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음운” 에 대한 검색결과 1,2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48)

사전(37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음모(音母)와 운모를 합하여 부르는 개념. [내용] 전통적인 중국학에서는 개개의 한자(漢字), 즉 음절을 분석할 때 음모와 운모를 이분하는 태도를 취해왔는데, 음모는 성모(聲母)라고도 부른다. 예컨대, ‘良’자의 경우 현대 중...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국어의 을 연구하는 국어학의 한 분야. [내용] 론이라는 술어가 의미하는 내용은 시대에 따라 또는 학파에 따라 상당히 달라진다. 서구의 언어이론이 도입되기 이전에 있어서의 연구는 학 또는 운학이라고 불려졌던 것인데, 주로
  • 변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음성과 음소의 차이를 식별하지 않던 시대의 언어음(言語音)의 사적 변화. [내용] 그러나 론의 유파 또는 그 발전단계에 따라 호칭이나 개념에 상당한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그리고 현대에 있어서는 언어학의 다른 많은 술어들에 있...
  • 첩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음별로 분류한 한자자전이 이 『첩고』라면 한자석의 가나다순으로 배열한 책이 『언음첩고』이기 때문이다. 장서각 도서에 있다. 첩고 첩고...
  • 중원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국 원(元)나라의 주덕청(周德淸, ?-?)이 지은 운서(韻書).
    정의중국 원(元)나라의 주덕청(周德淸, ?-?)이 지은 운서(韻書).[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Jungwon eumun | MR표기Chungwŏn ŭmu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단행본(2)

  • 개혁개방 후 중국조선어의 변화, 발전 양상 연구 [재중한인디아스포라:재중한인디아스포라의 재구성과 발전적 통합 | 동덕여자대학교]
    저자 : 강용택 ... | 출판사 : 한국학술정보(주) | 출판일 : 20181130
    유형단행본
    이 책은 개혁개방 후 중국조선어의 변화와 발전 양상을 연구한 저서이다. 중국조선어는 중국의 조선족들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중국조선어는 한반도의 언어와 그 뿌리를 같이 하고 있지만 중국의 정치, 경제, 문화적 환경의 영향을 받으면서 자체의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중...
  • 韓國學研究論文集(四) [중국문화대학 | Chinese Culture University]
    저자 : ... | 출판사 : 中國文化大學華岡出版部 | 출판일 : 2015.12.
    유형단행본
    성훈ŸŸ ‧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대조 분석을 통해 베트남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의 문제점 탐구 및 교육 방안 - 팜티튀린ŸŸ ‧ 日治初期教科書之綴字現象-以普通學校學徒用朝鮮語讀本為中心 - 吳忠信ŸŸ

논문(6)

고서·고문서(186)

기초학문(273)

  • 形態論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송철의, 게재일 : 2000
    09733 송철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어학회 2000 形態論과 論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929b7dd0
    유형논문 | 게재일2000
  • 闡微≫의 體系와 淸代 官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4
    37472 한국연구재단 중국인문학회 2004 ≪闡微≫의 體系와 淸代 官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아랍어의 규칙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3
    48628 한국연구재단 한국이슬람학회 2003 아랍어의 규칙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육진방언의 변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5
    34539 한국연구재단 진단학회 2005 육진방언의 변화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국어 론의 중간 층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진호, 게재일 : 2006
    31017 이진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6 국어 론의 중간 층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14)

  • 표지 및 목차 2 2번째 페이지 비어있음 신년의 기도 김린서 1 정복동의 삼기본 김린서 3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8
  • 廣州朴生寄書(續)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이러니뎌러니 인심원망셔로말고 우리동포합심여 츙국국시다 슈업단말만말고 진츙갈력시다 목젹증거분명 좌이마시다 독립대한유권을 그뉘게다미루소 복망복츅니 우리졍부대신님네 을거드쳐셔 태양을발켜쥬오 슌젼온이지긔에 태양지긔쏘일진 음양상합되오리...
    게재일1903년 4월 18일 | 기사분류기타
  • 황돈수 85 사함남강사박기천유랍촉(謝咸南講士朴杞川遺蠟燭) 정윤수 85 화정사성화(和鄭司成華) 박장홍 86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1
  • 은 넣지 않았다. 다 아는 바와 같이 ()은 호상 결합할 때에 한 이 다른 의 영향으로 변화하는 것이다. 이것이 소위 결합적 변화인 것이다. 따라서 이 과를 취급함에 있어 전체 가운데 있어서 음이 고정불변해 있지 않다는 개념을 학생들에게 줄 것이 가장...
    대표표제어교원신문_1949_1110_03 | 날짜1949년 11월 10일
  • 의 도덕경과 그 철학시-그 평을 시정•고 관계 윤경주 522 전후한국소설연구-방법론적 서설 박동규 548 에술과 폭력 토머스 먼로...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9

멀티미디어(283)

  • 한국어와 중국어의 2_ 음절과 변동_3주차_1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https://ocks.korea.ac.kr/ocks/index.do)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중국어 대조 분석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중국어 대조 분석 본 강좌는 대조언어학적 관점에서 한국어와 중국어의 , 형태
    강좌제목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중국어 대조 분석 | 강의자장미정 교수, 진환상 교수
  • 한국어와 중국어의 2_ 음절과 변동_3주차_2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https://ocks.korea.ac.kr/ocks/index.do)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중국어 대조 분석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중국어 대조 분석 본 강좌는 대조언어학적 관점에서 한국어와 중국어의 , 형태
    강좌제목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중국어 대조 분석 | 강의자장미정 교수, 진환상 교수
  • 한국어와 중국어의 2_ 음절과 변동_3주차_3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https://ocks.korea.ac.kr/ocks/index.do)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중국어 대조 분석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중국어 대조 분석 본 강좌는 대조언어학적 관점에서 한국어와 중국어의 , 형태
    강좌제목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중국어 대조 분석 | 강의자장미정 교수, 진환상 교수
  • 한국어와 중국어의 2_ 음절과 변동_3주차_4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https://ocks.korea.ac.kr/ocks/index.do)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중국어 대조 분석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중국어 대조 분석 본 강좌는 대조언어학적 관점에서 한국어와 중국어의 , 형태
    강좌제목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중국어 대조 분석 | 강의자장미정 교수, 진환상 교수
  • 론_2주차_1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색할수 있는 길을 제시한다. 1주차. 서론, 음성학 2주차. 론 3주차. 형태음소론 4주차. 형태론 5주차. 어휘론 6주차. 통사론 7주차. 의미론 8주차. 화용론 9주차. 한국어사 16주차. 방언학, 문자론 박진호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강좌제목한국어학 개관 | 강의자박진호 교수

기타자료(10)

  • 한국 아동의 발달(2)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한국 아동의 발달(2) 한국 아동의 발달(2) 韓國 兒童의 發達(2) 교육 문헌 현대 교육과정 교과교육
    범주1교육과정 | 형식단행본 | 한글저자권경안
  • 한국 아동의 발달(I)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한국 아동의 발달(I) 한국 아동의 발달(I)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단행본 | 한글저자권경안
  • (연구) 변화의 경제성향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연구) 변화의 경제성향 (연구) 변화의 경제성향 (硏究) 變化의 經濟性向 교육 문헌 교육과정 교과교육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복흠 | 사료철명교육경남
  • (연구논단) 중학교문법 교과서의 편 분석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연구논단) 중학교문법 교과서의 편 분석 (연구논단) 중학교문법 교과서의 편 분석 교육 문헌 교육과정 교과교육 교육과정 교과서ㆍ...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전정식 | 사료철명부산교육
  • (국어교육) 학교문법체계 연구 체계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국어교육) 학교문법체계 연구 체계편 (국어교육) 학교문법체계 연구 체계편 (國語敎育) 學校 文法 體系 硏究 體系편 교육 문헌 교육과정 교과교육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신기상 | 사료철명수도교육

연구과제(6)

주제어사전(69)

  • / [언어/언어/문자]

    음모(音母)와 운모를 합하여 부르는 개념. 은 언어를 구성하는 중요한 부문(部門, component)의 하나이다. 언어구조의 각 부문은 ·문법·어휘 또는 ·통사·의미 등으로 나누어지는데, 전자를 고전적인 3분법이라 한다면 후자는 변형생성문법 이후에 특히 애

  • 동 / 福 [언론·출판/언론/방송]

    동경 복동사가 1937년 1월 1일에 국한문으로 내리 편집하여 발행한 월간지. 내용으로는 사설, 논문, 시, 수필, 소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첩고 / 捷考 [언어/언어/문자]

    한자(漢字) 1만 1419자를 한자음별로 분류, 나열하고 각각의 한자에 그 석(釋)을 달아놓은 한자자전. 불분권(不分卷) 1책. 필사본. 한글자모의 배열순서나 한글표기로 보아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특히, 그 석음(釋音)으로 보아 중부방

  • 체계 / 體系 [언어/언어/문자]

    한 언어가 가지는 음소들 상호간에 존재하는 유기적인 론적 관계. ‘대립’의 개념을 강조한 프라그학파에서는 한 언어에 실재하는 것은 음소 그 자체가 아니라, 한 음소와 또 다른 음소 사이의 론적 대립이라는 관점을 취했다. 즉 음소는 다른 음소와 여러 가지 대립

  • 국어론 / 國語 [언어/언어/문자]

    허웅(許雄, 1918∼2004)이 지은 국어론에 관한 개설서. 국어의 론을 공시적, 통시적으로 기술한 최초의 저서이다. 1958년 정음사(正音社)에서 본문 296면으로 간행하였는데 그 후에 개고신판(改稿新版)을 1964년에 간행하였다. 1985년 개정판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