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을미의병”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5)
사전(57)
- 을미의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중순 경기‧충청‧강원도 등 각 지에서 본격적으로 일어난 의병항쟁은, 2월 상순에는 경상도 북부와 강원도 북부, 그리고 함경도 북부까지 확대되었다. 전국 각지에서 봉기한 을미의병은 대개 그 지방의 유명한 유생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갑오경장의 새로운 법령...
- 장헌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70(고종 7)∼1926. 조선 말기의 의병장. [내용] 자는 무장(武章), 호는 뇌헌(磊軒). 경상북도 영일 출신. 1895년(고종 32)의 민비시해(閔妃弑害)와 단발령(斷髮令)을 계기로 을미의병이 전국적으로 봉기하자, 1896년이칭별칭 무장(武章)| 뇌헌(磊軒)
- 안공하사실기대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박정수(朴貞洙)가 지은 을미의병장 안승우(安承禹)의 투쟁기. [내용] 일기체로 되어 있으나 일자가 명기되어 있지 않은 것이 특색이다. 안승우는 1896년(고종 33) 1월 제천에서 의병을 일으킨 선도 의병장의 한 사람으로 그해 1...
- 소모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회, 1970) 「한말을미의병운동(韓末乙未義兵運動)의 기점(起點)에 대한 소고(小考)」(김상기,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 1988)이칭별칭소모사(召募使)
- 나시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96. 조선 말기의 의병장. [내용] 본관은 안정(安定). 강원도 평창 출신. 임진왜란 때 의병 수천(壽天)의 후손이다. 총을 잘 쏘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그에게서 총 쏘는 방법을 배웠다. 1895년 을미의병(乙未義兵)이 일어...
고서·고문서(17)
- 1895년 을미의병일기(乙未義兵日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일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일기 | 현소장처서울역사박물관
- 명성황후 시해사건과 아관파천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館播遷), 고무라 주타로(小村壽太郎), 슈뻬이예르(A. 슈뻬이예르), 을미의병(乙未義兵)., 베베르(K. I. Weber), 다이(W. M. Dye), 닌스테드(F. J. H. Nienstead)대표표제어명성황후 시해사건과 아관파천 | 수신지베를린
- 조선의 정치적 사건들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r), 김윤식(金允植), 의친왕 이강(義親王 李堈), 을미의병(乙未義兵)대표표제어조선의 정치적 사건들 | 발신자크리엔 | 수신자호엔로에-실링퓌어스트 | 발신지서울 | 수신지베를린
- 서울의 정치적 사건들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A. 3352 보고 조선 왕의 칙령 및 러시아 공사관의 정문과 서울의 여러 장소에 게시된 몇몇 포고문에 대해 보고함 명성황후(明成皇后) 시해사건 , 을미의병(乙未義兵), 수인(手印), 박정양(朴定陽), 안경수(安駉壽), 김병시(金炳始), 이재순(李載純),...대표표제어서울의 정치적 사건들 | 발신자크리엔 | 수신자호엔로에-실링퓌어스트 | 발신지서울 | 수신지베를린
- 조선 문제에 대한 일본 외무대신의 발언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Weber), 을미의병(乙未義兵) 5월 13일 런던 471, 페테르부르크 341에 전달대표표제어조선 문제에 대한 일본 외무대신의 발언 | 발신자구트슈미트 | 수신자호엔로에-실링퓌어스트 | 발신지도쿄 | 수신지베를린
기타자료(1)
- 충주 청령헌 주변 시굴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중앙부에 위치해 있다. 충주읍성의 초축 시기에 대해서는 학계에서 의견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고려~조선시대에 걸쳐 사용되어 왔음은 분명하다. 충주읍성이 원형을 잃어가기 시작한 것은 조선 말~일제강점기로, 1895년에 충주에서 일어난 을미의병 때 화재로 인해 퇴락하...발행연도2008 | 발굴기관충청대학박물관/충주시 | 발굴지역충청북도
주제어사전(7)
-
을미의병 / 乙未義兵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최초의 대규모 항일의병. 1895년 8월 20일 민비가 시해되고 뒤이어 왕후폐위조칙이 발표되자, 보수유생들은 ‘토역소(討逆疏)’ 등을 바쳐 친일정부의 폐위조처에 반대함은 물론, 일본군을 토벌, 구축하여 국모의 원수를 갚을 것을 주장하였였고, 의병을 일으켰다.
-
홍양기사 / 洪陽紀事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잡사류(雜史類) 임한주(林翰周) 저, 신연활자본, 미상 불분권 1책(32장). 임한주가 홍주(洪州)의 을미의병(乙未義兵) 등 항일 의병 활동에 대해 기록한 책이다.
-
을사의병 / 乙巳義兵 [역사/근대사]
1905년부터 1906년 사이의 러일전쟁·을사오조약 등 일련의 일제침략을 계기로 일어난 구국항일무력전의 총칭. 을사의병의 봉기 양상은 본질적인 면에서 을미의병과 큰 차이가 없었지만, 을미의병이 해산된 뒤 은거 중이던 대부분의 의병장이 구국결사의 신념을 새롭게 다지면서
-
규당일기 / 規堂日記 [역사/근대사]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의병장 안병찬이 홍주을미의병의 조직과정과 활동을 기록한 일기. 안병찬은 충청도 청양 출신의 유생으로 홍주향교 전교가 되어 향약을 베푸는 등 향리의 교화에 힘썼으며, 부친인 안창식과 함께 1895년 홍주의병을 주도하여 옥고를 치렀다.을
-
황재현 / 黃載顯 [종교·철학/유학]
척사소를 올렸다. 1894년 동학농민전쟁 때 유회군을 모아 동학군을 진압, 1895년 을미사변 후 홍주을미의병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