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을사의병”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8)
- 을사의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달아 체결되어 반일의식이 전국적으로 고조되어가던 중, 1905년 을사오조약이 강제 체결되자 한국민의 반일감정은 극도에 달하여 전국 각지에서 의병이 재기하였다. 을사의병이 가장 먼저 봉기한 곳은 을미의병 때 가장 활발한 활동을 보여 주었던 원주‧제천‧단양 등 중부...
- 민종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들을 홍산(鴻山)에 집결시켰고, 여기서부터 서천(舒川)‧비인(庇仁)‧판교(板橋)‧남포(藍浦)‧보령(保寧)‧청양(靑陽) 등 충청남도 서부 일대를 점령한 뒤, 서부의 중심지인 홍주(洪州)를 공략해 점거하였다. 이렇듯 왜병과 싸워 크게 이김으로써 을사의병 중 경상북도의 신돌...이칭별칭 윤조(允朝)| 퇴초자(退樵子)
- 소은창의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때 의병 봉기에 앞장섰을 뿐 아니라, 아들 종해도 을사의병 이래 활약하다가 패하였다. 변명‧변장으로 겨우 화를 면했는데 종해의 어머니와 장자 기수(基洙), 차남 증수(曾洙) 역시 구사일생으로 화를 모면하였다. 한말의병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권종해의 손자인...
- 윤자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將)으로 활약하였다.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 체결될 때 동지를 규합하여 지리산으로 들어가 을사의병전쟁을 진두 지휘하였다. 고종은 1908년 7월 7일자로 옥새를 찍어 조칙을 내렸다. 고종은 특사를 시켜 윤자형을 가의대부 의병대장 겸 삼남도육군대도독(嘉義大夫義...이칭별칭자신(滋新)|내경(來卿)
- 이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그 뒤 1906년 을사의병의 일환으로 영천을 중심으로 산남의진(山南義陣)이 구성되자 의병장 정용기(鄭鏞基)의 휘하에서 초장(哨長)과 좌령장(左領將)으로 활약하였다. 1907년 남석문(南錫文)ㆍ정순기(鄭純基) 등과 청송ㆍ영덕 등지에서 의병을 모집하던 중 남석문이 붙잡혀...이칭별칭 사옥(士玉)
단행본(1)
- 독일외교문서 한국편 1874~1910, 11권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저자 : 고려대학교 독일어권문화연구소 ... | 출판사 : 보고사 | 출판일 : 2021051711권은 1902년을 전후로 본격화된 한국과 만주를 둘러싼 러일 갈등과 대립, 러일전쟁, 포츠머스 강화조약, 영일동맹, 을사늑약, 을사의병, 그리고 헤이그특파사건 전후 한국을 둘러싼 정세를 다루고 있다.
고서·고문서(2)
- 논 소송 고소(申訴)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구하였습니다. 그 때 지방이 어수선한 상황 1905년 을사오조약 등 일련의 일제침략을 계기로 일어난 을사의병의 봉기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을 당하여 돈을 마련하기 매우 어려웠지만 집 근처의 전답을 사기 위하여[爲其家近] 다른 곳의 땅을 방매하느라고 그간에 든 손해가...재판기관충청남도재판소(忠淸南道裁判所) | 판결일자3073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민종식 판결선고서(閔宗植 判決宣告書)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렇듯 왜병과 싸워 크게 이김으로써 을사의병 중 경상북도의 申乭石 진영, 鄭鏞基, 鄭煥直 진영과 3대 전투의병으로 손꼽힌다. 홍주의병의 항일 세력은 서울과의 교통로 때문에도 일제 침략군에게는 큰 위협거리였다. 그런 까닭에 서울에 주둔하던 일군이 토벌군으로 파견되어, 5월...제목민종식 판결선고서(閔宗植 判決宣告書) | 사건유형내란 | 소장처국가기록원
주제어사전(1)
-
을사의병 / 乙巳義兵 [역사/근대사]
1905년부터 1906년 사이의 러일전쟁·을사오조약 등 일련의 일제침략을 계기로 일어난 구국항일무력전의 총칭. 을사의병의 봉기 양상은 본질적인 면에서 을미의병과 큰 차이가 없었지만, 을미의병이 해산된 뒤 은거 중이던 대부분의 의병장이 구국결사의 신념을 새롭게 다지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