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의리적 구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10)
- 의리적구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김도산(金陶山) 각본ㆍ감독ㆍ주연의 우리나라 최초의 활동사진작품. [내용] 우리나라 최초의 극영화로 알려져 있는 「월하(月下)의 맹세(盟誓)」보다 약 3년 앞서서 시도된 완전한 극영화형태의 연쇄극(連鎖劇 : 연극을 하다가 연극으로 나타내기 ...
- 경성전시의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19년 김도산(金陶山)이 제작한 우리나라 최초의 기록영화. [내용] 박승필(朴承弼)의 제작지원으로 이루어졌다. 이 영화는 「경성 교외 전경」과 함께 촬영되어 최초의 연쇄극인 「의리적 구투(義理的仇鬪)」와 함께 10월 27일 단성사에서...
- 연쇄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를 방영하면서 극을 이어 가는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 최초로 나온 연쇄극은 1919년 10월 27일에 단성사에서 공연된 신극좌(新劇座)의 『의리적 구투 義理的仇鬪』이다. 당시 대표적인 신파극단은 혁신단(革新團)‧취성좌(聚星座)‧신극좌(新劇座)‧조선문예단(朝鮮文藝...
- 박승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무대를 제공하게 되었다. 뒤이어 활동사진 제작의 기운이 무르익기 시작하자 극단 신극좌(新劇座)를 이끌던 김도산(金陶山)에게 제작비를 제공하여 우리 나라 최초의 연쇄극인 <의리적 구투 義理的仇鬪>(1919)를 제작하도록 하여 우리 나라 영화사의 기점을 이루었다....
- 김도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운영이 부진하게 되자, 당시 단성사의 주인이던 박승필(朴承弼)을 만나 그의 도움으로 우리나라 활동사진의 효시라 할 수 있는 최초의 연쇄극 「의리적 구투(義理的仇鬪)」를 만들어 1919년 10월 27일 단성사에서 개봉하였다. 이 연쇄극은 1918년 황금좌(黃金座)...이칭별칭영근(永根)
주제어사전(4)
-
의리적 구투 / 義理的 仇鬪 [예술·체육/영화]
한국 영화사의 기점을 이루는 최초의 작품. 1919년 10월 27일 개봉되었는데, 오늘날 이 날을 기념하여 '영화의 날'을 제정하였다. 이 영화는 연쇄활동사진극으로서 연극을 하다가 연극으로 나타내기 어려운 부분을 활동사진으로 연쇄적으로 상영하였다. 따라서 완전한 영화
-
연쇄극 / 連鎖劇 [예술·체육/연극]
실연(實演)과 영화를 섞어 상연하는 극.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나온 연쇄극은 1919년 10월 27일에 단성사에서 공연된 신극좌(新劇座)의 <의리적 구투(義理的仇鬪)>이다. 연쇄극의 출현은 우리 나라 영화의 효시가 되기는 하였지만, 연극에 있어서는 작품의 질을 떨어뜨리
-
영화의 날 / 영화의 날 [예술·체육/영화]
1919년 10월 27일 한국인에 의하여 최초로 제작된 연쇄극 <의리적 구투>가 상연된 날을 기념하기 위해 정한 날. 1963년부터 10월 27일을 '영화의 날'로 제정하여 해마다 여러 가지 행사로써 영화인의 긍지와 각성, 분발을 다짐하는 날로 지키고 있다.
-
김도산 / 金陶山 [예술·체육/연극]
박승필(朴承弼)을 만나 그의 도움으로 우리나라 활동사진의 효시라 할 수 있는 최초의 연쇄극 〈의리적 구투 義理的仇鬪〉를 만들어 1919년 10월 27일 단성사에서 개봉하였다. 이 연쇄극은 1918년 황금좌(黃金座)의 창립2주년기념공연을 위하여 일본에서 초청되어온 세토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