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의영고” 에 대한 검색결과 26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56)

사전(11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조선시대 궁중에서 쓰이는 기름‧꿀‧과일 등의 물품을 관리하던 관서. [내용] 1308년(충렬왕 34) 충선왕이 즉위하여 관제개혁을 단행하면서 설치하였다. 관원으로는 종5품의 사(使) 1인, 종6품의 부사(副使) 1인, 종7품의 직장(...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호조(戶曹) 정치행정/관청|경제/재정/창·늠·고 집단 기구 대한민국 고려말~조선 고동환 1308년(고려 충렬왕 34) 1882년(고종 19) 호조(戶曹) [정의]...
    상위어호조(戶曹)
  • 내섬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공상물종이 내섬시와 비슷한 ()에 병합하였다. 각 궁 및 전에 대한 공상과 직조 등의 일을 맡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 필요한 물품을 제조하는 데 필요한 공장(工匠)이 소속되어 있었다. 즉, 옹장(瓮匠) 8인, 방직장(紡織匠) 30인, 성장(筬匠) 2인...
  • 공상육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궁중에서 필요한 물자를 전담하여 공급하던 6개 왕실재정관서. [내용] 즉, 사재감(司宰監)‧내자시(內資寺)‧내섬시(內贍寺)‧사도시(司䆃寺)‧()‧사포서(司圃署)를 말한다. 사재감에서는 육류‧어물‧소금‧땔감 등을...
  • 전안상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馬壹匹具鞍雙牽馬陪司僕寺掌畜者黑團領品胸背自備奠雁床尙方紅紬牀巾貳濟用監畵龍燭壹雙, (가례1727/118ㄴ05~07)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136)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060 經世遺表 卷一 ITKC_MP_0597A_1060_020_0130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經世遺表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39186 B039186 다사마 多士麻 수산물 承政院日記 英祖 18年 8月 24日_016 ... , 供上祭需所封昆布, 例以咸鏡道上納封進。 而今年北道大小上納物種, 雖係享上, 特命蕩減, 故昆布亦在其中。 卽戶曹屬司, 宜自戶曹變通。 而以供上代封, 例自禮曹稟啓之,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9188 B039188 다사마 多士麻 수산물 承政院日記 英祖 18年 8月 24日_016 ... , 供上祭需所封昆布, 例以咸鏡道上納封進。 而今年北道大小上納物種, 雖係享上, 特命蕩減, 故昆布亦在其中。 卽戶曹屬司, 宜自戶曹變通。 而以供上代封, 例自禮曹稟啓之,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822 B002822 감자 柑子 경제산업 濟州邑誌2 濟州 四界 進貢 ... 榧子 軍器寺納故失馬背力 二年木 內贍寺納蔈古 牛毛 納常藿 繕工監納榧子板 掌苑署納金橘 洞底橘 柑子 乳柑 尙衣院納梔子 濟用監納梔子 典醫監納靑皮 陳皮 香附子 海桐皮 半夏 梔子 ...
    출처전거濟州邑誌2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420년 이보정(李補丁) 홍패(紅牌)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420년(세종 2) 3월 22일에 발급한 문서로, 승사랑 부직장이보정이 을과 제2인 급제출신으로 합격했다는 내용이다. 전북 익산시 삼기면 기산리
    내용분류정치‧행정-과거-홍패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홍패 | 현소장처익산 삼기 연안이씨 현동사 어서각

신문·잡지(3)

  • 本廳巡檢學徒募集니其所志願者陰九月...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廳巡檢學徒募集니其所志願者陰九月十六日(陽十月十四日)下午一時에來會于西署前警務學校야應試事 但應試者年齡二十勢以上三十五歲以下身軆强壯者에限事 試驗科目은左와如事 國漢文讀書 國漢文作文 警 務 廳
    게재일1905년 10월 11일 | 기사분류광고
  • 本廳巡檢學徒募集니其所志願者陰九月...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廳巡檢學徒募集니其所志願者陰九月十六日(陽十月十四日)五午一時에來會于西署前警務學校야應試事 但應試者年齡二十歲以上三十歲以下身軆强壯者에限事 試驗科目은左와如事 一 國漢文讀書 一 國漢文作文 警 務 廳
    게재일1905년 10월 9일 | 기사분류광고
  • 本廳巡檢學徒募集니其所志願者陰九月...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廳巡檢學徒募集니其所志願者陰九月十六日(陽十月十四日)下午一時에來會于西署前警務學校야應試事 但應試者年齡二十勢以上三十五歲以下身軆强壯者에限事 試驗科目은左와如事 國漢文讀書 國漢文作文 警 務 廳
    게재일1905년 10월 10일 | 기사분류광고

주제어사전(6)

  • / [생활/식생활]

    고려·조선시대 궁중에서 쓰이는 기름·꿀·과일 등의 물품을 관리하던 관서. 1308년(충렬왕 34) 충선왕이 즉위하여 관제개혁을 단행하면서 설치하였다. 관원으로는 종5품의 사 1인, 종6품의 부사 1인, 종7품의 직장 1인을 두었는데, 공민왕 때 종8품의 주부1인을 더

  • 이형진 / 李衡鎭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676∼1757). 1721년(경종 1) 생원시 합격 후 영릉참봉·봉사·정읍현감·공조좌랑·어모장군·돈령부도정 등을 거쳐 동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 박훈 / 朴薰 [종교·철학/유학]

    1484(성종 15)∼1540(중종 35). 조선 중기의 문신. 중손의 증손, 할아버지는 미, 아버지는 증영이다. 어머니는 현감 박영달의 딸이다. 1504년(연산군 10)에 사마시에 합격하고 1506년 천거로 주부를 거쳐, 보은현감, 사헌부장령, 사헌부지평, 동

  • 영 / 令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각 관서의 정5품 관직. 소격서·종묘서·사직서·평시서·사온서··장흥고 등의 장관이다. 한편, 종친부에 소속된 영은 정5품직으로, 이는 1443년(세종 25) 12월에 종친의 관계를 정하면서 경(卿)·윤(尹)·정(正)·영·감(監)·장(長)의 관직을 정할

  • 조준도 / 趙遵道 [종교·철학/유학]

    천거되어 주부가 되었으나 곧 사퇴하였다. 저서로는『방호집』5권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