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의장기” 에 대한 검색결과 22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9)

사전(7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각종 의전행사에서 위의(威儀)를 갖추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 [내용] 기에는 국가나 단체 기타의 상징을 위하여 사용하는 상징기, 위험을 경고하거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기, 단순히 장식을 위하여 사용하는 장식기, 기타 축의기‧
    이칭별칭군기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각종 의전 행사에서 위의를 갖추기 위하여 쓰는 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정의각종 의전 행사에서 위의를 갖추기 위하여 쓰는 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 문광부표기uijang gi | MR표기ŭijang k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가서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조선시대 왕이 참석하는 조회‧연회 및 왕의 행차시에 동원되는 노부(鹵簿)에 편성된 구. [내용] 조선 초기에는 붉게 칠한 장대 위에 쇠꼬챙이[鐵條]를 설치하여 동전 22개를 꿰고 보라색 비단자루[紫綃巾]를 씌운 다음, 보라색
  • 남사피개아표미(藍斜皮蓋兒豹尾)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1857 물품도구 남사피개아표미(藍斜皮蓋兒豹尾) 남사피개아표미 藍斜皮蓋兒豹尾 쪽빛 담비가죽 덮개가 있는 표미(豹尾). 표미는 표미기(豹尾旗)로, 조선시대에 쓰던 일종의 군기(軍旗), 또는 ()이다. 임금의 수레에 표범...
    유형분류물품도구
  • 독(纛)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2587 제도 독(纛) 독 纛 임금이 타고 가던 가마, 또는 군대의 대장 앞에 세우던 큰 . 세 가닥의 큰 창 밑에 붉은 털로 된 술을 많이 단 모양의 기이다. 행진할 때에 말을 탄 장교가 대를 받들고 군사 두 사람이나 세
    유형분류제도

고서·고문서(22)

  • 인테리어 용어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인테리어 용어사전 자연과학 생활과학 주거학 인테리어 용어사전 사연구회 편 동방디자인 서울 1992 전문사전; 생활환경...
    대표표제어인테리어 용어사전 | 대분류자연과학 | 중분류생활과학 | 소분류주거학
  • 民三隻大靜漂民一隻四月二十九日出往長鬐破船漂民十二名六月日來到本縣漂民一隻機張漂民一隻七月日出往十月初五日矣徒乘本船濟州旌漂民各乘倭船與領來船四隻同爲離發二十九日到待風所矣身執質移騎於領來船候風時漂民船一隻漂入馬島 ...
    출처전거東萊府啓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2332 B042332 대선 大船 경제산업 東萊府啓錄 권7 1870년 11월 18일 ... 漂民一隻七月日出往十月初五日矣徒乘本船濟州旌漂民各乘倭船與領來船四隻同爲離發二十九日到待風所矣身執質移騎於領來船候風時漂民船一隻漂入馬島之說有所傳聞而今月二十四日與他大船三隻合十一隻同發分...
    출처전거東萊府啓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一坐沙中鉢各二立草席各一立贈給草風席二十立鐵釘三十箇船隻良中備給濟州漂民三隻大靜漂民一隻四月二十九日出往長鬐破船漂民十二名六月日來到本縣漂民一隻機張漂民一隻七月日出往十月初五日矣徒乘本船濟州旌漂民各乘倭船與領來船四隻同爲離發二十九日到待風所矣身執質移騎於領來船候風時漂民船一隻漂入馬島 ......
    출처전거東萊府啓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經史門1_冠昏下達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可曉. 以此推之, 昏之下達, 亦非但指自士至庶人, 卽自天子下至於庶人之謂也歟. 然其所謂“下達”, 亦但謂雁與緇冠二物, 其餘物, 自有尊卑之別, 於禮, 可證矣.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八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신문·잡지(1)

멀티미디어(112)

  • 한국의 장기통계 출간의 의의_1주차_1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한국경제와 K학술확산 연구센터 (https://keka.snu.ac.kr/) 한국의 장기통계 1 한국의 장기통계 1 본 강의의 교재는 『한국의 장기통계 I』(2018, 해남)입니다. 『한국통계』는자연과지리,인구,노동력,임금,교육,건강, 농업
    강좌제목한국의 장기통계 1 | 강의자박이택 교수
  • 한국의 장기통계 출간의 의의_1주차_2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한국경제와 K학술확산 연구센터 (https://keka.snu.ac.kr/) 한국의 장기통계 1 한국의 장기통계 1 본 강의의 교재는 『한국의 장기통계 I』(2018, 해남)입니다. 『한국통계』는자연과지리,인구,노동력,임금,교육,건강, 농업
    강좌제목한국의 장기통계 1 | 강의자박이택 교수
  • 한국의 장기통계 출간의 의의_1주차_3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한국경제와 K학술확산 연구센터 (https://keka.snu.ac.kr/) 한국의 장기통계 1 한국의 장기통계 1 본 강의의 교재는 『한국의 장기통계 I』(2018, 해남)입니다. 『한국통계』는자연과지리,인구,노동력,임금,교육,건강, 농업
    강좌제목한국의 장기통계 1 | 강의자박이택 교수
  • 한국의 장기통계 출간의 의의_1주차_4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한국경제와 K학술확산 연구센터 (https://keka.snu.ac.kr/) 한국의 장기통계 1 한국의 장기통계 1 본 강의의 교재는 『한국의 장기통계 I』(2018, 해남)입니다. 『한국통계』는자연과지리,인구,노동력,임금,교육,건강, 농업
    강좌제목한국의 장기통계 1 | 강의자박이택 교수
  • 자연과 지리_2주차_1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한국경제와 K학술확산 연구센터 (https://keka.snu.ac.kr/) 한국의 장기통계 1 한국의 장기통계 1 본 강의의 교재는 『한국의 장기통계 I』(2018, 해남)입니다. 『한국통계』는자연과지리,인구,노동력,임금,교육,건강, 농업
    강좌제목한국의 장기통계 1 | 강의자박이택 교수

주제어사전(15)

  • / [사회/사회구조]

    각종 의전행사에서 위의(威儀)를 갖추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 기에는 국가나 단체 기타의 상징을 위하여 사용하는 상징기, 위험을 경고하거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기, 단순히 장식을 위하여 사용하는 장식기, 기타 축의기· 등이 있다. 는 신분이나 지위가 높

  • 금자기 / 金字旗 [정치·법제]

    조선 시대 의 하나. 붉은 바탕에 흑색으로 금(金) 자를 쓴 사각형의 깃발로 붉은색의 화염각과 기각이 달려 있다. 고자기 뒤에 따라간다.

  • 천하태평기 / 天下太平旗 [정치·법제]

    조선 시대 의 하나. 흰색 사각기로 중앙에 천하태평이라 쓰고 청ㆍ적ㆍ황ㆍ백 4가지 채색으로 구름무늬를 그렸고, 화염각을 달았다. 기 바탕은 백주, 화염각과 영자는 홍주, 깃은 흑주를 쓴다.

  • 홍문대기 / 紅門大旗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시대 의 하나. 적색 바탕에 청룡과 청ㆍ적ㆍ황ㆍ백색의 네 가지 채색으로 구름무늬를 그렸고 화염각과 기각을 달았으며, 대가 노부ㆍ법가노부 때 맨 앞에 섰다. 기바탕과 화염각 및 영자는 홍주로, 깃은 흑주, 자루는 중죽을 쓴다.

  • 고자기 / 鼓字旗 [정치·법제]

    국왕의 대가 의장, 법가의장, 소가 의장, 왕세자 의장에 쓰이는 깃발. 붉은색 바탕에 세 개의 붉은색 기각이 있으며 중앙에 고(鼓)자를 쓴다. 기각의 모양은 <세종실록오례> 서례의 도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인 에 비해 크기가 작다. 거둥 시에 징과 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