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89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873)
사전(510)
- 이경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43(중종 38)∼1599(선조 32). 조선 중기의 무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효령대군(孝寧大君)의 6대손이며, 철동(哲仝)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광윤(光胤)이고, 아버지는 오위장 간(幹)이며, 어머니는 목사 김홍(金泓)...이칭별칭완령부원군(完寧府院君)
- 이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27(영조 3).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할아버지는 선조의 제13왕자 인흥군 영(仁興君瑛)이며, 아버지는 낭원군 간(朗原君偘)이다. 전성군(全城君)에 봉해졌다. 1695년(숙종 21) ...이칭별칭전성군(全城君)
- 이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167(의종 21)∼1216(고종 3). 고려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경원(慶源 : 지금의 인천), 초명은 방영(方榮), 자는 거화(去華)이다. 문종 때의 척신(戚臣) 자연(子淵)의 손자인 자덕(資德)의 증손이며, 아버지는 수사공...이칭별칭 거화(去華)|방영(方榮)
- 이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76(선조 9)∼1637(인조 15). 임진왜란 때 의병. [내용] 본관은 영천(永川). 자는 공직(公直), 호는 괴암(乖庵), 영천(永川) 대전리(大田里)에서 출생. 아버지는 종사랑(從仕郞) 개신(介臣)이며 어머니는 월성이씨(月城李氏...이칭별칭 공직(公直)| 괴암(乖庵)
- 이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40(인조 18)∼1699(숙종 25). 조선 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화숙(和叔), 호는 최락당(最樂堂). 선조의 증손으로, 아버지는 인흥군 영(仁興君瑛)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처음에는 도정에 봉해졌으...이칭별칭 화숙(和叔)| 최락당(最樂堂)|낭원군
고서·고문서(2,973)
- 玆山易柬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760 易學緖言 卷四 ITKC_MP_0597A_0760_060_0010 玆山易柬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권차명易學緖言 卷四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經史門3_呂夷簡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呂夷簡 呂夷簡圖廢郭后, 《宋史》載之, 而朱子亦取夷簡于《名臣錄》中. 意者, 史臣所擇, 或因閭巷傳說, 朱子未曾聞知者, 又或野史、小說之類, 未必皆信. 一爲所錄, 遂成眞有耶? 古今若此者, 亦或有之, 未可知也. 按, 《禮》: “爲君斬衰, 視父也; 爲君之母、妻, 只從服期; 而命...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經史門7_執藝以諫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執藝以諫 《周禮》六官, 不立諫司, 惟保氏一職, 掌諫王惡, 屬之司徒. 司徒掌敎之官, 敎民須先其養, 故土地衣食之具, 皆其所司, 非如後世貨財之府也. 敎而不從, 又須責罰以懲之. 故師氏以媺詔王, 保氏諫王之惡, 亦其宜也. 至於袞職闕失, 凡爲臣者, 莫非當諫之職, 故曰: “工執藝事...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四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呂夷簡【許國文靖公】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宋名臣言行錄 前集 卷六 呂夷簡【許國文靖公】 주희(朱熹), 이유무(李幼武) 56 呂夷簡【許國文靖公】 字坦夫其先萊州人徒夀州進士及第相仁宗配享廟庭 河北自五代末即筭田鎛公嘆曰王道本於農此何名哉因表除之朝廷推其法他路自是農器無征祥符末王沂公知制誥朝望日重一日至中書見王文正公公問君識一呂夷簡否...서명宋名臣言行錄 | 저자주희(朱熹), 이유무(李幼武)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吏之作奸,史爲謀主,欲防吏奸,怵其史,欲發吏奸,鉤其史。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240 牧民心書 卷四 ITKC_MP_0597A_1240_010_0180 吏之作奸,史爲謀主,欲防吏奸,怵其史,欲發吏奸,鉤其史。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권차명牧民心書 卷四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21)
- 이간질하는 신 나라인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네팔 20180206_055_020_네팔_01_스레스탄졸티_E_이간질 하는 신 나라인 민속·문화 이간질하는 신 나라인 2018. 02. 06(화) 오후 경상남도 진주시 상대 2동 YWCA 스레스탄졸티 [네팔, 여, 1987년생, 결혼이주 11년차] 조사자 포함 5인국가네팔 | 제보자스레스탄졸티 [네팔, 여, 1987년생, 결혼이주 11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쥐가 열두 띠의 첫 번째가 된 이유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아닐 수도 있다면서 걱정을 하였다. 조사자가 호티홍녀 제보자에게 괜찮다고 안심을 시킨 뒤 아는 이야기가 있으면 더 들려달라고 요청하였다. 호티홍녀 제보자가 한국에 십이간지가 있는 것처럼 베트남에도 십이간지가 있다면서 구연을 시작하였다. 호티홍녀 제보자가 구연 초반, 십국가베트남 | 제보자호티홍녀(한수아) [베트남, 여, 1986년생, 결혼이주 11년차] 엔티터번(이연아) [베트남, 여, 1984년생, 결혼이주 11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낙타가 열두 띠에 들지 못한 이유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지게 되었다. 십이간지, 열두 띠, 쥐, 낙타, 달리기시합, 가로채기, 탈락, 수흐바타르알탄바가나, 몽골, 강원도, 원주시 그, 열두 개 띠를 지을려고, 달리기 운동했어요. 그랬다가 뭐가 빠졌냐면, 낙타가 빠졌어요. [조사자: 낙타?] 예. 낙타가 왜 빠졌냐면, 이국가몽골 | 제보자수흐바타르알탄바가나 [몽골, 여, 1966년생, 결혼이주 1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경상 20180206_경상남도 진주시 상대 2동 YWCA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01_스레스탄졸티_E_카스트를 정해주는 신 20180206_055_020_네팔_01_스레스탄졸티_E_이간질 하는 신 나라인 20180206_055_021_네팔_01_스레스탄졸티_M_시바와 사티 20180206_055_022_네팔_01_스레스탄졸티_LS_한국에서의 어려움제보자스레스탄졸티 [네팔, 여, 1987년생, 결혼이주 11년차] 어디갈디걸퍼나 [네팔, 여, 1991년생, 결혼이주 5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네팔_스레스탄졸티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졸티_E_카스트를 정해주는 신 20180206_055_020_네팔_01_스레스탄졸티_E_이간질 하는 신 나라인 20180206_055_021_네팔_01_스레스탄졸티_M_시바와 사티 20180206_055_022_네팔_01_스레스탄졸티_LS_한국에서의 어려움 201802원국적네팔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9)
- 낭원군 이간의 시조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육민수, 게재일 : 201025727 육민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반교어문학회 2010 낭원군 이간의 시조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유형논문 | 게재일2010
- 李柬의 心論에 대한 體系的 이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최해숙, 게재일 : 200309677 최해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유교학회 2003 李柬의 心論에 대한 體系的 이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외암기에 나타난 외암 이간의 생애와 학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윤종빈, 게재일 : 200920859 윤종빈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동철학회 2009 외암기에 나타난 외암 이간의 생애와 학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유형논문 | 게재일2009
- 위암 이간의 인물성동론과 심성일치론에 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468628 한국연구재단 Monthly Review of Philosophy and Culture 2014 위암 이간의 인물성동론과 심성일치론에 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이간과 한원진의 심성논변 전개과정과 철학적 함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천승, 게재일 : 200724905 이천승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상문화학회 2007 이간과 한원진의 심성논변 전개과정과 철학적 함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07
신문·잡지(335)
- 外大調理間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외부대신 셔리 유긔환씨가 실병으로 직상소 엿더니 비지에 실병이 이갓다니 됴리간에 협판최영하가 대신무를 아즉 셔리라 셧더라게재일1902년 4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 調理間署理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궁부 셔리대신 윤뎡구씨의 됴리간은 협판 죠뎡구씨가 셔리 무를 피임엿더라게재일1902년 9월 1일 | 기사분류잡보
- 貿易懇談會 開催決定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貿易懇談會 開催決定 1933년 9월29일 서울 서울 경성상공회의소가 역원회를 개최하여 일만무역간담회 개최에 관한 건을...대표표제어貿易懇談會 開催決定 | 연월일1933년 9월29일 | 지역서울
- 張經濟使節과 對支貿易懇談 關係方面人士會合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張經濟使節과 對支貿易懇談 關係方面人士會合 1935년 3월17일 서울 서울 경성상공회의소는 19일 동 소에서 간담회를대표표제어張經濟使節과 對支貿易懇談 關係方面人士會合 | 연월일1935년 3월17일 | 지역서울
- 校洞十六統三戶瓦家七間草家二間合九間家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校洞十六統三戶瓦家七間草家二間合九間家舍난民有家로新舊判刻文券이昭在거날大嬪宮守直內官金國柱가該宮所屬公廨라假稱고欲奪民家기로兩次裁判에金國柱之落訟訴츅이確實尙且譎計로本人이偷賣宮家意로大韓每日申報에揭載얏기로本人이裁判을請야도應訟치아니고逃避不現니可謂不良悖類이기로金國柱의...게재일1907년 6월 3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25)
- 이간재;李艮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1203 남한 충남 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졸업증서교부부(1925년도 이후) n.r. 42면 5. 제18회 졸업증서교부자명부 이간재;李艮載 1932년 3월 9일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간운;李幹運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0769 일본 東京 일본대학 회원명부 1932년 4월 현재 1932―04―10 513면 이간운;李幹運 조선 1930년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일본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간인;李玕寅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5173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1942년 11월 현재, 제20호) 1942―12 58면 이간인;李玕寅 경기 수원군 수원면 신풍리 본과제7회 1930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간난;李干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4671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회원명부 1939―12―20 45면 (학과)본과 이간난;李干蘭 13회 1924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간난;李干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8417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회원명부 1939―12―20 45면 (학과)본과 이간난;李干蘭 13회 1924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8)
-
이간 / 李柬 [종교·철학/유학]
1677-1727. 조선 숙종때의 유학자. 권상하의 제자이다. 인물성동론과 미발순선설을 주장하여 동문인 한원진과 일대 논쟁을 벌였다. 이것이 유명한 호락논쟁이다. 그의 입장이 낙론이고 한원진과 그 스승인 권상하의 입장이 호론이다. 저서에 <외암집>이 있다.
-
홍이간 / 洪履簡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53∼1827). 아버지는 선양이다. 음사로서 관직에 나아가, 의금부도사·남부령·형조좌랑·임실현감을 지냈다. 이후 공조좌랑·안성군수·전주부판관·밀양부사·경주부윤 등을 역임하고 동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저서로 《남헌고》가 있다.
-
이건하 / 李乾夏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35∼?). 1864년(고종 1)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부교리가 되었다. 이후 형조판서·중추원부의장 등을 지냈다. 1904년 상소를 올려 일본의 황무지개척권 확보를 저지하였다. 국권강탈 후 일본정부로부터 남작의 지위를 받았다.
-
영월 문곡리 건열구조 및 스트로마톨라이트 / 寧越文谷里乾裂構造─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영월군 문곡리 영월초등교육박물관 북쪽 문곡천 절벽 주변에 있으며, 2000년 3월 16일에 천연기념물 제413호로 지정되었다. 영월 문곡리 건열구조 및 스트로마톨라이트는 약 4∼5억 년 전에 생긴 오르도비스기 하부 고생대 지층에 형성되어 있다. 이 암석층에 건
-
심지원 / 沈之源 [역사/조선시대사]
1593(선조 26)∼1662(현종 3).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감찰 금(錦)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숙천부사 종침(宗忱)이고, 아버지는 감찰 설(偰)이다. 어머니는 청원도정(靑原都正) 이간(李侃)의 딸이다. 대표관직으로는 검열, 교리, 헌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