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의금부” 에 대한 검색결과 4,20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090)

사전(1,65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에 설치한 정2품 관직. [내용] 1414년(태종 14) 의용순금사(義勇巡禁司)를 로 격상, 개편하면서 둔 정2품 제조(提調)를 뒤에 지사(知事)로 고쳐 지사로 부르게 된 것이다. 지의금으로 약칭하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특별사법 관청. 조옥(詔獄)‧금부(禁府)‧왕부(王府)‧금오(金吾)라 부르기도 하였다. 포도(捕盜)‧순작(巡綽)‧금란(禁亂)의 임무를 관장하였다. 정약용(丁若鏞)은 “가 옥사(獄事)를 다스리는 관가이고 순찰하는 책임이 없으니 금오라 부르는...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국왕의 명령에 따라 죄인을 심문하는 일을 맡은 관청.
    정의국왕의 명령에 따라 죄인을 심문하는 일을 맡은 관청.[한국역대제도용어사전] | 문광부표기Uigeumbu | MR표기Ŭigŭmb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남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에 설치되었던 감옥. [내용] 에는 서면과 남면에 2개의 감옥을 두어 이것을 각각 서간ㆍ남간이라고 하였다. 처음에는 죄수의 형량에 따라 옥사를 구분하는 제도는 없었으나, 영조 때 서간에는 살인죄수 중 미결자를, 남간에...
  • 금부발관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 에서 각 도 감영과 육조 등에 보낸 관문(關文)을 모아놓은 책. [내용] 6책. 필사본. 1877년(고종 14) 2월부터 1894년 7월까지를 담고 있다. 관문의 작성형식에 있어서 제목은 없고 연월일ㆍ수신처ㆍ본문ㆍ...

고서·고문서(2,438)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070 經世遺表 卷二 ITKC_MP_0597A_1070_020_0020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經世遺表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결옥안(決獄案)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사회-역사-역사기록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三月。 下朴民獻于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三十 經筵日記三 56 ○三月。 下朴民獻于 30_189_110.jpg ○三月。 下朴民獻于, 已而赦之, 只罷其職。 先是民獻爲江原監司時, 橫城民存伊者弑其母, 被人告其罪。 獄旣具, 方受刑訊, 民獻所幸妓, 受存伊重賂, 潛請民獻勿治。 民獻託以親鞫,...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한원진 이조판서겸지사성균관제주오위도총부도총관 고신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1799년(가경4) 10월 15일에 通訓大夫行司憲府執義 韓元震을 贈資憲大夫吏曹判書兼知義禁府事成均館祭酒五衛都摠府都摠管韓元震 吏曹判書兼知義禁府事成均館祭酒五衛都摠府都摠管에 임명하는 고신이다. 본 고신은 4품이상의 문무관원에게 발급한 官敎에 해당하며, 국왕 명의로 발급되었으...
    분야문학 | 유형문헌
  • 鄭世雅를 贈 資憲大夫 兵曹判書 兼 知事로 임명하는 교지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661 1464_01 鄭世雅를 贈 資憲大夫 兵曹判書 兼 知事로 임명하는 교지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정세아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증직교지 한자 고문서 HJ314.JPG 鄭世雅를 贈 資憲大夫 兵曹判書...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주제어사전(112)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특별사법 관청. 포도(捕盜)·순작(巡綽)·금란(禁亂)의 임무를 관장하였다. 는 여말선초에 군사적 기능과 사법 기능을 가진 기구로 활동하면서 왕권에 밀착해 왕조 창립과 왕권 확립에 공헌하였다. 군사적 기능으로 순작·포도·금란이 있다. 그 뒤 조선왕조의

  • 사 / 知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에 설치한 정2품 관직. 1414년(태종 14) 의용순금사를 로 격상, 개편하면서 둔 정2품 제조 뒤에 지사(知事)로 고쳐 지사로 부르게 된 것이다. 정원은 종1품 판사 및 종2품 동지사와 합쳐 4인을 두게 하였으나, 판사와

  • 동지사 / 同知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에 소속된 종2품의 관직. 1466년(세조 12)에 의 직제를 당상관중심체제로 바꾸고자 제조직제를 혁파하면서 판사·지사 다음의 직임으로 설치되어 ≪경국대전≫ 체제로 정비되었다. 판사·지사·동지사의 각 직임별 정원은 규정하지 않고 당상관의 총인원만

  • 문사낭청 / 問事郎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죄인 취조에 참여한 임시 관직. 조선시대의 각종 재판은 ·형조·한성부·사헌부 및 각급 지방 관아의 상설 형정 기관에서 관장하였다. 문사낭청은 이 가운데 국청·정국·성국·가 주관한 추국(推鞫) 등에 차출되어 위관·당상·형방승지의 지휘를 받아

  • 남간 / 南間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에 설치되었던 감옥. 에는 서면과 남면에 2개의 감옥을 두어 이것을 각각 서간·남간이라고 하였다. 처음에는 죄수의 형량에 따라 옥사를 구분하는 제도는 없었으나, 영조 때 서간에는 살인죄수 중 미결자를, 남간에는 완결된 사형수만을 수금하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