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의빈” 에 대한 검색결과 1,45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22)

사전(26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부마(駙馬)의 관부인 부(府)의 정1품‧종1품 관직. 본래 의 명칭은 1434년(세종 16) 4월에 입명대소인(入明大小人)으로 하여금 본국의 대군(大君)을 왕자, 공주를 왕녀, 부마를 , 영공(令公)을 재상으로 호칭하게 하는 등...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궁내부(宮內府), 여서(女婿), 인친(姻親), 일품아문(一品衙門), 친·인척(親·姻戚) 공주부마(公主駙馬), 광덕대부(光德大夫), 돈신대부(敦信大夫), 명신대부(明信大夫), 봉순대부(奉順大夫), 봉헌대부(奉憲大夫), 부빈(副賓)...
    상위어궁내부(宮內府), 여서(女婿), 인친(姻親), 일품아문(一品衙門), 친·인척(親·姻戚) | 하위어공주부마(公主駙馬), 광덕대부(光德大夫), 돈신대부(敦信大夫), 명신대부(明信大夫), 봉순대부(奉順大夫), 봉헌대부(奉憲大夫), 부빈(副賓), 부위(副尉), 성록대부(成祿大夫), 수록대부(綏祿大夫), 순의대부(順義大夫), 숭덕대부(崇德大夫), 승빈(承賓), 옹주부마(翁主駙馬), 위(尉), 자의대부(資義大夫), 정순대부(正順大夫), 첨빈(僉賓), 첨위(僉尉), 통헌대부(通憲大夫) | 동의어부마(駙馬) | 관련어공주(公主), 군주(郡主), 부마도위(駙馬都尉), 부마부(駙馬府), 옹주(翁主), 의빈계(儀賓階), 의빈부(儀賓府), 현주(縣主), 이성제군부(異姓諸君府), 이성제군소(異姓諸君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왕녀나 왕세자녀와 혼인한 부마(駙馬)들에게 주던 관계(官階). 문산계(文散階)의 하나로서 1444년(세종 26) 7월에 처음으로 실시되었다. ≪경국대전≫에 수록된 계는 다음[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1품부터 종3품까지 매품마다 쌍계(雙階)로 되...
  • 권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제3대 왕 태종의 후궁. [내용] 정혜옹주(貞惠翁主)의 생모이다. 처음 궁인으로 궁중에 들어와 태종의 총애를 받아 궁주에 봉하여지고, 정혜옹주를 출산하여 으로 진봉(進封)되었다. 1422년(세종 4) 태종이 죽자
    이칭별칭영수궁(寧壽宮)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공주‧옹주‧군주(郡主)‧현주(縣主) 등과 혼인한 부마(駙馬)에 관한 일을 관장했던 관서. 조선 초기에는 부마부(駙馬府)라 했다가 세조 때 부라 개칭하였다. 부마들은 국초에는 정치에 관여했으나, 태종조부터 정치에 관여하는 것이 제한되어 이들...

고서·고문서(1,134)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060 經世遺表 卷一 ITKC_MP_0597A_1060_020_0060 府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經世遺表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상장등록(端喪葬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단상장등록』은 1718년(숙종 44) 2월에 승하한 왕세자 부인의 상례를 기록한 책으로서, 이 안에는 세 가지 종류의 자료가 들어 있다. 하나는 계제사에서 기록한 단 심씨의 상장등록이고 또 하나는 전향사에서 기록한 상장등록이다. 전향사에서 기록한 상장등록에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상장일기(端喪葬日記)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종(景宗)의 첫 번째 왕비 단(端) 심씨(沈氏, 1686 – 1718)의 장례 과정을 기록한 일기이다. 1718년 2월 7일부터 4월 14일까지 두 달여의 기록이다. 단 심씨의 본관은 청송(靑松)이며 1696년 11세에 왕세자빈(王世子嬪...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혼궁도감의궤(端魂宮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1686~1718)의 장례 때 혼궁의 설치에 관해 기록한 책이다. 단은 조선의 제20대 왕인 경종의 세자시절 빈으로서, 본관은 청송(靑松)이며 심호(沈浩)의 딸이다. 1696년(숙종22)에 세자빈으로 책봉되었으나, 경종이 왕위에 오르기 2년 전에 병으로...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빈궁도감의궤(端殯宮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1686~1718)의 장례 때 빈궁의 설치와 운영에 관해 기록한 책이다. 단은 조선의 제20대 왕인 경종의 세자시절 빈으로서, 본관은 청송(靑松)이며 심호(沈浩)의 딸이다. 1696년(숙종22)에 세자빈으로 책봉되었으나, 경종이 왕위에 오르기 2년 전에...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신문·잡지(19)

  • 陛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금릉위 박영효씨 작일 오후시에 예궐야 황상폐하 폐현고 곳물너나왓더라
    게재일1907년 6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入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금릉위 박영효씨 과연작일 오젼십일시에동 쵸랑셔륜거를타고 일본경부 슌샤각 일명이 호위야 오후구시에 남대문뎡거장에 도챡야 즉시파셩관으로들어가 안식얏더라
    게재일1907년 6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 나라부강약은졍도와샤도에잇삼 평양셩 쥬공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사이 말기를 나라의 빈부강약은 그나라의 크고젹음과 토디의 살지고 슈쳑과 셩의 지헤잇고 어리셕음에엿다니이그만알고 근본을 알지못이오  달빗츨보고 양빗츨 각지못과 갓도다 달이보름에 두럿빗츨 발야 침침밤을 낫과갓치 게거슨 달이덩이 향...
    게재일1906년 3월 24일 | 기사분류기타
  •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현유식기(顯唯識記) 1 顯唯識記 현유식기 유통서지 顯唯識記 2 璟興師為四卷 東域傳燈目錄 T55, p. 1158b13
    대표표제어현유식기(顯唯識記) 1 | 대표서명顯唯識記 | 한글서명현유식기 | 서지형태유통서지
  • 성유식론추요기(成唯識論樞要記)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성유식론추요기(成唯識論樞要記) 2 成唯識論樞要記 성유식론추요기 유통서지 成唯識論樞要記 2 注進法相宗章疏 T55, p.
    대표표제어성유식론추요기(成唯識論樞要記) 2 | 대표서명成唯識論樞要記 | 한글서명성유식론추요기 | 서지형태유통서지

기타자료(3)

  • ;弓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7780 북한 평남 평양공립농업학교 교우회회보 창간호 1932―01―31 128면 1. 평양공립농업학교교우회 회원명부;6) 제2학년생 (46명) 궁;弓 평원군 한천면 감팔리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평양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교과연구회순례) 서울 초등도덕교육연구회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과정 교과교육 잡지 백 1989 3 수도교육 111호 ...
    범주1교원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백의빈 | 사료철명수도교육
  • (선행미담사례) 우정은 샘물처럼 (사당국)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잡지 백 1982 11 수도교육 73호 서울특별시교육연구원 81-82 ...
    범주1초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백의빈 | 사료철명수도교육

주제어사전(37)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부마의 관부인 부의 정1품·종1품 관직. ≪경국대전≫에서는 당·송제(唐宋制)에 따라 공주에게 장가든 을 위(尉)로, 옹주에게 장가든 승빈도 위로, 군주에게 장가든 부빈을 부위(副尉)로, 현주에게 장가든 첨빈을 첨위(僉尉)로 고쳤지만 부의 명칭은

  • 부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공주·옹주·군주·현주 등과 혼인한 부마에 관한 일을 관장했던 관서. 조선 초기에는 부마부(駙馬府)라 했다가 세조 때 부라 개칭하였다. 부마들은 국초에는 정치에 관여했으나, 태종조부터 정치에 관여하는 것이 제한되어 이들의 생활보장책으로 설치된 관청이다.

  • 돈신대부 / 敦信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계 종3품 하계의 위호. 1444년(세종 26) 7월 이성제군소(異姓諸君所)를 부마소(駙馬所)로 개편하면서 계를 정비하여 제정하였다. 계의 최하위계로서, 왕세자의 서녀인 현주(縣主)에게 장가든 사람에게 처음 수여하는 위계였다. 조선 후기에는

  • 광덕대부 / 光德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1품 상계 계의 위호. 1444년(세종 26) 7월 이성제군소(異姓諸君所)를 부마소(駙馬所)로 개편하면서 계를 정비하여 설치하였다. 공주에게 장가든 부마에게 수여하는 위계였다.

  • 수록대부 / 綏祿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계 정1품 상계의 위호. 1447(세종 26) 7월에 이성제군소(異姓諸君所)가 부마부(駙馬府)로 개칭되고 부마(駙馬)에게 정1품에서 종3품에 이르는 품계명을 정하여 주면서 문산계가 정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