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강서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
사전(7)
- 이강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면 이천리(梨川里)에 있었던 서원. [내용] 1639년(인조 17)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서사원(徐思遠)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
- 서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힘썼다. 그뒤 1597년 옥과현감(玉果縣監)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고 이듬해 사임하였다. 1602년에도 연기현감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이후 형조ㆍ호조 정랑, 역학교정 등에 임명되었으나 벼슬에 뜻이 없어 모두 응하지 않았다. 대구의 이강서원(伊江書院...이칭별칭 행보(行甫)| 미락재(彌樂齋), 악재(樂齋)
- 죽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있었는지 질의한 것이고, 채제공(蔡濟恭)에게 보낸 글은 자기 선조의 유고의 서문을 지어 준 데 대하여 감사하는 내용이다. 잡저의 「답이강서원문(答伊江書院文)」은 도서재공(都鋤齋公)을 이강서원에 배향하겠다는 서신에 대하여 답한 글이다. 사우연원(師友淵源)으로 보아...
- 도곡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34수, 만(挽) 4수, 부(賦) 3편, 서(書) 6편, 권2에 축문 1편, 제문 4편, 서(序) 2편, 기 2편, 잡저 5편, 권3은 부록으로 행장ㆍ묘갈명ㆍ예조계목(禮曹啓目)ㆍ이강서원봉안문(伊江書院奉安文)ㆍ달성십현(達城十賢) 등이...
- 대구부사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고종연간에 수정 및 보완하였다. 작성시기는 1870년(고종7)을 전후한 시기로 추정된다. 자료의 서두에는 연경서원(硏經書院)을 비롯한 3곳의 사액서원과 이강서원(伊江書院) 등 24개소의 서원과 사우가 열거되어 있다. 이들 서원의 현황은 1871년(고종8)의 서원훼철령...
주제어사전(3)
-
이강서원 / 伊江書院 [교육/교육]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면 이천리(梨川里)에 있었던 서원. 1639년(인조 17)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서사원(徐思遠)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1868년(고종 5)에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
-
도곡문집 / 陶谷文集 [종교·철학/유학]
있다. 권1에 시 34수, 만(挽) 4수, 부(賦) 3편, 서(書) 6편, 권2에 축문 1편, 제문 4편, 서(序) 2편, 기 2편, 잡저 5편, 권3은 부록으로 행장·묘갈명·예조계목(禮曹啓目)·이강서원봉안문(伊江書院奉安文)·달성십현(達城十賢) 등이 수록되어 있다. 잡
-
서사원 / 徐思遠 [종교·철학/유학]
95년(선조 28) 청안현감에 부임하여 학문의 진흥과 후진양성에 힘썼다. 대구의 이강서원, 청안의 구계서원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악재집』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