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의천” 에 대한 검색결과 1,36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45)

사전(275)

  • 석원사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시대의 승려 ()이 불교의 역사적 사실 등을 집대성하여 지은 책. [내용] 총 250권이었으나 현재는 권191∼195까지 5권을 합한 1책만 남아 있다. 은 불교의 귀중한 사기(事記) 등의 잡문(雜文)이 차츰 없어지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055(문종 9)∼1101(숙종 6). 고려 중기의 승려. [개설] 속명은 왕후(王煦). 호는 우세(祐世). 법명은 . 경기도 개성 출신. 아버지는 고려 제11대 왕인 문종이며, 어머니는 인예왕후(仁睿王后) 이씨(李氏)이다. 불교
    이칭별칭 우세(祐世)| 대각국사(大覺國師)|왕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문경 봉암사, 춘천 문수사, 충주 월악산 덕주사, 대구 용연사, 태백산 각화사, 거창 연수사, 가야산 해인사에 탑을 세우고 봉안하였으며, 정골은 대곡사(大谷寺)에 탑을 세우고 봉안하였다. 그의 법맥은 휴정(休靜)-편양-으로 이어지며, 법을 이은 제자로는 조영...
    이칭별칭 지경(智鏡)| 환적(幻寂)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16(숙종 42)∼1762(영조 38). 조선 후기의 승려. [내용] 성은 김씨. 호는 송암(松巖). 어머니는 손씨이다. 해가 뜨는 태몽을 꾸고 낳았다고 하며, 14세에 출가하여 건봉사(乾鳳寺) 석흡(釋洽)의 제자가 되었고, 월봉(月峯...
    이칭별칭 송암(松巖)
  • TD_L14_S_0121 인물 僧統 元祐二年, 文宗十九年乙巳五月 高麗, 錢塘, 三韓, 吳中, 金山, 靈通寺, 宋 東坡, 楊傑, 楊傑次公, 了元, 煦, 宋哲宗 東史, 宗室傳 S_18_01_43 성호사설 18권 1장 43절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18권 1장 4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822)

  • 구에서 새로운 출발이냐비노니 되옵기를 백사 되여주소종四二九二년 七월 八일 수정
    가사유형영사가류 | 소장처조춘호 | 시대해방이전
  • 世宗實錄地理志 卷第一百五十五 咸吉道 郡 23 知郡事一人兼永興道左翼兵馬本高句麗 泉井郡【一云於乙買】新羅改井泉郡高麗時稱湧州成宗乙未置防禦使後改爲宜州本朝太宗癸巳例改今名別號宜城又稱東牟屬縣一鎭溟或稱圓山縣又名水江顯王戊午置鎭溟縣令官後爲屬縣盤龍山【在郡西郡人以爲鎭山】四境東距大海七里...
    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經史門1_僧統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僧統僧統: 와세다대본에는 ‘僧說’로 되어 있다. 東坡《送楊傑詩ㆍ序》云: “傑奉詔, 與高麗僧統遊錢塘.” 其詩曰: “三韓王子西求法, 鑿齒、彌天兩勍敵.” 註云: “元祐二年, 高麗僧, 航海至明州. 傳云: ‘棄王位出家.’ 上疏乞遍歷叢林, 問法受道, 有詔, 朝奉...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八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3 第三統統首高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04년_농소면(農所面) 1804년 농소면(農所面) 第十八加大里 3 第三統統首高 第一戶 幼學高年肆拾肆辛巳本龍潭父學生鳳聲生父學生鳳郁祖學生景秀 曾祖學生尙道外祖學生金順哲本金海妻梁氏年肆拾伍庚辰籍南原父學生龜 海祖學生命載曾祖學生祥仁外祖學生鄭致佑本東萊子...
    연도_면이름1804년_농소면(農所面) | 면이름농소면(農所面) | 마을이름第十八加大里
  • 38 第三十八統統首韓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79년_내상면(內廂面) 1879년 내상면(內廂面) 第二南洞里 38 第三十八統統首韓 第一戶 幼學韓年參拾貳戊申本淸州父學生周祐祖學生龍謙曾祖 學生興守外祖學生김宗伯本김海妻張氏年貳拾肆丙辰本仁同父幼學文 箕祖學生泰殷曾祖學生應潤外祖學生吳太主本海州婢甘春年癸...
    연도_면이름1879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二南洞里

기초학문(9)

  • 大覺國師の祖師認識と'宗派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7
    68379 한국연구재단 日本印度學佛敎學硏究所 2017 大覺國師の祖師認識と'宗派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
    유형논문 | 게재일2017
  • 大覺國師 ‘傳記’의 유형별 기재방식과 특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윤진, 게재일 : 2012
    57143 박윤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고려사학회 2012 大覺國師 ‘傳記’의 유형별 기재방식과 특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고려전기 撰 『圓宗文類』 所收 불교 문헌의현황과 전승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용진, 게재일 : 2017
    15828 박용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연구소 2017 고려전기 撰 『圓宗文類』 所收 불교 문헌의현황과 전승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
    유형논문 | 게재일2017
  • 고려중기 불교교육과정 연구: 의 생애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미종, 게재일 : 2014
    20855 이미종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교육사학회 2014 고려중기 불교교육과정 연구: 의 생애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농산물 인터넷 쇼핑몰의 구매의도 영향요인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전의천, 게재일 : 2003
    02146 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산업경제학회 2003 농산물 인터넷 쇼핑몰의 구매의도 영향요인에 관한 비교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
    유형논문 | 게재일2003

신문·잡지(104)

  • 淸廷大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쳥국졍부대관 즁에 쳔젼된쟈이 만흔 원셰가 각부춍리 임명터 이라더라
    게재일1907년 8월 10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 陰曆四月五日은吾敎日이기로紀念儀式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陰曆四月五日은吾敎日이기로紀念儀式를本日上午十時로부터十二時지奉行되式塲은總部와各傳室로定 天道敎 中央總部告白
    게재일1906년 4월 27일 | 기사분류광고
  • 陰曆四月五日은吾敎日이기로紀念儀式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陰曆四月五日은吾敎日이기로紀念儀式를本日上午十時로부터十二時지奉行되式塲은總部와各傳室로定 天道敎 中央總部告白
    게재일1906년 4월 26일 | 기사분류광고
  • 대만출판경찰보 006호 혁명군인삼민주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대만 언론·출판 문헌 근대 대만출판경찰보 006호 혁명군인삼민주설 혁명군인삼민주설(革命軍人三民主說) 미기재 민지서국(民智書局) 상해(上海) 대만_1929년 12월 23일 금지 안녕 미기재 혁명군인삼민주...
    대표표제어대만출판경찰보 006호 혁명군인삼민주의천설 | 출판물명혁명군인삼민주의천설(革命軍人三民主義淺說)
  • 출판경찰보 113호 삼민주자과 잠행본갑종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일본 언론·출판 문헌 근대 출판경찰보 113호 삼민주자과 잠행본갑종 삼민주자과(三民主字課) 잠행본갑종(暫行本甲種) 제2책(第二冊) 1934년 9월 3판(版) 미기재 교육부편심처(敎育部編審處) 상해(上海) 일본_1938년 ...
    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113호 삼민주의천자과 잠행본갑종 | 출판물명삼민주의천자과(三民主義千字課) 잠행본갑종(暫行本甲種) 제2책(第二冊) 1934년 9월 3판(版)

멀티미디어(117)

  • 동아시아 불서의 확산_ _3주차_1차시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 동국대학교]
    대를 고민했던 인물들의 삶과 그들의 선구자적인 업적을 살펴봄으로서 한국불교를 이해할 수 있다. 1주차. 고려불교 어떻게 볼 것인가? 2주차. 화엄교학의 대표자 균여 3주차. 동아시아 불서의 확산, 4주차. 한국선의 탄생, 지눌 5주차. 임제선의 태고보우, 나옹
    강좌제목고려 조선의 불교 인물 | 강의자Kang Hosun
  • 동아시아 불서의 확산_ _3주차_2차시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 동국대학교]
    대를 고민했던 인물들의 삶과 그들의 선구자적인 업적을 살펴봄으로서 한국불교를 이해할 수 있다. 1주차. 고려불교 어떻게 볼 것인가? 2주차. 화엄교학의 대표자 균여 3주차. 동아시아 불서의 확산, 4주차. 한국선의 탄생, 지눌 5주차. 임제선의 태고보우, 나옹
    강좌제목고려 조선의 불교 인물 | 강의자Kang Hosun
  • 동아시아 불서의 확산_ _3주차_3차시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 동국대학교]
    대를 고민했던 인물들의 삶과 그들의 선구자적인 업적을 살펴봄으로서 한국불교를 이해할 수 있다. 1주차. 고려불교 어떻게 볼 것인가? 2주차. 화엄교학의 대표자 균여 3주차. 동아시아 불서의 확산, 4주차. 한국선의 탄생, 지눌 5주차. 임제선의 태고보우, 나옹
    강좌제목고려 조선의 불교 인물 | 강의자Kang Hosun
  • 동아시아 불서의 확산_ _3주차_4차시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 동국대학교]
    대를 고민했던 인물들의 삶과 그들의 선구자적인 업적을 살펴봄으로서 한국불교를 이해할 수 있다. 1주차. 고려불교 어떻게 볼 것인가? 2주차. 화엄교학의 대표자 균여 3주차. 동아시아 불서의 확산, 4주차. 한국선의 탄생, 지눌 5주차. 임제선의 태고보우, 나옹
    강좌제목고려 조선의 불교 인물 | 강의자Kang Hosun
  • 동아시아 불서의 확산_ _3주차_5차시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 동국대학교]
    대를 고민했던 인물들의 삶과 그들의 선구자적인 업적을 살펴봄으로서 한국불교를 이해할 수 있다. 1주차. 고려불교 어떻게 볼 것인가? 2주차. 화엄교학의 대표자 균여 3주차. 동아시아 불서의 확산, 4주차. 한국선의 탄생, 지눌 5주차. 임제선의 태고보우, 나옹
    강좌제목고려 조선의 불교 인물 | 강의자Kang Hosun

기타자료(18)

  • 행신;幸信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8222 남한 경남 東萊高等普通學校 2-22 卒業證書臺帳 제1호(冊中1号) n.r. 112면 - 행신;幸信 1943년 3월 1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東萊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종성;李鍾聲;종성;鍾聲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3571 남한 경성 휘문중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146면 이종성;李鍾聲;종성;鍾聲 경기도 용인군 원삼면 사암리;京城藥學전문학교 제3회 1941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장항성;張恒誠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2179 일본 京都 京都帝國大學 京都帝國大學朝鮮學生同窓會 제6호 1941―12―30 237면 장항성;張恒誠 面 학부학생졸업생 1931년
    학교소재지역京都 | 학교명京都帝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강세;李康世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修業 예정) 이강세;李康世 (근무지 또는 현주소)양주군 와부면사무소;(본적)양주군 구리면 리 329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발해 사신에게 연회를 베풀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에게도 몸소 물건을 내려 주셨다. 아울러 연회를 베풀어 주도록 하셨다”고 하였다. (『續日本後紀』 19 仁明紀) 【원문】 (五月)癸亥 遣公卿於朝堂 饗客徒 宣詔曰 天皇我詔旨良萬止宣布勅命乎 使人等聞給與止宣波久 皇朝乎拜仕奉天 國爾還退倍支時近在爾奈毛 國王爾祿賜比 文矩等爾...
    대표표제어발해 사신에게 연회를 베풀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48년(戊辰/신라 문성왕 10/발해 이진 19 咸和 19/唐 大中 2/日本 承和 15, 嘉祥 1)

주제어사전(24)

  • / [종교·철학/불교]

    1055-1101. 고려의 승려. 성은 왕씨, 이름은 후이다. 고려 문종의 아들이다. 11세 축가하여 영통사에 있었다. 15세에 우세라는 호를 얻고 승통이 되었다. 31세 송나라로 유학을 떠나 화엄사상과 천태사상을 공부하였다. 32세에 귀국하였다. 이때 3천여 권의

  • / 李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76∼1753). 1713년(숙종 39)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헌납·지평·장령·사간을 거쳐 1726년(영조 2) 좌부승지에 이르렀다. 신임사화 때에는 조태구·유봉휘를 주살하기를 주장하는 계를 올렸다.

  • 교장도감 / 敎藏都監 [종교·철학/불교]

    고려시대 속장경의 판각사무를 관장하던 관서. 송나라에 다녀온 ()의 요청으로 선종이 1086년(선종 3) 흥왕사(興王寺)에 설치하였다.

  • 교장 / 敎藏 [종교·철학/불교]

    고려전기 승려 이 대장경에 대하여 해석한 장소(章疏)를 수집하여 목록을 정리한 불교서. 불교주석서. 이 교장(敎藏)은 그 동안 속장(續藏), 속장경(續藏經), 속대장경(續大藏經) 등으로 알려져 왔으나 이는 잘못 알려진 것이다. 이 교장은 (: 1055년

  • 대반열반경소 / 大般涅槃經疏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석가류(釋家類) 법현(法賢) 술, () 교, 영인본, 조선총독부, 1924, 2권 1책(권9-10). 석사가 설법한 교의를 담은《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을 주석한 책이다. 순천송광사장본(順天松廣寺藏本)을 조선총독부에서 영인한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