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의약동참” 에 대한 검색결과 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내의원(內醫院) 소속의 의관. [내용] 약을 진공(進供)하는 업무를 담당하였다. 1673년(현종 14)에 설치되었다. 정원은 12명으로, 당상관‧당하관을 막론하고 어의(御醫)라 칭했다. 의술(醫術)에 정통할 경우 양반들이 맡기도 ...
  • 이원풍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59(영조 35)∼? 조선 후기의 의원(醫員). [내용] 본관은 정읍(井邑). 자는 대유(大有), 호는 요산주인(樂山主人). 1777년(정조 1) 정유역과 한학에 등제하였는데, 이 방목(榜目)에 지추(知樞)라 적혀 있다...
    이칭별칭 대유(大有)| 요산주인(樂山主人)
  • 내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라 하였다. ()과 침의(鍼醫)는 당상, 당하관을 막론하고 어의라 칭하였다. 내의원은 어약(御藥) 조제를 맡았기 때문에, 다른 의료기관보다 왕실과 가까워 가자(加資) 받기가 쉬웠다. 내의는 상역(象譯)과 더불어 정2품 지사(知事)에 승급할 수도 있...
  • 수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내의원(內醫院) 소속의 의관. [내용] 당상(堂上) 의관인 어의(御醫) 중 최고 책임자. 당하 의관은 내의(內醫)라고 하였으며, 통상 내의를 거쳐 수의로 승급하였다. ()과 침의(鍼醫)는 당상, 당하관을 막론하고
  • 내의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산원의관(散員醫官)으로 정원이 없고 위직으로 충당되는 당상(堂上)과 당하 12인, 위직 2인, 침의(鍼醫) 12인, () 12인, 어의 3인, 이서(吏胥)로는 서원 23인, 종약서원(種藥書員) 2인, 대청직(大廳直) 2인, 도례(徒隷)로는 본청사령(本廳使...

고서·고문서(3)

  • 49442 B049442 덕적첨사 德積僉使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48年 1月 18日_009 ○又以內醫院言啓曰, 前李翊臣, 以德積僉使見罷, 許溫, 以砥平縣監居下考矣。 在前醫官之居下者請付軍職, 已有其例, 竝還屬本院, 令該曹, 付軍職冠帶常仕, 前鍼醫白文昌, 今已...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9423 B049423 덕적첨사 德積僉使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48年 1月 18日_009 ○又以內醫院言啓曰, 前李翊臣, 以德積僉使見罷, 許溫, 以砥平縣監居下考矣。 在前醫官之居下者請付軍職, 已有其例, 竝還屬本院, 令該曹, 付軍職冠帶常仕, 前鍼醫白文昌, 今已...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 可也。 命退出, 上曰, 洪趾海年幾何? 曰, 五十五矣。 命內局入侍, 兩提持湯劑進伏。 溵曰, 其間不久矣。 上曰, 何妨乎? 進御訖, 溵曰, 內局有可仰達者矣, 一人方有頉, 非無可爲之人, 而該廳額數, 已過本窠, 尤是額外, 旣無術業特異之人, 則料窠增加之弊, 亦不可不念...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 [과학기술/의약학]

    조선시대 내의원 소속의 의관. 약을 진공하는 업무를 담당하였다. 1673년(현종 14)에 설치되었다. 정원은 12명으로, 당상관·당하관을 막론하고 어의라 칭했다. 의술에 정통할 경우 양반들이 맡기도 했던 것으로 보인다. 내의원은 어약(御藥) 조제를 맡았기 때문에, 다

  • 내의 / 內醫 [과학기술/의약학]

    조선시대 내의원 소속의 당하 의관. 당상 의관은 어의(御醫)라 하였다. 내의(內醫) 가운데 의술이 정통한 자는 어의로 특별히 차출해 동반(東班)으로 자리를 옮겨 임무를 맡겼는데, 이런 경우는 겸관(兼官)이라 하였다. ()과 침의(鍼醫)는 당상, 당하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