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의정대신” 에 대한 검색결과 7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2)

사전(3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96∼1907년간에 설치되었던 의정부의 수석대신. [내용] 현재의 국무총리격이다. 이전의 총리대신이 1896년 9월부터 1905년 2월에는 명칭이 의정이었다가 그뒤 으로 바뀌었고 1907년 6월에 다시 총리대신으로 바뀌었다. ...
    이칭별칭의정|총리대신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정부(議政府) 총리대신(總理大臣) 내각(內閣), 내각(內閣) 총리대신(總理大臣), 주임대신(主任大臣)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대한제국 고종 왕현종 189...
    상위어의정부(議政府) | 동의어총리대신(總理大臣) | 관련어내각(內閣), 내각(內閣) 총리대신(總理大臣), 주임대신(主任大臣)
  • 황보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이다. 문종에게서 유언으로 왕세자의 장래를 부탁받는다. 왕세자가 단종이 되어 왕위에 오르자 왕을 보필하나, 수양대군이 보낸 무사에게 맞아 죽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분선공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선공감(繕工監)의 일을 나누어 맡아보던 임시관서. [내용] 분선공감은 공조(工曹)에서 관장하는 선공감과 달리 ()들에 의해 통섭(統攝)되어 인신(印信)을 소유하고 전곡(錢穀)을 비축하고 군졸(軍卒)을 부렸기에 폐지...
    이칭별칭선결도감(繕缺都監)
  • 참정대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 의정부(議政府)의 관직. [내용] 1896년부터 1907년까지의 의정부 직원이며, 다음 서열이다. 1896년 9월 신설 당시의 명칭은 참정이었고, 1905년 2월 참정대신으로 바뀌었다. 칙임관으로 1898년 6...

고서·고문서(17)

  • 조선시대 역학서:1768_몽어유해(補)_不開的窓 붓박이창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
    다 抹泥 지다 文臣 文臣 武臣 武臣 散秩大臣 散秩大臣 大學士 大學士 學士 學士
    편명1768_몽어유해(補)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李太王實錄資料 18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咸寧殿에서 을 소견하였다는 내용으로 『李太王日省錄』(479)에서 채록하였다. 본문에는 황태자의 탄신일인 千秋慶節에 대해 의정부 의정 尹容善이 경축하고 고종의 안부를 묻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정욱재 2016. 10. 24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6. 10. 24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太王實錄資料 19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서 閔泳奎를 소견하였다는 내용으로 『李太王日省錄』(557)에서 채록하였다. 본문에는 민영규가 칙서를 받았다는 내용이 실려 있다. 정욱재 2016. 10. 27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6. 10. 27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太王實錄資料 19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齋에서 趙秉鎬를 소견하였다는 내용으로 『李太王日省錄』(564)에서 채록하였다. 본문에는 조병호가 칙서를 받았다는 내용이 실려 있다. 정욱재 2016. 10. 27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6. 10. 27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熹公實錄資料 2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3001472014300147_001 李熹公實錄資料 2 자료제78호 東國歲時記 궁내청 공문서관 85351 02 10 正月 설날에 이 百官을 거느리고 대궐에 나가 새해 문안의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신문·잡지(5)

  • 윤용션씨 샤직 샹소를 엿...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윤용션씨 샤직 샹소를 엿더니 비지가 나리시기를 다시 양말고 곳 이러나 시무 라 옵셧다더라
    게재일1899년 11월 28일 | 기사분류잡보
  • 提調任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민영규씨 태의원 도졔됴를 임고 죠의정병호씨가 태의원 도졔됴를 피임엿다더라
    게재일1906년 6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 設官守護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신라탈왕 뎐각을 경쥬월셩거 손씨등이 영건얏그 뎐각의 칭호를 나리실일과 관리를 셜치야 졔향등 례졀을슝덕슝혜량뎐 뎐례를의야 시로 죵일품 리근슈씨의 상소를인야 원임 의 흔의로 칙교를 하 그뎐호를 헌판에 향등 졔반 의졀은 손성즁으로 관원을여...
    게재일1906년 12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敍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農商大臣朴齊純解署理事務四月一日 解署理大臣事務內部協辦李鳳來 學部大臣李載克命署理內部大臣事務以上四月二日 解法國公使官叅書官李 琦 法國公使官書記生金明秀任法國公使館叅書官 九品金基璋仝權봉洙任公使館官叅書官以上三月卅一日 秘書丞徐相薰西京豐慶宮叅書官尹炳奎依願免本官 任秘書丞正三品朴...
    게재일1905년 4월 5일 | 기사분류관보
  • 조선출판경찰월보 117호 조선총사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완용의 집은 불타고 같은 달 20일에는 종로에서 군중집회를 해서 일본 헌병과 군대까지 출동했다. 의정부 참정 이상설과 법부 주사 안병찬 등은 각하를 뵈러가서 신조약의 취소를 호소했다. 전 조병세와 시종 무관장 민영환 등 200여 명이 궁궐에서 각하를 뵙고 엎드...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117호 조선총사 | 출판물명조선총사(朝鮮總史)

기타자료(12)

  • 83-1. 별첨 1―1906년 8월 27일자 관보에 실린 고지(告知)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진해만과 영흥만 군항 건설 예정지 약도 및 관련 조항 군항 건설 예정, 약도, 금지, 진해, 영흥, 저당, 임대, 금지 프랑스어(번역) 2_CFD83-1.pdf (탈초)2_CFD83-1.pdf pdf 박제순, 의정부 프랑스 외무부 ...
    집필자박제순, 의정부 의정대신 | 작성연도1910년 | 작성월일9월 02일 | 발신자F. 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 수신자부르주아, 프랑스 외무부 장관
  • 71. 대한제국 황태자의 혼례식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식, 황태자, , 일본 천황, 황자, 영사단, 알현, 통감, 벨기에 총영사, 통역관, 대외관계, 국내정치, 대한제국, 외척, 기념 메달, 궁내부, 창덕궁 프랑스어 7_CFD71.pdf (탈초)7_CFD71.pdf pdf J. 블랭, 대한제국...
    집필자J. 블랭,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작성연도1911년 | 작성월일1월 26일 | 발신자J. 블랭,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수신자S. 피숑, 프랑스 외무부 장관
  • 51-2. 별첨 2―민영환, 민영규, 류정훈, 심상훈, 이종건이 서울 주재 프랑스공화국 공사에게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이종건 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전권공사 민영환, 민영규, 류정훈, 심상훈, 이종건, 조병세, 베르토 한일보호조약 체결, 조병세 체포 국사(國事)의 극도로 심각한 상황으로 인해 조병세 전(前) 은 모든 관리들이 서명한 상소를 황...
    집필자민영환, 민영규, 류정훈, 심상훈, 이종건 | 작성연도1909년 | 작성월일11월 29일 | 발신자민영환, 민영규, 류정훈, 심상훈, 이종건 | 수신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전권공사
  • 76-1. 별첨 1―국가 소유 동산 및 부동산 관리 규정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보고한다. 제4조 추가 조항 본 칙령은 반포된 날부터 시행된다. 1906년 7월 19일 황제의 직인 황제의 추신 의정부 박제순 탁지부대신 민영기가 조칙을 수령함 원본대조필 번역 총영사관 부영사 F. 베르토 Annexe au Rapport n°...
    집필자통감부 | 작성연도1910년 | 작성월일8월 15일 | 발신자F. 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 수신자프랑스 외무부 장관
  • 98-1. 별첨 1―1906년 10월 19일 일본과 대한제국 간의 압록강 지역 산림에 관한 협약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사업에 참여시키는 회사의 설립이 필요할 경우, 두 정부의 동의하에 조직을 결정할 것이다. 1906년 10월 19일, 서울 서명. 통감 이토 박제순 재부대신 민용기 농상공부대신 권정윤(?) TRAITE CONCERNANT LES FORETS DU YALU...
    집필자일본 정부, 대한제국 정부 | 작성연도1910년 | 작성월일10월 20일 | 발신자F. 쿠예, 일본 주재 프랑스 대리공사 | 수신자S. 피숑, 프랑스 외무부 장관

주제어사전(4)

  • / [역사/근대사]

    구한말 설치되었던 의정부의 수석대신. 현재의 국무총리격으로, 1896년 9월부터 1905년 2월에는 명칭이 의정이었다가 그뒤 으로 바뀌었고, 1907년 6월에 다시 총리대신으로 바뀌었다. 은 칙임관 정1품으로 각부 대신을 통솔하여 정부 각 부서의 행정전

  • 참정대신 / 參政大臣 [역사/근대사]

    구한말 의정부의 관직. 1896년부터 1907년까지의 의정부 직원이며, 다음 서열이다. 1896년 9월 신설 당시의 명칭은 참정이었고, 1905년 2월 참정대신으로 바뀌었다. 칙임관으로 1898년 6월까지는 내부대신이 당연직으로 겸임하다가 1898년 6월 이

  • 분선공감 / 分繕工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선공감의 일을 나누어 맡아보던 임시관서. 분선공감은 공조에서 관장하는 선공감과 달리 들에 의해 통섭되어 인신을 소유하고 전곡을 비축하고 군졸을 부렸기에 폐지가 논의되다가 1485년(성종 16)에 선결도감으로 개칭되었다.

  • 찬정 / 贊政 [역사/근대사]

    1896년부터 1905년까지 의정부에 소속된 직원. 1896년 9월 신설되었고 전임찬정과 각부 대신이 당연직으로 겸임하는 찬정 두 종류가 있다. 전임찬정은 5인이고 겸임찬정은 각부 대신 7인으로 칙임관이다. 참찬을 경유하여 의정·에게 의안을 제출할 수 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