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강년” 에 대한 검색결과 10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7)

사전(56)

  • 장진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95(고종 32)∼1943. 한말의 의병. [내용] 자는 덕화(德化). 경상북도 예천 출신. 1895년(고종 32) () 휘하에서 도포장(都砲將)으로 임명되어 각지에서 일본군과 교전하였다. 1897년 과 함께 중국으로...
    이칭별칭 덕화(德化)
  • 윤국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82(고종 19)∼1911. 조선 말기의 의병. [내용] 별명은 병정(柄政). 경상북도 예천 출신. 1909년 예천에서 거의(擧義)하여 의병대장 ()의 지휘 아래 풍기ㆍ순흥ㆍ영주 등지에서 유격전에 참가하여 일본관헌을 기습,...
    이칭별칭병정(柄政)
  • 이만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으로 6월에 독전장 겸 유격장(督戰將兼遊擊將)에 임명되어 활약하였다.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된 뒤에는 () 휘하에 들어가 의병활동을 전개하였으며, 1906년에는 도총독장(都總督將)에 임명되어 1908년 6월까지 의병장 을 보좌하면서 제천을 비...
    이칭별칭 산재(汕齋)
  • 장윤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義士)들에게 격문을 보내어 항일투쟁을 호소하였다. 그러나 ()이 문경에서 의병을 일으키자 그의 휘하에 들어가 풍기ㆍ봉화ㆍ예천ㆍ용궁ㆍ문경 등지를 중심으로 일본헌병분파소ㆍ일본군사기지ㆍ일본경찰분서 등을 습격하여 건물을 소각하거나 순검ㆍ경찰보조원 또는 친일반...
    이칭별칭 원숙(元淑)| 성암(惺菴)
  • 김상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처음에는 ()과 함께?문경에서 안동관찰부사 김석중(金奭中)을 처단하는 등 기세를 크게 떨쳤다. 그뒤?제천 유인석(柳麟錫)의 진영에 합류하여 싸웠다. 1907년 고종이 퇴위당하고 정미조약이 체결되자, 과 함께 다시 의병을 일으켜 중군장으로 항전...
    이칭별칭 경대(景大)| 백우(白愚)

고서·고문서(25)

  • 남양군 전임군수 의 청원서에 따르면 “남양군 재임 당시 결호세상납문부를 정산하라고 남양군 수서기 박래익에게 여러 번 통지했는데 끝내 보고하지 않았으니 체포해달라”고 하니, 즉시 엄히 명령하여 올려보내라는 훈령 기안.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50432 B050432 덕포첨사 德浦僉使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憲宗 12年 12月 23日_012 ○趙鳳夏, 以兵批言啓曰, 五衛將·鄭昌義, 慶熙宮衛將崔守謙, 俱以病難供職, 呈狀乞遞, 竝改差, 何如? 傳曰, 允。 以李承道·鄭光禹爲五衛將, 安潤碩爲慶熙將, 金善慶爲訓鍊...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種默, 以次進伏, 醫官·李忠淵·李基澈·鄭楫, 進伏楹外訖。 上曰, 史官分左右。 仍命大臣進前, 淳穆進前問候, 各殿問候訖, 淳穆曰, 醫官待令, 使之入診乎? 上可之。 慶年等, 以次診候, 退伏楹外訖, 淳穆曰, 脈候奏之。 慶年等起伏奏曰, 脈候左右三部調均矣。 上命醫官先退, 淳...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김용현외 1인 판결원본(金龍鉉外 1人 判決原本)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
    고들을 군인 8명을 폭도수괴에게 보낸 이유로 처벌함 동아개진교육회, 유해석, 1. 제목 : 김용현 판결원본 2. 내용 판결원본 충청북도 제천군 현석면 본백리(本白里) 상민, 피고 김용현(金龍鉉) 60세 충청북도 제천군 남면 동막한대리(東幕漢大里) 농민, 피...
    제목김용현외 1인 판결원본(金龍鉉外 1人 判決原本) | 사건유형불응위(不應爲) | 소장처국가기록원
  • 4 第四統統首朴熙永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幼學雲秀年貳拾 壹甲辰婦吳氏年貳拾肆辛丑本海州奴庚子等辛酉戶口相准 第二戶 寡김召史年陸拾貳癸亥本김海父福述祖泰祚曾祖得奉外祖朴之英本 慶州婢日每年壬子等辛酉戶口相准 第三戶 幼學鰥夫朴圭彦年陸拾陸己未本密陽父學生光億祖學生尙旭曾祖學生 萬秀外祖學生김顯匡本김海子敬輝年參拾柒戊子婦崔氏年貳...
    연도_면이름1864년_외남면(外南面) | 면이름외남면(外南面) | 마을이름第四上禿里

구술자료(1)

  • 대장의 충절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장군이나 장사 이야기를 해 달라고 청하자 다음 이야기가 나왔다. *
    조사일시1983-05-23 | 조사장소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 제보자김진홍

신문·잡지(12)

  • 민세안재홍전집 : 殉國先烈追念祭後記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925 1949 11 18 1 1 安民世 안재홍 殉國先烈追念祭後記 신문 한성일보 1면 2단 논설 사회 직접자료 선집외 殉國先烈追念, 安重根,, 全海山, 閔肯鎬, 姜宇奎 金相玉 羅錫疇 A19491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從便往來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남양군슈 씨 죵편왕라신 쳐분을 봉승엿지라 부에셔 궁뎐화로 남양군에 훈령야 리군슈를 곳 올나오라 엿다더라
    게재일1902년 4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禁錮終身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남양군슈 씨는 돈을 라고 셩 류겸슐을 람장야 죽인고로 면관고 죵신금고에 쳐엿더라
    게재일1902년 11월 3일 | 기사분류잡보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命奎章閣學士 景孝殿提調金聲根 命 景孝殿提調 從一品金奎弘 兼任掌禮 秘書丞申性均 温陵叅奉金相필 淑陵叅奉李羲命依願免本官 電話課主事南廷七任温陵叅奉 任淑陵叅奉以上十一月廿日
    게재일1904년 11월 28일 | 기사분류관보
  • 南陽民嗷嗷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남양군수 씨가 민간의 발령야 작년의 임의 상납 결호젼을 밧치라야 부민을 착수고 돈 십만오쳔량을 륵봉지라 남양 셩들이 부의 등소기 그 징돈을 도로차져달나 엿더라
    게재일1902년 9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3)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1380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 1942년 11월 현재(제20호) 1942―12 74면 ; 경기 안성군 보개면 동신리 본과 제12회 1935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3680 남한 경성 경성공립농업학교 1-07 京農(제8호) 校友會會則會員名簿 1932―03―20 248면 ㅁ1. 교우회회원명부;ㅁ1) 통상회원;ㅁ(7) 제2학년 昭組 ; 廣州郡 초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도창의 대강 운강 공의 의병 활약상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도창의 대강 운강 공의 의병 활약상 도창의 대강 운강 공의 의병 활약상 都倡義 大將 雲崗 公의 義兵 活躍相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정보영 | 사료철명문교경북

주제어사전(8)

  • / 李康埏 [정치·법제/정치]

    1858년(철종 9)∼1908년. 한말의 의병장. 1880년(고종 17) 무과 급제하여 선전관이 되었으나, 갑신정변으로 낙향하였다. 1896년 1월 11일 가산을 털어 문경에서 의병을 일으켜 안동관찰사 김석중과 순검 이호윤·김인담을 체포하여 효수하였다. 1908년 6월

  • 제천향교 / 堤川鄕校 [교육/교육]

    충청북도 제천시 교동에 있는 향교. 1389년(공양왕 1)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590년(선조 23)에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으나 임진왜란으로 퇴폐되었으며, 그 뒤 1907년 의병장 ()이 왜군

  • 김선이 / 金仙伊 [역사/근대사]

    . 김상태 의진은 1907년(융희 1) () 의진과 합진하였는데, 1908년(융희 2) 이 체포되자 김상태가 군사 전권을 인계받아 항일 무장투쟁을 지속하였다. 1909년 5월부터 김상태 의진에 가담하여, 경상북도 영천(永川) 및 봉화(奉化) 일대와 강원

  • 박주대 / 朴周大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은사(1836∼1912). 1895년 을미사변 때 창의통유문을 지어 유문에 보내고 안동 의병장 권세연을 비롯하여 ·서상렬 등 의병장을 지원하였다. 또 아버지 박득녕이 써오던《역서일기》를 평생 이어서 썼다. 저서로는《나암유고》·《나암수록》·《문음보》

  • 편강렬 / 片康烈 [역사/근대사]

    1892∼1928. 항일기의 독립운동가. 호는 애사(愛史). (李康埏)의 의병부대에 가담하여 1907년 선봉장 겸 소모장이 되어 구국항일운동에 가담하였다. 1908년 ‘서울진공작전’에 참여하였고, 1911년 ‘105인사건’과 1919년 ‘구월산주비단사건’ 등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