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의서습독관” 에 대한 검색결과 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

사전(11)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학(醫學) 의학교수(醫學敎授), 의학훈도(醫學訓導) 의사(醫司) 사령(使令) 무경습독관(武經習讀官), 이문습독관(吏文習讀官)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한희숙
    상위어의학(醫學) | 하위어의학교수(醫學敎授), 의학훈도(醫學訓導) | 동의어의사(醫司) 사령(使令) | 관련어무경습독관(武經習讀官), 이문습독관(吏文習讀官)
  • 금윤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44(중종 39)∼? 조선 중기의 무신ㆍ의병장. [개설] 본관은 봉화(奉化). 자는 이술(而述). [내용] 1568년(선조 1)에 벼슬길에 들어서 ()이 되었다. 그 뒤 이조판서 홍담 (洪曇)의 천거로...
    이칭별칭 이술(而述)
  • 이홍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溝張氏) () 징(徵)의 딸이다. 청주(淸州)가 세거지(世居地)이다. 김집(金集)의 문인이며, 송시열(宋時烈)과도 교유를 가졌다. 1615년(광해 7) 성균(成均) 진사시에 2등으로 합격하였으나 벼슬에 나아가지는 않았다. 1644년(인조 22)...
    이칭별칭 돈헌(遯軒)
  • 권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30(세종 12)∼1487(성종 18). 조선 전기의 문신ㆍ의관.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취지(聚之). 아버지는 좌찬성 훤(煊)이다. [내용] 1462년(세조 8) 사마시에 합격하고 (...
    이칭별칭 취지(聚之)| 정순(靖順)|현복군(玄福君)
  • 창진집(瘡疹集)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 『창진집(瘡疹集)』은 임원준이 교찬(敎撰)한 조선본(朝鮮本)을 발췌한 것’이라는 기록으로써 실존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 1462년 2월 14일 실록 기사에 () 권징(勸懲)이 올린 습독의서(習讀醫書)의 하나로 정해져 있고, 1471년 5월에는...
    유형분류문헌

고서·고문서(6)

  • 1573년 이정회(李庭檜)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573년(선조6) 이조(吏曹)에서 종6품 상계(上階) ()선교랑(宣敎郞)이정회(李庭檜)를 정6품 하계(下階)인 승훈랑(承訓郞)으로 한 등급 승진시킨 임명장이다. 의 임기를 채웠으므로 이에 따라 주어진 승진이다. 다만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서울역사박물관
  • 1575년 이정회(李庭檜)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575년(선조8) 이조(吏曹)에서 종(從)5품 하계(下階) ()봉훈랑(奉訓郞)이정회(李庭檜)를 같은 품계의 상계인 봉직랑(奉直郞)으로 한 등급 승진시킨 임명장이다. 근무연한을 채운데 따른 정례승진이었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서울역사박물관
  • 1575년 이정회(李庭檜)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575년(선조8) 이조(吏曹)에서 정6품 하계(下階) ()승훈랑(承訓郞)이정회(李庭檜)를 종5품 하계인 봉훈랑(奉訓郞)으로 두 등급 승진시킨 임명장이다. 선조 5년(1572) 2월에 왕이 친히 농사짓는 시범을 보인 후, 그리고...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서울역사박물관
  • 1571년 이정회(李庭檜)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571년(선조4) 이조(吏曹)에서 종(從)6품 하계(下階) ()선무랑(宣務郞)이정회(李庭檜)를 상계(上階)인 선교랑(宣敎郞)에 임명한 문서이다. 지난해인 경오년(庚午年) 7월에는 선조(宣祖: 1552~1608)의 비인 의인왕후...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서울역사박물관
  • 1577년 이정회(李庭檜)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577년(선조10) 이조(吏曹)에서 종(從)5품 상계(上階) ()봉직랑(奉直郞)이정회(李庭檜)를 정(正)5품 상계인 통덕랑(通德郞)으로 두 등급 승진시킨 임명장이다. 습독관으로서 임기를 채웠기에 등급이 오른 정기승진에 더하여,...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서울역사박물관

주제어사전(1)

  • / [과학기술/의약학]

    조선시대 의서에 정통한 문신을 기르기 위하여 두었던 관직. 습독관은 사족자제 중 총민한 자, 유음자제, 사관참외관, 성균관·사학유생 등으로서 25세 이하된 자로 하되. 이들에게는 체아직을 주었으며, 정원은 30인으로 3번(番)으로 3일씩 근무하는데 월강성적이 좋은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