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의빈부” 에 대한 검색결과 16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4)

사전(11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공주‧옹주‧군주(郡主)‧현주(縣主) 등과 혼인한 부마(駙馬)에 관한 일을 관장했던 관서. 조선 초기에는 부마부(駙馬府)라 했다가 세조 때 라 개칭하였다. 부마들은 국초에는 정치에 관여했으나, 태종조부터 정치에 관여하는 것이 제한되어 이들...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공주‧옹주‧군주(郡主)‧현주(縣主) 등과 혼인한 부마(駙馬)에 관한 일을 관장했던 관서.
    정의조선시대 공주‧옹주‧군주(郡主)‧현주(縣主) 등과 혼인한 부마(駙馬)에 관한 일을 관장했던 관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Uibinbu | MR표기Ŭibinb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빈(儀賓) 이성제군부(異姓諸君府), 부마부(駙馬府)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조선 이근호 1466년(세조 12) 1894년(고종 31) [정의]
    동의어의빈(儀賓) | 관련어이성제군부(異姓諸君府), 부마부(駙馬府)
  • 첨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의 종3품에서 정3품까지의 당하관직. [내용] 세자의 후실(後室) 딸에게 장가든 자에게 처음 제수하는 벼슬이며 정3품까지 있었다. 의빈은 처음 종친과 같이 군호(君號)를 쓰다가 봉군이 남용된다는 이유로 14...
  • 부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의 정3품 당상관직. [내용] 군주(郡主), 즉 왕세자의 적실(嫡室)을 취한 사람이 처음으로 받는 벼슬이다. 처음에 왕녀를 취한 자는 종친처럼 봉군(封君)하여 이성제군부(異姓諸君府)에 소속시켰으나, 봉군이

고서·고문서(35)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060 經世遺表 卷一 ITKC_MP_0597A_1060_020_0060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經世遺表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禮曹請令中外進香,命議大臣,唯宗親府ㆍㆍ議政府,令其進香。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000 禮疑問答 ITKC_MP_0597A_1000_060_0100 禮曹請令中外進香,命議大臣,唯宗親府ㆍㆍ議政府,令其進香。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
    권차명禮疑問答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李太王實錄資料 17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重熙堂에서 시원임대신, 종정경, 등 여러 신하들과 소견하였다는 내용으로 『李太王日省錄』(151)에서 채록하였다. 본문에는 원자의 탄생 100일(음력)과 관련한 행사에 대해 논의한 내용이 실려 있다. 정욱재 2016. 10. 17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6. 10. 17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太王實錄資料 17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觀物軒에서 시원임대신, 각신, 승사, 옥당, 종친부, 관원들을 소견하였다는 내용으로 『李太王日省錄』(153)에서 채록하였다. 정욱재 2016. 10. 17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6. 10. 17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太王實錄資料7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3018332015301833_007 李太王實錄資料7 자료제8호 宮闕志 궁내청 공문서관 85329 007 9 宗親府ㆍ議政府ㆍ忠勳府ㆍㆍ敦寧府ㆍ耆老所ㆍ中樞府ㆍ備邊司ㆍ宣惠廳ㆍ均役廳ㆍ...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10. 28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신문·잡지(5)

  • 나라강약은졍도와샤도에잇삼 평양셩 쥬공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사이 말기를 나라의 빈부강약은 그나라의 크고젹음과 토디의 살지고 슈쳑과 셩의 지헤잇고 어리셕음에엿다니이그만알고 근본을 알지못이오  달빗츨보고 양빗츨 각지못과 갓도다 달이보름에 두럿빗츨 발야 침침밤을 낫과갓치 게거슨 달이덩이 향...
    게재일1906년 3월 24일 | 기사분류기타
  • 의무교육연셜 (련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안은 고등과를 갈아쳐셔 계급을라 신학과를 교슈고 (일은) 그 소학교의 경비 그학구안에셔 사관민이 담당고학구위원회를 조직야 그회에셔 방법을뎡야 인민를라 츄렴계되 현금간에 졍부에셔 소학교경비 십분의이분만 보죠일[일은]한 학구안에 학무위원몃명식...
    게재일1906년 8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 디방졔도실시에관 (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몃쳔결 하등에몃결식으로 작뎡야 차차 실시되 한번에 졍리랴면 리민의경과 관원들의뎌희로 졸연이 공을닐으기 어려온즉 은연즁 졍리안건을 뎡후 군슈의 궐나로 다시 원을지말고 그 부속 디방군슈로 겸임케얏다가 군쳥의 위치 어던지 관속도보고 리교로령 의...
    게재일1906년 3월 8일 | 기사분류논설
  • 동양사들은 유뮤식간에 흔이 각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동양사들은 유뮤식간에 흔이 각기를 사귀쳔과 길흉화복이 다운슈소관이오 무비팔라 를인력으로 능히배아닌즉 두에궁달을 엇지 가히 예탁리오야 자포기 으로 무일이던지 졍신을가다듬 힘을슈고롭게 경영은 아니니 엇지개탄치 아니리오 우리가 젼...
    게재일1901년 2월 8일 | 기사분류논설
  • 젼에도 여러번 셜명 바여니와 우리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아니라 그부모된니가 긔로 혼쳐를 광구되 몬져 문벌의고하와 가셰를 탐지연후에 다 낭나 규슈의얼골이 아름답고 츄것만물엇지 그덕과 언의 엇더거 당초에 의론치 아니니 남녀간에 빈부와궁달이 다그사의 학문과 덕에 잇거시지 엇지문벌과 모양에 잇리...
    게재일1901년 3월 25일 | 기사분류논설

주제어사전(15)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공주·옹주·군주·현주 등과 혼인한 부마에 관한 일을 관장했던 관서. 조선 초기에는 부마부(駙馬府)라 했다가 세조 때 라 개칭하였다. 부마들은 국초에는 정치에 관여했으나, 태종조부터 정치에 관여하는 것이 제한되어 이들의 생활보장책으로 설치된 관청이다.

  • 의빈 / 儀賓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부마의 관부인 의 정1품·종1품 관직. ≪경국대전≫에서는 당·송제(唐宋制)에 따라 공주에게 장가든 의빈을 위(尉)로, 옹주에게 장가든 승빈도 위로, 군주에게 장가든 부빈을 부위(副尉)로, 현주에게 장가든 첨빈을 첨위(僉尉)로 고쳤지만 의 명칭은

  • 궁내부 / 宮內府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왕실에 관한 여러 업무를 총괄하던 관청. 역대 국왕의 계보와 초상화를 보관하며 국왕과 왕비의 의복을 관리하고 왕의 친척을 다스리던 종친부, 부마에 관한 사무를 담당한 , 왕친과 외척의 친목을 위한 사무를 관장하던 돈녕부 등 왕실 사무를 맡은 기관이 독

  • 김시민 / 金時敏 [종교·철학/유학]

    1681(숙종 7)∼1747(영조 23).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호조정랑 김성후, 어머니는 임원기의 딸이다. 김창협·김창흡의 문인이다. 1732년(영조 8) 선공감역이 되고, 장례원사평·사옹원주부·사직서영·종묘서영·도사·진산군수 등을 역임하였다. 저

  • 도사 / 都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중앙의 충훈부··충익부·의금부·개성부 등에 소속된 관직. 품계는 종5품이다. 중앙의 각 관서의 제반 서무를 주관하거나 지방의 관찰사를 보좌하던 관원이다. 특히, 중앙의 주요 관아에 있던 도사와는 달리, 관찰사의 수령관인 도사는 각 도의 영역을 관찰사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