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음식”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77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570)
사전(5,231)
- 음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사람이 먹고 마시는 것의 총칭. [개 관] 우리나라는 동아시아 동부에 돌출한 반도로서 뚜렷한 사계절의 구분과 기후의 지역적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식품자원이 다양하게 생산된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적 특성을 살린 음식들이 고루 잘 발달되...
- 보양음식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몸을 건강하게 보전하여 장수하게 하는 음식.정의몸을 건강하게 보전하여 장수하게 하는 음식.[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boyang eumsik | MR표기poyang ŭmsi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飮食之節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J5_J_0003 飮食之節 예절 色擧翔, 雉, 雉之翔集, 得時, 山梁雌雉, 色斯擧矣, 君子, 禽獸, 見其生, 不忍食其肉, 嗅之而起 孔子 鄕黨 J_06_01_01 지봉유설 6권 1장 1절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6권 1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虹吸飲食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D8_S_0010 虹吸飲食 신이 虹霓, 五色, 驢, 虹, 天使, 中書令, 夷俗, 變鬼法, 虹橋 唐, 金樑, 貴州, 京中 韋臯, 幻呪者, 明成祖, 使燕者, 賣術者 S_06_01_82 성호사설 6권 1장 82절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6권 1장 8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양생음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몸을 건강하게 보전하여 장수하게 하는 음식. [내용] 주로 단백질식품이 많다. 동양에서는 일찍부터 "약을 퍼부을 만큼 마셔도 좋은 식사에는 미치지 못한다 (藥補不如食補千補萬補不如食補). "라는 약식동원(藥食同源)의 사상이 정착되어 있었다...
단행본(8)
- 트랜스내셔널 동아시아의 젠더와 음식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 한국학 연구 및 교육 개발 |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저자 : Jooyeon Rhee, Chikako Nagayama and Eric Pin... | 출판사 : Lexington Books | 출판일 : 20211012Gender and Food in Transnational East Asias illustrates how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food impacts the changing social positions of individual...
- 한국인은 왜 그럴까요? [베트남의 한국학 발전을 위한 교육연구 체계 구축 | VNU University of Languages and International Studies (Hanoi)]저자 : 최준식 ... | 출판사 : Hong Duc 출판사 | 출판일 : 20230106Cuốn sách “Tại sao người Hàn Quốc lại thế?“ tập hợp các câu hỏi, những vấn đề thắc mắc của sinh viên, nghiên cứu sinh nước ngoài trong giờ thảo luận v...
- 한국어 [Korean Course Book on the Basis of CEFR | Ankara University]저자 : M.Ertan Gokmen(한국외국어대학교), S. Yesim Ferendeci(한국외국... | 출판사 : Ankara University | 출판일 : 2013.10.유형단행본머리말 한국어와 한글 한글 자모 1과 소개 2과 일상생활 3과 내 주변 4과 어제와 오늘 5과 음식
- 외국인을 위한 한자와 한국문화 [중앙아시아 지역 한국학 표준 교육과정 개발 및 기초 교재 개발 사업 |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저자 : 이선이(경희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소장), 배규범(경희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연구원)... | 출판사 : 한국문화사 | 출판일 : 2012.09.30분야교육 | 유형단행본Ⅰ.한자의 이해 (1)한자 이야기 (2)한자문화권과 한국어 Ⅱ.한국의 의식주문화 (3)의복문화 (4)음식문화 (5)주거문화
- 폴란드인을 위한 한국어 2 [폴란드 한국학 전공 학부 대학원생용 교육과정 및 교육자료 개발 | 서울대학교]저자 : 장소원(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김성규(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전영철(서... | 출판사 : 박이정 | 출판일 : 2011.09.15분야교육 | 유형단행본하우 씨를 도와 드릴게요 6과 음식이 입에 맞을지 모르겠어요 7과 기숙사에서 살아 본 적이 있어요? 8과 주말에 같이 경복궁에 놀러 가기로 했어요 9과 축구할 때 입을 운동복도 있으면
논문(3)
- 경기지역 종가제례음식 연구 [종가의 제례음식 자료집성 및 DB구축 | 한국국학진흥원]저자 : 김덕묵 | 게재정보 : 국학연구
- 유교이념의 실천도구로서 음식 [종가의 제례음식 자료집성 및 DB구축 | 한국국학진흥원]저자 : 김미영 | 게재정보 : 영남학
- 나주임씨 대종가의 불천위제례와 제례음식에 관한 연구 [종가의 제례음식 자료집성 및 DB구축 | 한국국학진흥원]저자 : 서해숙 | 게재정보 : 호남학
고서·고문서(3,122)
- 음식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음식 설 남자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허평구(和平区) 서탑가 4 2 음식, 남녀노소, 노래, 고국, 방송,...대표표제어음식 | 성씨설
- 음식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음식 이 남자 충청북도 충주시 길림성(吉林省) 연길시(延吉市) 연남가 5 3 음식, 혈관, 몸, 소세혈관, 보통현...대표표제어음식 | 성씨이
- 음식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음식 이 여자 내몽골 자치구(内蒙古自治区) 라이라얼시(海拉尔市) 알수없음 연변랭면집 3 2 음식, 요리, 몽땅, 민족...대표표제어음식 | 성씨이
- 음식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음식 박 남자 경상남도 김해시 요녕성(辽宁省) 무순시(抚顺市) 정업국 방산과 17 7 음식, 각별, 장만, 정성,...대표표제어음식 | 성씨박
- 음식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음식 이 남자 강원도 길림성(吉林省) 영길현(永吉县) 강밀봉진 신풍4대 3 3 음식, 로인, 록음노래, 음질효과, 만...대표표제어음식 | 성씨이
구술자료(352)
- 대만의 설날 음식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대만 20171223_033_007_대만_03_사의진_E_대만의 설날 음식 민속·문화 대만의 설날 음식 2017. 12. 23(토) 오후 강원도 춘천시 효자동 강원대학교 스토리텔링 학과사무실 사의진 [대만, 여, 1989년생, 유학 3년차] 조사자 3인 박현숙, 김민국가대만 | 제보자사의진 [대만, 여, 1989년생, 유학 3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전통음식 수마낙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타지키스탄 20180516_002_008_타지키_03_무나바르_E_전통음식 수마낙 민속·문화 전통음식 수마낙 2018. 05. 16(수) 오후 서울시 광진구 화양동 건국대학교 무나바르 [타지키스탄, 여, 1995년생, 유학 2년차] 조사자 4인 오정미, 한상효, 신동국가타지키스탄 | 제보자무나바르 [타지키스탄, 여, 1995년생, 유학 2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단오 음식 쫑쯔 유래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중국(한국계) 20170405_043_011_중국B_01_주경옥_L_단오 음식 쫑쯔 유래 전설 단오 음식 쫑쯔 유래 2017. 04. 05(수) 오후 충청북도 충주시 단월동 주경옥 [중국(조선족), 여, 1973년생, 결혼이주 13년차] 조사자 2인 오정미, 한상효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주경옥 [중국(조선족), 여, 1973년생, 결혼이주 13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단오 음식 쫑쯔 유래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중국(한국계) 20171108_002_006_중국B_01_권화_L_단오 음식 쫑쯔 유래 전설 단오 음식 쫑쯔 유래 2017. 11. 08(수) 오전 서울시 강북구 수유동 권화 [중국(한국계), 여, 1972년생, 결혼이주 8년차] 조사자 포함 3인 박현숙 제보자가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권화 [중국(한국계), 여, 1972년생, 결혼이주 8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중국 지역별 음식문화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중국(한국계) 20171108_002_007_중국B_01_동순옥_E_중국 지역별 음식문화 민속·문화 중국 지역별 음식문화 2017. 11. 08(수) 오전 서울시 강북구 수유동 동순옥 [중국(한국계), 여, 1971년생, 결혼이주 20년차] 조사자 포함 3인 박현숙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동순옥 [중국(한국계), 여, 1971년생, 결혼이주 20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123)
- 종교와 음식: 러시아 음식과 민간신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황성우, 게재일 : 200313453 황성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러시아연구소 2003 종교와 음식: 러시아 음식과 민간신앙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신앙과 음식: 이슬람 음식법에 관한 신앙과 음식 : 이슬람 음식법에 관한 연구 :꾸란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471891 한국연구재단 한국중동학회 2014 신앙과 음식: 이슬람 음식법에 관한 신앙과 음식 : 이슬람 음식법에 관한 연구 :꾸란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조선시대 필사본 음식조리서의 음식 용어 의미 주석을 위한 연구-음식디미방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남길임, 게재일 : 200827303 남길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의미학회 2008 조선시대 필사본 음식조리서의 음식 용어 의미 주석을 위한 연구-음식디미방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유형논문 | 게재일2008
- 한국 음식시의 맥락과 가능성-한국 음식문학의 맥락과 가능성 ②-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주언, 게재일 : 201720323 김주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우리어문학회 2017 한국 음식시의 맥락과 가능성-한국 음식문학의 맥락과 가능성 ②-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유형논문 | 게재일2017
- 섭식억제 , 사전음식섭취 및 공적자기주의에 따른 음식섭취 행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민규, 게재일 : 200106280 이민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 건강 심리학회 2001 섭식억제 , 사전음식섭취 및 공적자기주의에 따른 음식섭취 행동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유형논문 | 게재일2001
신문·잡지(1,997)
- 居處飮食操心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오셔에 토병으로 쥭는사의 슈효가 일 팔구십명식 경찰아문에 보고라니 우리동포는 음식과 거쳐를 뎨일죠심고 삼갈일이더라게재일1902년 9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崔順源(二見飮食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崔順源(二見飮食店) 서울 崔順源 二見飮食店 蓬萊町 4-170 요리_음식점 - 조선 주점 - 21.6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崔順源(二見飮食店) | 지역서울 | 품목요리_음식점 | 영업종목조선 주점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朴泰浩(新井飮食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朴泰浩(新井飮食店) 수원 朴泰浩 新井飮食店 梅山町 1町目 27 - - 음식점 - - - 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朴泰浩(新井飮食店) | 지역수원 | 품목- | 영업종목 음식점 | 자료출처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 金谷政吉(仁川飮食店組合)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谷政吉(仁川飮食店組合) 인천 金谷政吉 仁川飮食店組合 本町 - 동업조합 - - - - 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谷政吉(仁川飮食店組合) | 지역인천 | 품목- | 영업종목- | 자료출처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 崔求永(仁川鮮人飮食店組合)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崔求永(仁川鮮人飮食店組合) 인천 崔求永 仁川鮮人飮食店組合 龍里 - 동업조합 - - - - 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崔求永(仁川鮮人飮食店組合) | 지역인천 | 품목- | 영업종목- | 자료출처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멀티미디어(492)
- 서강대학교 (K종교학술확산연구소) K-Food와 종교Ⅰ K-Food와 종교Ⅰ 한국음식의 고유한 특징과 보편성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한국의 역사, 문화, 종교, 풍습에 대한 지식의 넓이와 깊이를 향상시킨다. 1주차. 한국음식의 특징 2주차. 한국음식의강좌제목K-Food와 종교Ⅰ | 강의자현재우
- 서강대학교 (K종교학술확산연구소) K-Food와 종교Ⅰ K-Food와 종교Ⅰ 한국음식의 고유한 특징과 보편성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한국의 역사, 문화, 종교, 풍습에 대한 지식의 넓이와 깊이를 향상시킨다. 1주차. 한국음식의 특징 2주차. 한국음식의강좌제목K-Food와 종교Ⅰ | 강의자현재우
- 서강대학교 (K종교학술확산연구소) K-Food와 종교Ⅰ K-Food와 종교Ⅰ 한국음식의 고유한 특징과 보편성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한국의 역사, 문화, 종교, 풍습에 대한 지식의 넓이와 깊이를 향상시킨다. 1주차. 한국음식의 특징 2주차. 한국음식의강좌제목K-Food와 종교Ⅰ | 강의자현재우
- 서강대학교 (K종교학술확산연구소) K-Food와 종교Ⅰ K-Food와 종교Ⅰ 한국음식의 고유한 특징과 보편성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한국의 역사, 문화, 종교, 풍습에 대한 지식의 넓이와 깊이를 향상시킨다. 1주차. 한국음식의 특징 2주차. 한국음식의강좌제목K-Food와 종교Ⅰ | 강의자현재우
- 서강대학교 (K종교학술확산연구소) K-Food와 종교Ⅰ K-Food와 종교Ⅰ 한국음식의 고유한 특징과 보편성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한국의 역사, 문화, 종교, 풍습에 대한 지식의 넓이와 깊이를 향상시킨다. 1주차. 한국음식의 특징 2주차. 한국음식의강좌제목K-Food와 종교Ⅰ | 강의자현재우
연구결과보고서(1)
- 종가의 제례음식 자료집성 및 DB구축 [종가의 제례음식 자료집성 및 DB구축 | 한국국학진흥원]자료유형연구보고서
기타자료(241)
- (교육논단) 제주 향토 음식의 이모저모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논단) 제주 향토 음식의 이모저모 (교육논단) 제주 향토 음식의 이모저모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정경자 | 사료철명교육제주
- (특별기획 교단에서 본 요즘 아이들) 음식 문화가 바뀌고 있다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특별기획 교단에서 본 요즘 아이들) 음식 문화가 바뀌고 있다 (특별기획 교단에서 본 요즘 아이들) 음식 문화가 바뀌고 있다 교육 문헌 교육과정 보건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최영재 | 사료철명서울교육
- 〈1947년 12월 5일 선천군 화폐개혁 상황〉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부정적 인자는 국영 음식점 지배인 정은갑(Чен Ын Кап)으로, 로동당원이면서 사회신분은 지주이다. 그는 점심시간인 15시 30분에 음식점 방문객들이 있는 자리에서 “모든 상점이 문을 닫아서 저희 역시 문을 닫겠습니다.”라고 말했다. 음식점에 있던 사람들은 “음식점...키워드선천군, 화폐개혁 | 대표주제어북조선 화폐개혁 | 발신자선천군 경무사령관 마카로프 | 수신자평안북도 정치고문 그라포프
- 1. Circular No. 48 : Sale of subsistence :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NITED STATES ARMY FORCES IN KOREA 숙명여자대학교 음식보급소가 사교장이나 단체에 음식을 파는 행위는 사령관이 승인한 사용 가능한 여분 음식을 바탕으로 사용 가능. 사회적, 유흥적 활동을 위해 근무자,...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HEADQUARTERS UNITED STATES ARMY FORCES IN KOREA
- 2.유리잔(瑠璃坏)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2.유리잔(瑠璃坏) 정창원 고대물품 유리잔(瑠璃坏) 음식구(飲食具) 중창(中倉) 70 1 구경(口径) 8.6cm, 높이 11.2cm, 무게 2...대표표제어2.유리잔(瑠璃坏) | 주제분류정창원 고대물품
연구과제(20)
-
종가의 제례음식 자료집성 및 DB구축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김미영 | 한국국학진흥원 | 국내
-
리까르도 빨마 대학교의 동서양고전연구소와 문화 다양성과 대화 유네스코 석좌를 통한 페루에서의 한국문화와 한국학 소개 및 전파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DORA ALICIA BAZÁN MONTENEGRO DE DEVOTO | Universidad Ricardo Palma | 2015 | 국외 | 해외
-
세계화한 한국, 트랜스내셔널 한인: 한인 이주와 한인과 아시아인의 역동적인 모빌리티를 비교의 시각에서 연구하기
한국학 세계화 랩사업 | 김지훈 | 인하대학교 | 2023 | 국내 | 인천
-
Developing Korean awareness at the University of the South Pacific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Ryota Nishino | University of the South Pacific | 2014 | 국외 | 해외
-
『한국예학용어사전(韓國禮學用語辭典)』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임종진 | 경북대학교 | 2014 | 국내 | 대구
주제어사전(184)
-
음식 / 飮食 [생활/식생활]
사람이 먹고 마시는 것의 총칭. 우리나라는 동아시아 동부에 돌출한 반도로서 뚜렷한 사계절의 구분과 기후의 지역적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식품자원이 다양하게 생산된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적 특성을 살린 음식들이 고루 잘 발달되어 있다. 특히 조선시대를 기준으로 볼 때
-
사찰음식 / 寺刹飮食 [생활/식생활]
불교에서 허용하는 승려들의 음식. 사찰음식은 절음식이라고도 불리는데, 육식(肉食)과 인공 조미료를 전혀 넣지 않는 채식(菜食) 음식이다. 불교의 기본 정신을 바탕으로 하여 소박한 재료를 가지고 자연의 풍미를 살려 독특한 맛을 내고, 음식은 끼니때마다 준비하며, 반찬의
-
밥 / 飯 [생활/식생활]
쌀·보리 등의 곡물을 솥에 안친 뒤 물을 부어 낟알이 풀어지지 않게 끓여 익힌 음식. 우리 음식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주식이다. 곡물을 익히는 조리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그 중에서도 밥은 가장 일상적이고 보편적인 음식이라 할 수 있다.
-
석자 / 㐥煮 [생활]
익힌 음식을 건져서 물기나 기름을 빼는 데 사용되는 조리 기구. 깊이가 있는 국자 모양으로 바닥은 철사로 그물처럼 촘촘히 엮은 것이다. 음식을 국물에 적셨다가 건져내서 물기를 빼거나, 튀긴 음식을 기름에서 건져내어 기름을 뺄 때 건져낸 음식을 잠시 두는 용도로 사용
-
숙수 / 熟手 [생활/식생활]
조선 시대에 궁중의 잔치나 제사에 쓰이는 음식을 만드는 전문 요리사. 조선 시대에 이조에 속해 음식을 만드는 일을 전문으로 하는 남자 요리사를 대령숙수라고 하였는데 이들은 대를 이어 궁에서 음식 만드는 일을 하였다. 한말 이후 숙수들이 시중으로 나가 일하게 됨으로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