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의상” 에 대한 검색결과 6,15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070)

사전(1,39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625년(진평왕 47)∼702년(성덕왕 1). 신라시대의 승려. [개설] 성은 김씨. 법명은 (). 아버지는 한신(韓信)이다. 우리나라 화엄종(華嚴宗)의 개조(開祖)이자 화엄십찰의 건립자이다. [생애와 활동사항] 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발행은 당시 국제복장학원의 최경자가 맡았고, 편집은 고정기가 담당하였다. 당시 우리 나라의 패션계는 사실상 양장점 중심의 양재업계와 시장의 값싼 기성복업계로 나누어져 있었으며, 어느 경우에나 그 규모나 내용이 소규모이고 영세하였다. 또한 전문 교육을...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기상(氣像). 承旨已決投. 想浩然, 민진원(閔鎭遠), 6-85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TD_P1_D_0070 일상도구 高麗 史 D_06_03_82 대동운부군옥 6권 3장 82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6권 3장 8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O_0016 인물 異僧, 入唐, 慈惠, 野乘, 稗說, 飛仙花, 神僧, 正法眼 咸亨元年, 新羅神文王時, 唐文宗開成中, 唐文宗開成元年丙辰, 正廟朝, 唐昭宗景福二年癸丑, 新羅眞聖女主七年, 唐文宗開成元年丙辰, 新羅僖康王元年, 唐昭宗景福二年癸丑...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7권 3장 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2)

  • 韓國學硏究論文集(一) [중국문화대학 | Chinese Culture University]
    저자 : 김정배 외... | 출판사 : 中國文化大學華岡出版部 | 출판일 : 2012.01.
    분야교육 | 유형단행본
    한국어 ‘공손성’의 문제: 높임법과 공손표현 韓語語用反義表現 초급 한국어 교재의 한자어에 대하여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법 교수 학습에 관한 연구 松江漢詩中的「夢」硏究
  • 韓國學研究論文集(四) [중국문화대학 | Chinese Culture University]
    저자 : ... | 출판사 : 中國文化大學華岡出版部 | 출판일 : 2015.12.
    유형단행본
    ‧ 한국어 문법 연구 및 문법 교육의 변천상 - 종장지ŸŸ ‧ 鄭澈漢詩的符號學闡釋-以月、雲、酒為例 - 董 達ŸŸ ‧ 從「光海君」統治正當性看朝鮮的價值觀-冊封、執政能力與儒家道德 - 許怡齡ŸŸ ‧ 因應

고서·고문서(3,391)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전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오상현(五常县) 장산공사 2 2 , 사실, 편지, 방송국, 많은방조, 협조, 저의어...
    대표표제어의상 | 성씨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820 喪禮四箋 卷六 ITKC_MP_0597A_0820_010_0060 明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喪禮四箋 卷六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가족 김 흑룡강성(黑龙江省) 계서시(鸡西市) 밀산시(密山市) 흑대진 대성촌 1 1 가족, 찾기, 사업, 흑룡강성...
    대표표제어의상가족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동 황 남자 경상북도 안동시 길림성(吉林省) 해룡현(海龙县) 일좌영인민공사 중학 4 2 동, 인편, 소문,...
    대표표제어의상동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가족 박 요녕성(辽宁省) 반금시(盘锦市) 흥륭태구(兴隆台区) 료하유전총조도실 2 1 가족, 찾는데, 정성, 갈라진...
    대표표제어의상가족 | 성씨

구술자료(26)

  • 원효대사와 대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에 들려줬던 장자평 이야기에서 원효대사가 언급되었고, 자라바위 이야기에도 원효산이라는 지명이 언급되었다. 이는 천성산이 원효대사 가 수도하던 곳과 관련이 깊다. 제보자는 원효대사에 얽힌 이 일화를 간단히 구연하면서, 마지막에는 수도승들의 식량공급 문제를 또다시 장...
    조사일시2009. 2. 26(목) | 조사장소경남 양산시 상북면 석계리 28-1번지 제보자의 집 | 제보자배금석
  • 조사가 지은 부석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박병훈의[설화 12]를 들은 정하섭이 “자네 그건 녹음 잘못했네. 내 이얘기 들어보게.”하면서 나섰다. 녹음을 하려니 극구 말린 다음 이야기를 이었다. 정하섭은 부석사에 가서 들은 이야기라고 하고, 이병달은 어떤 중이 자기 집에서 잘 때 들려 준 것이라고 하면서 자...
    조사일시1982-07-26 | 조사장소경상북도 봉화군 명호면 | 제보자정하섭
  • 천등산과 도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앞의 이야기에 이어서 천등산에 관한 전설은 없느냐고 했더니, 제보자가 이 이야기를 이었다. *
    조사일시1981-08-02 | 조사장소경상북도 안동군 북후면 옹천동 | 제보자강대은
  • 개목사를 지은 조사와 맹사성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개목사의 유래를 물었더니, 안동대학에 다 있을 텐데 왜 묻느냐고 되물었다. 있기는 해도 세밀한 것을 알 수 없다고 했더니, 이 이야기를 했다. *
    조사일시1981-08-02 | 조사장소경상북도 안동군 북후면 옹천동 | 제보자강대각
  • 대사와 원효대사의 사찰 창건과 득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는 이야기 하는데 신이 나서, 조사자가 유도를 하지 않아도 “이번에는 다른 이야기 하나 해야겠다,□하면서 이야기를 들려 주었다.*
    조사일시1981-04-17 | 조사장소강원도 속초시 설악동 | 제보자유만석

기초학문(56)

  • 로티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영필, 게재일 : 2003
    13758 김영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새한철학회 2003 로티와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9523c5201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원효와 의 통합사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2
    32731 한국연구재단 새한철학회 2002 원효와 의 통합사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
    유형논문 | 게재일2002
  • 의 오척신사상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3
    68531 한국연구재단 한국불교학회 2013 의 오척신사상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批評의 전통과 17세기 조선의 批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임준철, 게재일 : 2007
    20977 임준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7 批評의 전통과 17세기 조선의 批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華厳教学における言語観の研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2
    63227 한국연구재단 日本印度學佛敎學會 2012 華厳教学における言語観の研究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
    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460)

  • 志士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본잇 박영효씨가 엇던손을 야 말기를 나 한국독립을 위야 쓴지 삼십년에 두번곤란을당야 이지경에 닐으럿슨즉 우리나라의 독립각은 지금도 변치안엇스나 내각은 한국독립을 운동쟈의 의견이갓지안이니 이내가 오 일본에도 잇셧고 두번미국에도 유람야 셰계...
    게재일1907년 2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 米人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황도 교요건으로 미국 예슈교목 원두우씨가 단여오고  목 긔일씨가 쥬를 단여온후에 미국관민간에 공론는말이 그곳에 영미량국 교인이 다 잇는지라 당초에 교인건으로 협상되기를 셔양이 일이잇스면 영인이 쥬간고 동양야 일이잇스면 일인이 보기로 얏는 지금황도 ...
    게재일1903년 3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强盜捕捉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무쳥에셔유명강도를 다슈히긔포야 현죤 장물은 각기본쥬에게 츌급얏 기즁에 셔셔감은돌 윤인식 북셔즁학교안에사 졍인식리츈흥등삼명은 당쵸강도죄인으로 죵신징역에 쳐쟈인 도망야 셔셔 와우산즁에은복야 각각긔계를 가지고 셔셔롱암리 김한익씨집에 돌입야 금화오...
    게재일1907년 6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訴訟演習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 립양졍의슉에셔 동문외 영도에 소송여습회를 셜고 졔반판졀를 거얏 원고에 최병한 재판장에문긔졍 판에홍후 박회관 검에 정희의 셔긔에 림익상 예심판에 김호병 셔긔에 최원식씨 등인 그판졍의 졍슉과 변호의 명쾌과 판결의 공졍은 한갓 가졍...
    게재일1907년 7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李金畓訟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고츙슉공리경직씨가 갑신년분에 보은 군수로 임 얏슬에 츙쥬 김달슈에게 답토 몃셤락을 엽평 팔쳔오량을쥬고 득얏 현금에 그김씨의 아 김용무가 그답토 당초에 돈도밧지못 엿다 고 리경직씨 뎨 젼승지 리우규씨를 거러 평리원에 쳥원즉 평리원에셔 이십여년...
    게재일1907년 6월 18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277)

  • 해동화엄의 개조_ _7주차_1차시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 동국대학교]
    주차. 해동화엄의 개조, 8주차. 동아시아 유식학자, 원측과 태현 9주차. 점찰과 풍수, 진표와 도선 40주차. 기록상의 비구니와여성불자 고영섭 소속│동국대학교 불교학부 교수 학력│동국대학교 불교학과 철학박사 전공분야│한국불교, 동아시아불교 삼국 통일신
    강좌제목삼국 통일신라의 불교인물 | 강의자고영섭
  • 해동화엄의 개조_ _7주차_2차시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 동국대학교]
    주차. 해동화엄의 개조, 8주차. 동아시아 유식학자, 원측과 태현 9주차. 점찰과 풍수, 진표와 도선 41주차. 기록상의 비구니와여성불자 고영섭 소속│동국대학교 불교학부 교수 학력│동국대학교 불교학과 철학박사 전공분야│한국불교, 동아시아불교 삼국 통일신
    강좌제목삼국 통일신라의 불교인물 | 강의자고영섭
  • 해동화엄의 개조_ _7주차_3차시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 동국대학교]
    주차. 해동화엄의 개조, 8주차. 동아시아 유식학자, 원측과 태현 9주차. 점찰과 풍수, 진표와 도선 42주차. 기록상의 비구니와여성불자 고영섭 소속│동국대학교 불교학부 교수 학력│동국대학교 불교학과 철학박사 전공분야│한국불교, 동아시아불교 삼국 통일신
    강좌제목삼국 통일신라의 불교인물 | 강의자고영섭
  • 해동화엄의 개조_ _7주차_4차시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 동국대학교]
    주차. 해동화엄의 개조, 8주차. 동아시아 유식학자, 원측과 태현 9주차. 점찰과 풍수, 진표와 도선 43주차. 기록상의 비구니와여성불자 고영섭 소속│동국대학교 불교학부 교수 학력│동국대학교 불교학과 철학박사 전공분야│한국불교, 동아시아불교 삼국 통일신
    강좌제목삼국 통일신라의 불교인물 | 강의자고영섭
  • 해동화엄의 개조_ _7주차_5차시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 동국대학교]
    주차. 해동화엄의 개조, 8주차. 동아시아 유식학자, 원측과 태현 9주차. 점찰과 풍수, 진표와 도선 44주차. 기록상의 비구니와여성불자 고영섭 소속│동국대학교 불교학부 교수 학력│동국대학교 불교학과 철학박사 전공분야│한국불교, 동아시아불교 삼국 통일신
    강좌제목삼국 통일신라의 불교인물 | 강의자고영섭

기타자료(459)

  • ;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2873 남한 경성 경복공립중학교 同窓會員名簿(昭和十九年四月現在) 1944 76면 유;柳 高陽郡 은평면 구기리 제10회 1935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복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韓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0511 북한 함남 永生高等普通學校 3-08 校友會報 제3호 1937―10―07 176면 1. 동창회명부;2) 영생고등보통학교 졸업생;(2) 제2회(1934년) 한;韓 北靑 俗厚公普校
    학교소재지역함남 | 학교명永生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韓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7934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29면 한;韓 제5회 1935-03-24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元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2944 남한 경성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 1-19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 9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9) 제9회 43명(1913년 3월 졸업) 원;元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23846 남한 경성 관립한성외국어학교 1-46 관립한성외국어학교일람 1909 64면 1 제6장 졸업생 (합병전);6) 관립한성외국어학교 졸업생;(2) 영어부 이;李 (졸업일자)1908...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관립한성외국어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5)

  • 리까르도 빨마 대학교의 동서양고전연구소와 문화 다양성과 대화 유네스코 석좌를 통한 페루에서의 한국문화와 한국학 소개 및 전파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DORA ALICIA BAZÁN MONTENEGRO DE DEVOTO | Universidad Ricardo Palma | 2015 | 국외 | 해외

  • 한국학 교육 환경 강화 및 연구 개발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Jooyeon Rhee |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 2024 | 국외 | 해외

  • 조선시대 文科 試券 複本의 수집 및 정리 사업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한문종 | 전북대학교 | 2019 | 국내 | 전북

  • 한국근현대 여성잡지.여성신문 자료수집, 해제 및 DB자료화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백옥경 | 이화여자대학교 | 2014 | 국내 | 서울

  • 붓다의 현존과 불국토: 고대 한국의 불교 지향과 사천왕 이미지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심영신 | 숭실대학교 | 2024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79)

  • / [종교·철학/불교]

    625-702. 신라의 승려. 우리나라 화엄종의 시조이다. 20세 황복사에서 출가하였다. 26세에 원효와 함께 당나라 유학 길에 올랐으나 고구려군에 잡혀 포기하였다, 36세에 다시 원효와 함께 당나라 유학을 떠나 중국 화엄종의 2대조인 지엄에게 화엄학을 배웠다. 671

  • 고풍 / 古風 [문학/현대문학]

    조지훈(趙芝薰)이 지은 시. 1939년 4월호 『문장(文章)』(통권 3호)에 정지용(鄭芝溶)의 추천을 받아 발표된 첫 번째 작품이다. 1946년 6월을유문화사(乙酉文化社)에서 같은 청록파 동인 박두진(朴斗鎭)·박목월(朴木月)과 함께 펴낸 『청록집(靑鹿集)』에도 수록되어

  • 소등록 / 諫疏謄錄 [역사/조선시대사]

    1932년 이왕직실록편찬회에서 조선후기 사헌부·사간원에서 올린 상소를 초록한 등록.상소문. 7책. 필사본. 상소는 개인적인 일로 올린 일인소(一人疏)가 대부분인데, 상소의 제목이 두주(頭註) 형식으로 기재되어 있다.즉, 뇌이사(雷異事)·선롱사(先壟事)·인피급징토사(引避

  • 문섬록활엽수림 / 蚊島─常綠闊葉樹林 [과학/식물]

    제주도 서귀포시 서귀동에 있는 상록활엽수림.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45호. 문섬(蚊島)은 서귀포항에서 1.3㎞ 떨어진 남쪽에 있는 섬이다. 섬은 동서의 길이가 0.5㎞, 남북의 길이가 0.28㎞, 면적은 96,833㎡이고, 수직의 주상절리가 잘 발달된 조면암질 안산암

  • 완도맹선리록수림 / 莞島孟仙里―常綠樹林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완도군 소안면 맹선리에 있는 상록수림. 천연기념물 제340호. 면적 8,506㎡. 소안도(所安島) 해안가 언덕 위에 발달해 있는 길이 약 300m, 폭 약 35m에 이르는 숲으로 모밀잣밤나무·붉가시나무·후박나무·생달나무·까마귀쪽나무·동백나무·종가시나무 등 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