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응교” 에 대한 검색결과 1,77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19)

사전(1,08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주의를 본받아, 즉위하자 곧 두 기관을 병합하고 지금까지 없었던 정5품 이하 정8품까지의 관원 10인을 증원하였는데 도 이 때 처음 설치된 것이다. 그러나 충선왕의 개혁이 실패로 끝나자 예문춘추관도 둘로 분리되면서 도 폐지되었다. 1362년(공민왕 1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홍문관‧예문관의 정4품 관직. [내용] 정원은 각기 1인이다. 홍문관의 기원은 고려시대 보문각(寶文閣)의 정4품 대제(待制) 혹은 직각(直閣)이며, 1369년(공민왕 18)부터 1372년까지 잠시 로 개칭되기도 하였다.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홍문관‧예문관의 정4품 관직.
    정의조선시대 홍문관‧예문관의 정4품 관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eunggyo | MR표기ŭnggy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녹관(祿官), 당하관(堂下官), 동반(東班), 실직(實職), 전한(典翰), 정직(正職), 참상관(參上官) 부(副) 강독관(講讀官), 겸직(兼職), 경연(經筵), 경연청(經筵廳), 사관(史官), 시강관(侍講官),
    상위어녹관(祿官), 당하관(堂下官), 동반(東班), 실직(實職), 전한(典翰), 정직(正職), 참상관(參上官) | 하위어부응교(副應敎) | 관련어강독관(講讀官), 겸직(兼職), 경연(經筵), 경연청(經筵廳), 사관(史官), 시강관(侍講官), 실록청(實錄廳), 예문관(藝文館), 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 지제교(知製敎), 집현전(集賢殿), 춘추관(春秋館), 편수관(編修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문관은 조선시대 최고의 문필기관으로서 관원은 품계의 고하에 상관없이 핵심 청요직(淸要職)으로 간주되었고, 경연관(經筵官)‧사관(史官)‧지제교(知製敎)를 당연직으로 겸직하였다. 따라서 부는 경연시강관(經筵侍講官)‧춘추관편수관(春秋館編修官)‧지제교를 당연직으로...

고서·고문서(618)

  • 五客記【內閣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140 文集 卷十四 ITKC_MP_0597A_0140_010_0310 五客記【內閣】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記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
    권차명文集 卷十四 | 문체雜著類|記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 박홍양(朴弘陽) 상소(上疏) 초(草)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상소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상소 | 현소장처논산 노성 파평윤씨 명재 종가
  • 八子百選序【內閣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130 文集 卷十三 ITKC_MP_0597A_0130_010_0090 八子百選序【內閣】 정약용(丁若鏞) 序跋類|序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
    권차명文集 卷十三 | 문체序跋類|序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金城方略序【內閣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130 文集 卷十三 ITKC_MP_0597A_0130_010_0100 金城方略序【內閣】 정약용(丁若鏞) 序跋類|序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
    권차명文集 卷十三 | 문체序跋類|序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春帖子柱聯 【庚戌立春】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40_1590 春帖子柱聯 【庚戌立春】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1)

  • 번에 다 보내면 큰일 나잖아. 지금도 안그래? 지금도 한가지지. 그런데 휴가 를 맡아 가주고 올래니 아 일 년 이상이 있어야 되는 집이 가까운데도. 가까운데도 그 인제 중대 장한테 얘기해가주고 거 에서 저녁을 먹고 여기오면은 열두시반 한시가 돼. 걸어서, 걸어서.
    조사지역강원 원주 | 조사일2012년 2월 23일

기초학문(9)

  • 탈북청소년을 위한 대안학교의 적육: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권효숙, 게재일 : 2006
    30641 권효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교육개발원 2006 탈북청소년을 위한 대안학교의 적육: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문화반수관점에서 초등학교 교과서 분석-국어/도덕교과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정은, 게재일 : 2010
    40153 김정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이중언어학회 2010 문화반수관점에서 초등학교 교과서 분석-국어/도덕교과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탈북가정 유아의 남한사회 적응과정에 대한 현장연구:탈북적육 훈련원(하나원)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50536 한국연구재단 한국유아교육학회 탈북가정 유아의 남한사회 적응과정에 대한 현장연구:탈북적육 훈련원(하나원)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다중반수법(MEI)이 언어발달지연 학생의 우발적 언어 습득 능력 네이밍(Naming)에 미치는 효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진혁, 게재일 : 2017
    61738 최진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특수아동학회 2017 다중반수법(MEI)이 언어발달지연 학생의 우발적 언어 습득 능력 네이밍(Naming)에 미치는 효과 https://www.krm.or.kr/krmts
    유형논문 | 게재일2017
  • 이방인, 자이니치 디아스포라 문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응교, 게재일 : 2010
    06971 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근대문학회(Modern Korean Literature Assocation) 2010 이방인, 자이니치 디아스포라 문학 https://www.krm.or.kr/krmts/l
    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7)

  • 석마하연론초(釋摩訶衍論抄)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석마하연론초(釋摩訶衍論抄) 釋摩訶衍論抄 석마하연론초 형태서지 釋論抄 筆寫本 [日本] 1226年(嘉祿 2) 1帖 嘉祿二年 T69, p....
    대표표제어석마하연론응교초(釋摩訶衍論應敎抄) | 대표서명釋摩訶衍論應敎抄 | 한글서명석마하연론응교초 | 서지형태형태서지
  • 國債報償義募金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十錢식 池禾黍 池云一 各五十젼식 池蓮白 李永調 朴寳京 朴 各四十젼식 池元範 池聖云 朴允長 各三十젼식 池雲會 金名七 金應三 李英淳 朴聖祐 各二十젼식 池蓮會 宋丁同 宋成玉 宋八鳳 金京在 各十젼식 合十一圓九十젼 已上合計 二十二圓三十錢 前日統計 六千十九圓六十二錢五里 都統合...
    게재일1907년 6월 21일 | 기사분류광고
  • 國債報償義募金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韓昌履 韓 各四十젼식 韓斗敎 金日濟 各二十젼식 合三圓六十젼 東二面平薪里 明健凞 八十젼 明奇欽 明健浩 明敬信 明健春 明惠信 明健石 各三十젼식 明命化 明健允 曹世榮 各二十젼식 明健環 元京星 明健聖 明松信 明根셥 明健植 金英水 明士申各十젼식 合四圓 已上合計 十六圓十八錢 ...
    게재일1907년 6월 26일 | 기사분류광고
  • 사변형의 모형을 보□지로 작성하였으며 제2학년 학생들은 식물 표본 140점과 □식 120점을 채집하였다. 지리과 담임 리□재 교원은 지리 괘도 4개를 력사과 담임 오병식 교원은 세계지도 □매를 용기화 담임 박순원은 용기화 괘도 15개를 각각 작성하였다. 그리고 이...
    대표표제어교원신문_1950_0320_02 | 날짜1950년 3월 20일 | 책임주필김한성
  • 42 단반 학급 수업에서의 자작법 진명량, 시, 장승주 45 위대한 교육사업에 종신토록 헌신하겠다 김태렬, 최장석, 최재우, 김혜령, 최창엽 ...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54

기타자료(3)

  • ;辛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7159 남한 충남 예산농업학교 2-35 교우회보 제4호 1925―12―21 47면 신;辛 제7회
    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예산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응소;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8301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25 85면 31. 생도 씨명;4) 특과 제3학년 김응소;金 (원적)평북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응소;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7630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24 113면 29. 생도 씨명;6) 특과 제2학년 김응소;金 (원적)평북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60)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홍문관·예문관의 정4품 관직. 정원은 각기 1인이다. 홍문관 는 1420년(세종 2) 집현전이 설치되면서 정4품관으로 두었다. 학문 연구와 교명 제찬이 주된 직무였고, 경연관의 일원이 되기도 하였다. 1470년(성종 1) 예문관에 옛 집현전 관제를 부활

  • / 副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홍문관의 종4품 관직. 정원은 1인이었다. 1470년(성종 1) 예문관을 확장하여 혁파되었던 집현전의 기능을 부활시키면서 처음 설치되었고, 1478년 홍문관이 예문관에서 분리, 개편되면서 그대로 정제화되었다.

  • 시강관 / 侍講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경연의 정4품 관직. 태조 때에는 고려의 제도인 강독관 4인을 두었는데, 정종 때에 시강관과 시독관으로 분리하였다. 세종 때에는 집현전의 부제학이 이를 겸하였으며, 성종 이후에는 홍문관의 직제학·전한··부가 이를 겸하였다.

  • 김익 / 金熤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3∼1790). 우의정으로 진주 겸 주청사의 정사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왔으며, 다시 동지사은사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왔다. ·대사헌·강호유수·우의정 등을 거쳐 영의정에 올랐다.

  • 내지제교 / 內知製敎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집현전·홍문관 관원이 당연직으로 겸직한 지제교. 지제교는 책문·교명·교서·유서 등의 왕명을 대리 제찬하던 문한직으로서 본래 집현전이나 홍문관의 직무였으나, 타관원들 중에서 문장이 탁월한 자들도 임명될 수 있었다. 내지제교는 홍문관의 부제학·직제학·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