 쓴 우곡별묘고유문이 있다. 이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