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의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9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85)
사전(142)
- 의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에 부인들의 질병을 구호, 진료하기 위하여 두었던 여자 의원. [내용] 이 의녀제도는 1406년(태종 6) 검교한성부 지제생원사(檢校漢城府知濟生院事) 허도(許道)의 건의에 따라 제생원(濟生院)에 처음으로 설치되었는데, 의료사업을이칭별칭약방기생
- 의녀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조선 시대 내의원(內醫院)과 혜민서(惠民署)에 소속된 여자 의원. 의례(儀禮)에 참여하는 의녀는 주로 내의원에 속한 의녀이다. 이들은 궁녀들에게 침을 놓아주거나, 비빈(妃嬪)들의 해산원에 조산원 노릇 등의 심부름을 하던 여자이다. 때로는 궁중의 크고 작은 잔치에 기녀...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의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간단한 의술을 익혀 내의원과 혜민서에서 심부름하던 여자정의간단한 의술을 익혀 내의원과 혜민서에서 심부름하던 여자 | 문광부표기uinyeo | MR표기ŭinyŏ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의녀(醫女)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의녀 의녀 醫女 내의녀(內醫女), 의기(醫妓), 차비대령의녀(差備待令醫女) 정치행정/관속 직역 조선 조선 김성수 1406년(태종 6) 내의원(內醫院), 혜민서(惠民署) [정...관련어내의녀(內醫女), 의기(醫妓), 차비대령의녀(差備待令醫女)
- 가의녀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치에서 기녀의 역할을 담당하기도 하고, 의장(儀仗)을 들기도 하였다. 中宮殿册禮是敎時儀仗差備實醫女及各司婢子假醫女等擇其年少端正者精潔衣裳爲有如可, (책례1651/068ㄴ03~05)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308)
- 슝의녀학교 교가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5559 창가 챵가집 22032 1915년 2월 6일 발행 1920년 9월 1일 재판 발행 안애리(安愛理) 베어드 선교사 부인 平壤鐘路 耶蘇敎書院, 京城鐘路 朝鮮耶蘇敎書會 배위량(裵緯良) 베어드 선교사 村岡平吉(촌강평길) 슝의녀학교구분창가 | 편저자안애리(安愛理) 베어드 선교사 부인
- 일과 戰爭(전쟁)준비에 젊음앗긴 北(북)의女性(여성)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일과 戰爭(전쟁)준비에 젊음앗긴 北(북)의女性(여성)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창간 ...대표표제어일과 戰爭(전쟁)준비에 젊음앗긴 北(북)의女性(여성)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북괴, 무장공비, 북한, 월남
- 조선시대 역학서:1765_청어노걸대_義女佳姬를 죠곰도 려가지 못고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청어노걸대 382 1765_청어노걸대 義女佳姬를 죠곰도 려가지 못고 1876청어노걸대_7_011a.jpg 義女佳姬를 죠곰도 려가지 못고 쇽졀업시 다 사의게 망니 이를 보게 되면 時候를 아 즐기 거슬 너모 그르다도 못리라편명1765_청어노걸대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시호(柴胡)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21074 B121074 시호 柴胡 경제산업 承政院日記 顯宗 6年 6月 29日_014 ○藥房再啓曰, 卽以醫女入診後來傳之言, 與柳後聖·鄭後啓·李東馨等商議, 則慈殿所患, 常出於熱候, 小柴胡湯, 加石膏二錢·麥門冬·黃連酒炒, 梔子炒·生地黃·知毋各一錢, 連進五貼宜當云, 依此...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시호(柴胡)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21079 B121079 시호 柴胡 경제산업 承政院日記 顯宗 1年 8月 8日_008 ○再啓曰, 卽聞醫女所傳之言, 與柳後聖·尹後益等商議, 則以爲受鍼受灸之後, 腫毒顯有消散之效, 大勢旣歇, 則不可又施針灸, 今日姑爲停止。 而昨日劑入小柴胡湯一貼, 畢進御, 更觀氣候, 宜當云,...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3)
- 유태영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鑑三), 퀘이커, 부흥회, 군리(軍吏), OBC코스, 뉴욕 혈액은행, 알부민(albumin), 숭의여자대학교(崇義女子大學校), 이신덕(李信德), 신성국, 브롱스 교회, 뉴욕한인회, 이상윤, 이정룡, 뜨루(Truro)신학교, 옹진(甕津), 목원대학교(牧園大學校), 이호운구술자유태영 | 직업재미동포 동부연합회장 | 지역황해도
- 피난민이 부른 ‘비 내리는 고모령’이 슬펐던 이유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지가 오셔서 얼마 안 되고, 형편이 별로 안 좋았어요, 그런데 내가 하도 가고 싶어 해서 간 거야, 갔어요, [조사자 : 서 울에서.] 의녀로 다녔어요, 다녔지. [조사자 : 근데 약사가 안 되시고.] 아니 중간에 결혼했어요, 그게 이런 게 있더라구, 가니까 경 기조사지역충북 청주 | 조사일2013년 3월 14일
- 한국전쟁 참전기와 제대 후 생활기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본 양 당이 있어요] 당이 덕수에는 없고 3개, 3개 그 저 복지회관 바로 옆이 덕수는 신당이 없어 이 저 옛날부터 이렇게 저 덕수가 모 이런 부락이지만 신당이 있어야 그런걸 모신는데 [청중 : 옛날에 귀신을 다 내 ?아 버렸어, 옛날에 귀신이 많았어, 당의녀 모여 모조사지역제주 | 조사일2012년 2월 6일
기초학문(1)
- 19세기 일급 예기의 삶과 섹슈얼리티 : 의녀 옥소선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신경숙, 게재일 : 200412597 신경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사학회 2004 19세기 일급 예기의 삶과 섹슈얼리티 : 의녀 옥소선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유형논문 | 게재일2004
신문·잡지(24)
- 본인의녀식 삼셰아희가 다홍젹 삼 입고...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본인의녀식 삼셰아희가 다홍젹 삼 입고 음력본월십칠일 나갓스니 누구던지 이아희 보시거던 사동 이층집건너편 민상인집으로 지시시면 후소 사동이층집건너민상인집협호 김운긍 고게재일1906년 9월 10일 | 기사분류광고
- 본인의녀아 (女兒) 일홈 범슌이가 어...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본인의녀아 (女兒) 일홈 범슌이가 어졔아희덜과 놀다가 어로가셔종젹을 모르 모습은 다홍져골리 다홍치마에 집신 신엇스니 누구던지 이아희보거던 아아 긔록집으로보쥬시면 후소 문밧 경교七十六통七호 申叅尉신참위 협호 노셕규 고게재일1906년 3월 17일 | 기사분류광고
- 본인의녀아 일홈은 복동이오 나흔 일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본인의녀아 일홈은 복동이오 나흔 일곱살이오 의복은 홍당목져고리에 홍당목치마에 미명쥬치마입고 신은 홍당혜신고 음본월초일에 일엇오니 누구시던지 보시거든 져동 리창식집으로 보쥬시면 후 리창식 고게재일1905년 5월 12일 | 기사분류광고
- 본인의녀아(女兒)일홈 범슌이가 어졔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본인의녀아(女兒)일홈 범슌이가 어졔아희덜과 놀다가 어로가셔종젹을 모르 모습은 다홍져골리 다홍치마에 집신 신엇스니 누구던지 이아희보거던 이아 긔록집으로보쥬시면 후소 문밧 경교七十六통七호 申叅尉신참위 협호 노셕규 고게재일1906년 3월 16일 | 기사분류광고
- 본인의녀아(女兒)일홈 범슌이가 어졔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본인의녀아(女兒)일홈 범슌이가 어졔아희덜과 놀다가 어로가셔종젹을 모르 모습은 다홍져골리 다홍치마에 집신 신엇스니 누구던지 이아희보거던 이아 긔록집으로보쥬시면 후소 문밧 경교七十六통七호 申叅尉신참위 협호 노셕규 고게재일1906년 3월 15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7)
- 김성남;金聖南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1010 남한 경북 대구신명여학교 2-18 信明제1호 1934―03―20 72면 김성남;金聖南 선산군 고아면 괴평동;평양 正義女子高普校 15회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신명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양병지;楊秉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0400 북한 함남 永生高等普通學校 3-08 校友會報 제3호 1937―10―07 173면 1. 동창회명부;1) 영생학교 졸업생;(14) 제14회(1925년) 양병지;楊秉祉 평양 貞義女高普학교소재지역함남 | 학교명永生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방영복;方永福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0823 남한 경성 이화여자전문학교 1-39 이화이보동창회원록 1940 12면 ㅁ4.가사과졸업생(1933년);ㅁ1)제1회 방영복;方永福 평양正義女高普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이화여자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숭의논총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崇義女子專門大學 1979 12 31 제4집 숭의여자전문대학 204 PDF범주1중등교육 | 형식학교문서 | 한글저자숭의여자전문대학
- 방영복;方永福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복;方永福 (현주소)평양正義女高普;(본적)평남 평양부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이화여자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0)
-
의녀 / 醫女 [과학기술/의약학]
조선시대에 부인들의 질병을 구호, 진료하기 위하여 두었던 여자 의원. 이 의녀제도는 1406년(태종 6) 검교한성부 지제생원사(檢校漢城府知濟生院事) 허도(許道)의 건의에 따라 제생원(濟生院)에 처음으로 설치되었다.
-
가의녀 / 假醫女 [과학기술/의약학]
조선 시대 부인들의 질병을 구호, 진료하는 여자 의원. 조선 시대에 간단한 의술을 익힌 뒤 내의원과 혜민서에 임시로 소속되어 궁녀들에게 침을 놓아주거나, 비빈들의 해산원에서 조산원 노릇 등의 심부름을 하였다. 이들은 때로 궁중의 크고 작은 잔치에서 기녀의 역할을 담당
-
청루의녀 / 靑樓義女 [문학/고전산문]
1906년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신소설. 국문필사본. 1906년 2월 16일에서 18일까지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에 연재되었고, 단편소설집 『오옥기담(五玉奇談)』에 실렸다. 『오옥기담』은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주인공 배생(裵生)이 물욕으로 인하여
-
가리마 / [생활/의생활]
조선시대 기녀(妓女)·의녀(醫女) 등 특수층여자가 얹은머리 위에 쓰던 쓰개. 그 형태를 ≪임하필기 林下筆記≫와 ≪증보문헌비고 增補文獻備考≫에서는 검은 색 또는 자색 비단의 가운데를 접어 두 겹으로 하고 두꺼운 종이를 그 안에 접어넣고 머리에 쓰는데 이마에서 정수리를
-
오옥기담 / 五玉奇談 [문학/고전산문]
1906년 저자 미상의 소설 「선분기담」·「취란방기)」·「청루의녀」 등 5편이 수록된 소설집.신소설작품집. 1책. 국문필사본. 다섯편의 단편소설집으로, 「금잠가연(金簪佳緣)」·「변씨열행(卞氏烈行)」·「선분기담(仙分奇談)」·「취란방기(翠蘭芳記)」·「청루의녀(靑樓義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