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의흥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오위
연구성과물(69)
사전(41)
- 의흥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였고, 이것이 1457년(세조 3)에 의흥위로 개편되는 것이지만, ‘의흥’이라는 명칭은 조선 건국 초의 국왕의 친위부대로서 설치하였던 의흥친군위(義興親軍衛)에서 기원하는 것이다. 그 구성에 있어서 병종별(兵種別)로는 처음에 갑사(甲士)와 근장(近仗)이, 146...이칭별칭중위
- 의흥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시대 오위(五衛) 중, 중위(中衛)로서 두었던 군대정의조선 시대 오위(五衛) 중, 중위(中衛)로서 두었던 군대 | 문광부표기Uiheungwi | MR표기Ŭihŭngw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의흥위(義興衛)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의흥위 의흥위 義興衛 중위(中衛) 오위(五衛), 의흥시위사(義興侍衛司), 의흥친군좌위(義興親軍左衛) 정치군사·국방/편제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조선 윤훈표 1457년(세조 3) 1882년(고종동의어중위(中衛) | 관련어오위(五衛), 의흥시위사(義興侍衛司), 의흥친군좌위(義興親軍左衛)
- 오순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도로 기력이 좋아 특명으로 겸사복(兼司僕)이 되었다. 1467년 북정(北征)의 공로로 2등공신이 되고, 이어 이시애(李施愛)의 난 진압에 참여하여 적개공신행의흥위부호군(敵愾功臣行義興衛副護軍)이 되었다. 행상호군(行上護軍)으로 죽자 정충출기적개공신(...이칭별칭두원군(荳原君)
- 중위(中衛)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중위 중위 中衛 오위(五衛) 의흥위(義興衛) 전위(前衛), 후위(後衛), 좌위(左衛), 우위(右衛) 정치군사·국방/편제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김종수 [정의] 조선전기 오위(五衛)의 하나로서...상위어오위(五衛) | 동의어의흥위(義興衛) | 관련어전위(前衛), 후위(後衛), 좌위(左衛), 우위(右衛)
고서·고문서(28)
- 朴承任을 折衝將軍 行義興衛 副護軍에 임명하는 敎旨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798 1558_01 朴承任을 折衝將軍 行義興衛 副護軍에 임명하는 敎旨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박승임 종가, 일상생활,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SP013.JPG 朴承任을 折衝將軍 行義興衛 副護軍에 임명하는 敎...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소수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朴震英을 折衝將軍 行義興衛 副司猛에 임명하는 敎旨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192 1186_01 朴震英을 折衝將軍 行義興衛 副司猛에 임명하는 敎旨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박진영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MP037.JPG 朴震英을 折衝將軍 行義興衛 副司猛에 임명하는 敎...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국립 진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朴震英을 折衝將軍 行義興衛 副司猛에 임명하는 敎旨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193 1186_02 朴震英을 折衝將軍 行義興衛 副司猛에 임명하는 敎旨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박진영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MP037.hwp 敎旨 朴震英爲折 衝將軍行義 興衛副司猛 者 天啓...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국립 진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1652년 윤선도(尹善道)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652년(孝宗3) 4월 5에 윤선도를 절충장군 행 의흥위부사직에 임명하는 문서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1463년 정종아(鄭從雅)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463년(세조 9) 7월 6일에 세조가 정종아를 위의장군행의흥위중부섭사용겸용양위후부장으로 임명하면서 내려주는 문서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주제어사전(2)
-
의흥위 / 義興衛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초·중기에 군사조직의 근간을 이루었던 오위의 하나. 중위이다. 조선 건국 초부터 중앙군사조직은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1451년(문종 1)에 오사로 되는 가운데 하나가 의흥사였고, 이것이 1457년(세조 3)에 의흥위로 개편되었다. 병종별로는 처음에 갑사
-
오위 / 五衛 [정치·법제/국방]
조선 초·중기에 근간을 이루었던 군사조직. 의흥위(義興衛)·용양위(龍驤衛)·호분위(虎賁衛)·충좌위(忠佐衛)·충무위(忠武衛)를 말한다. 이후 ≪경국대전≫에는 의흥위에 갑사와 보충대(補充隊), 용양위에 별시위와 대졸(隊卒), 호분위에 족친위(族親衛)·친군위(親軍衛)·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