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을사오적” 에 대한 검색결과 7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2)

사전(53)

  •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
    대하여 조약 체결에 관한 찬부를 물었다. 결국 ‘’이라 불리는 박제순 ‧ 이지용 ‧ 이근택 ‧ 이완용 ‧ 권중현 5명의 대신이 찬성하여 을사조약은 1905년 11월 18일 오후 2시경 체결되었다. 이 날 회의에 참석한 대신은 참정대신 한규설(韓圭卨), 탁지...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5년 을사조약 때 일본에 나라를 팔아 넘긴 친일 매국노 5인을 규탄하는 말.
    정의1905년 을사조약 때 일본에 나라를 팔아 넘긴 친일 매국노 5인을 규탄하는 말.[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Eulsa ojeok | MR표기Ŭlsa ojŏ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오적암살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06∼1907년에 우국지사들이 이완용(李完用)‧이근택(李根澤)‧박제순(朴齊純)‧이지용(李址鎔)‧권중현(權重顯) 등 이른바 ‘()’을 처단하기 위해 결성한 단체. [기능과 역할] 기산도는 1905년 말부터 김석항(金錫恒)...
  • 이면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27(순조 27)∼1910. 조선 말기의 문신ㆍ순국지사.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초명은 석우(錫宇). 자는 윤래(允來), 호는 계은(桂隱)ㆍ하계(霞溪). 경상북도 봉화 출신. 태종의 별자(別子) 온양군(溫陽君)의 후손으로 치두(...
    이칭별칭 윤래(允來)| 계은(桂隱), 하계(霞溪)|석우(錫宇)
  • 장석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의 소(疏)를 올렸는데 모두 시사(時事)의 급무(急務)였다. 1905년 이완용(李完用) 등 이 왜병을 이끌고 대내(大內)로 들어와 을사조약을 체결하였다는 변고를 듣고 협약의 철회와 적신(賊臣)을 죽일 것을 상소하였고, 한일합방이 되자 가야산(伽倻山)으로...
    이칭별칭 순명(舜鳴)| 과재(果齋), 일범(一帆)

고서·고문서(9)

  • 1905년 정의림(鄭義林)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905년(광무9) 12월 3일에 정의림(鄭義林)이 기우만(奇宇萬)에게 보낸 편지이다. 을사조약(乙巳條約)에 대해 이를 규탄하는 상소를 올리는 일에 관해 의견을 묻고, ()을 처단하기를 청하였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장성 고산서원
  • 李晩이 올린 上疏草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未詳 29 31 남경훈 종가 한국국학진흥원 李晩이 올린 상소문으로 자신은 병으로 궁벽한 영남의 시골에 누워 있어서 을 막지 못하였으며 3.1독립만세운동 이후 일제의 탄압이 더욱 심한 것도 막지를 못하였는데도 자신을 資憲大夫에 봉해준데 대한 은...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엘리엇이 보스트윅에게 고종과 대신들의 을사조약 서명 여부를 알리는 건 [근대 전환기 알렌 문서 정리ㆍ해제 및 DB화 | 건양대학교]
    R2-B3-03-004 엘리엇이 보스트윅에게 고종과 대신들의 을사조약 서명 여부를 알리는 건 목록 1905년 12월 10일 (추정) E. A. Elliott H. R. Bostwick 을사조약, 고종, , 한규설, 민영기, 이하영 Si...
    문서종류목록 | 생산일자1905년 12월 10일 (추정) | 수신자H. R. Bostwick
  • 나인영외 30인 판결선고서(羅寅永外 30人 判決宣告書)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
    CJA000021-0046 판결선고서 제19호 국가기록원 평리원 羅寅永外 30人 判決宣告書 나인영외 30인 판결선고서 판결서 국한문 1907. 7. 3. 모살 나인영(전注書, 45세)외 30인 전남 낙안군 27쪽 한국근대사 나인영과 30여인이 을 습격하려했지...
    제목나인영외 30인 판결선고서(羅寅永外 30人 判決宣告書) | 사건유형모살 | 소장처국가기록원
  • 이준 판결선고서(李儁 判決宣告書)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
    차를 거친다. 즉 사면심사위원회를 비롯한 여러 기관의 실무적 절차를 통해 사면자 명단이 작성 되는 지 검사 개인의 직권으로 이루어지는 일은 아니다. 이준은 을 처단하려다 체포되어 복역 중인 나인영, 오기호를 사면자 명단에 포함시키고, 정치범들을 은사대상자 명단...
    제목이준 판결선고서(李儁 判決宣告書) | 사건유형관리고소 | 소장처국가기록원

주제어사전(10)

  • / [역사/근대사]

    1905년 을사늑약 강제 체결 당시 한국측 대신 가운데 조약에 찬성하여 서명한 다섯 명의 대신. 다섯 명은 외부대신 박제순, 내부대신 이지용, 군부대신 이근택, 학부대신 이완용, 농상공부대신 권중현이다. 을사늑약은 1905년 11월 18일 오후 2시경에 체결되었는데,

  • 강원상 / 姜元相 [역사/근대사]

    생몰년 미상. 조선 순종 때에 활동한 독립운동가. 1907년 나인영(羅寅永)·오기호(吳基鎬)와 함께 ()의 암살을 계획했다. 은 박제순(朴齊純)·이지용(李址鎔)·이근택(李根澤)·이완용(李完用)·권중현(權重顯)이다. 3월에 권중현을 저격하려다 체

  • 박제순 / 朴齊純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문신(1858∼1916). 을사늑약 체결 당시 외부대신. 중 한 사람이다. 1893년 호조참판 때 청나라 군사 파병 문제를 협의, 1894년 충청도관찰사 때 동학농민 토벌에 참여하였다. 경술국치 때 내부대신으로서 ‘한일합방조약’에 서명 후 자작

  • 오기호 / 吳基鎬 [정치·법제/정치]

    항일기의 의사(1863∼?). 1905년 포츠머드강화회의에 참석하고자 했으나 이루지 못하여, 일본으로 건너가 이토·오쿠마·모치즈키 등에게 한국의 독립보장을 역설하였다. 암살계획을 세웠으나 실패하였으며, 대종교를 창도하여, 민족독립운동에 헌신하였다.

  • 이만도 / 李晩燾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842∼1910). 강화도조약체결에 반대하는 최익현을 지지하다 삭탈되었다. 을미사변 후 의병장으로 활약했다. 을사늑약 때 처형을 상소하였다. 경술국치 후 단식 24일 만에 순국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