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을자모양동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4)
- 황주천주리고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笠頭形銅器] 2점, 을자모양동기[乙字形銅器] 1점, 관모양동기[管形銅器] 1점, 통형동기(筒形銅器) 2점, 금동고리[金銅環] 2점이 있으며, 철기류로 외귀단지[片耳壺] 1점, 도끼[鐵斧] 1점이 있으며, 토기류로 흑회색꼰무늬토기[黑灰色繩文土器] 1점이 있다. 이 무덤...
- 은파갈현리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청동유물이 출토되었다. 그 종류는 청동기로 세형동검(細形銅劍) 1점, 칼자루끝장식[劍把頭飾] 1점, 투겁창[銅鉾] 1점, 쇠뇌부속금구[弩機附屬金具] 1점, 수레부속금구[車輿具附屬金具] 2점, 삿갓모양동기[笠頭筒形銅器] 3점, 乙자모양동기 6점, 관모양동기[管形銅器] 6...
- 황주금석리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의 성격은 알 수가 없었다. 여기에서 출토된 유물은 청동기로 세형동검(細形銅劍) 1점, 쇠뇌[弩機] 1점, 을자모양동기[乙字形銅器] 1쌍, 삿갓모양동기[笠頭筒形銅器] 1쌍, 삿갓모양원통[笠頭形圓筒] 1점, 양산대끝[蓋弓帽] 1점, 고삐끼우개 1쌍, 고리[銅環]...
- 황주순천리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기와 함께 드러난 토기편들과 금속유물에 의해 추정할 수 있었다. 유물의 출토상태는 야간공사에 의해 유물이 수습된 관계로 불명하였다. 출토유물은 청동기로 차축두(車軸頭) 4점, 삿갓모양동기[笠頭形銅器] 1점, 을자모양동기[乙字形銅器] 2점, 관모양동기[管形銅器]...
주제어사전(4)
-
을자모양동기 / 乙字모양銅器 [역사/선사시대사]
채토장(採土場)유적을 들 수 있다. 이 가운데 평양 상리유적 출토의 을자모양동기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길이는 각각 17.5cm, 18.4cm, 18.2cm 이다. 묘광 내에서는 대체로 권총형의 멍에머리〔車衡頭〕·고깔동기〔笠形銅器: 삿갓모양동기〕·통모양동기〔
-
황주천주리고분 / 黃州天柱里古墳 [역사/선사시대사]
황해도 황주군 천주리 한밭골에 있는 초기철기시대의 널무덤[土壙墓]유적. 출토된 유물은 청동기로 세형동검(細形銅劍) 1점, 차축두(車軸頭) 2점, 삿갓모양동기[笠頭形銅器] 2점, 을자모양동기[乙字形銅器] 1점, 관모양동기[管形銅器] 1점, 통형동기(筒形銅器) 2점, 금
-
은파갈현리유적 / 銀波葛峴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1점, 투겁창[銅鉾] 1점, 쇠뇌부속금구[弩機附屬金具] 1점, 수레부속금구[車輿具附屬金具] 2점, 삿갓모양동기[笠頭筒形銅器] 3점, 乙자모양동기 6점, 관모양동기[管形銅器] 6점, 청동고리[銅環] 3점, 청동띠고리[帶鉤] 3점, 둥근칼자루끝장식[圓形劍柄頭] 2점이 있다
-
황주금석리유적 / 黃州金石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황해도 황주군 금석리에 있는 초기철기시대의 덧널무덤[木槨墓] 유적. 출토된 유물은 청동기로 세형동검(細形銅劍) 1점, 쇠뇌[弩機] 1점, 을자모양동기[乙字形銅器] 1쌍, 삿갓모양동기[笠頭筒形銅器] 1쌍, 삿갓모양원통[笠頭形圓筒] 1점, 양산대끝[蓋弓帽] 1점, 고삐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