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을미개혁”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4)
사전(102)
- 을미개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시도이다. [변천과 현황] 일반적으로 1894년(고종 31) 7월부터 1896년 2월 초까지 약 19개월 동안 3차에 걸쳐 추진된 일련의 개혁을 넓은 의미의 갑오개혁(甲午改革)이라고 한다. 그런데 제3차 갑오개혁을 을미개혁(乙未改革)이라고도 한...이칭별칭제3차 갑오개혁
- 을미개혁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895년 7월부터 1896년 2월까지 제3차 김홍집(金弘集) 내각(內閣)에 의하여 추진된 국정(國政) 개혁 운동.정의1895년 7월부터 1896년 2월까지 제3차 김홍집(金弘集) 내각(內閣)에 의하여 추진된 국정(國政) 개혁 운동.[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Eulmi Gaehyeok | MR표기Ŭlmi Kaehyŏ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대신관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 총무에 관한 사항을 관장하던 관서. [내용] 1894년(고종 31) 갑오경장으로 설치된 8아문(衙門)에 소속되어 있던 총무국(總務局)을 이듬해 을미개혁 때 개칭한 것이다. 각 부에 소속되어 기밀에 관한 사항...이칭별칭총무국(總務局)
- 이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95년 강릉부관찰사에 임명되어 재임하던 중, 1986년 초 민용호(閔龍鎬)의진이 강릉에 입성하자, 강제 추출당하고 말았다. 을미개혁으로 지방관제가 개혁될 때 강원부관찰사에 임명되었다. 1910년 가의(嘉義)에 올랐다. 『고종실록(高宗...
- 관세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 을미개혁의 일환으로 종래의 재정기구를 정리할 목적 아래 징세서(徵稅署)와 함께 설치되었던 관청. [내용] 1895년(고종 32)에 탁지부에 속하여 조세 및 기타 세입의 징수에 관계되는 사무를 맡았는데, 징세서가 실무를 맡은 데...
단행본(2)
- 독일외교문서 한국편 1874~1910, 7권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저자 : 고려대학교 독일어권문화연구소 ... | 출판사 : 보고사 | 출판일 : 202004297권은 명성왕후 시해사건, 을미개혁, 아관파천, 한국을 둘러싼 러일 관계 조정, 한국 내 이권 문제를 둘러싼 열강들의 경쟁 및 국내외 정세, 독일 및 서구 열강, 그리고 일본의 대응을 다루고 있다.
- 독일외교문서 한국편 1874~1910, 6권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저자 : 고려대학교 독일어권문화연구소 ... | 출판사 : 보고사 | 출판일 : 202004296권은 청일전쟁, 갑오개혁, 일본의 한국 보호국화 정책, 시모노세키 조약, 삼국간섭, 갑오개혁, 명성왕후 시해사건, 을미개혁을 둘러싼 국내외 정세와 독일 및 서구 열강의 대응을 다루고 있다.
고서·고문서(9)
- 초계군읍지(草溪郡邑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설명이 상세하게 수록되어 있다. 특히 1895년 을미개혁(乙未改革) 이후, 군 사정의 변화가 기재되어 1899년 초계군의 구체적인 상황을 잘 전해주고 있다. 본 읍지에 기록된 후구와 전결의 수로 볼 때, 초계군은 조선의 지방 고을들 가운데 비교적 작은 규모의 고을이었다...내용분류정치/행정 - 조직/운영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明成皇后國葬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이 순탄치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1896년 1월 27일에 도감의 작업을 중단하였다가 7월 25일에 빈전을 경운궁(慶運宮)으로 옮긴 뒤 12월 7일에 이르러서야 다시 진행하게 되었다. 이 기간은 대체로 을미개혁(乙未改革)이 실패하고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하...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대한제국 최초의 농상공부 엽서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 소인난 중앙에 태극 표기를 하고 무궁화와 함께 대한제국 우표를 한자와 한글로 표기하고 있다. 1907년 7월 2일로 추정되는 제물포 소인이 찍혀있다. 대한제국 농상공부는 1895년 을미개혁때 농상아문과 공무아문을 합쳐 1910년까지 존속했다. 대한제국, 최초엽서...자료명대한제국 최초의 농상공부 엽서 | 발행처대한제국 농상공부 인쇄국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명성황후빈전혼전도감의궤(明成皇后殯殿魂殿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도설(圖說)에 이르기까지 매우 상세하고 구체적인 기록을 통해 그 내용을 후세에 전하고 있다. 본 의궤에서 다루고 있는 1895년부터 1897년에 이르는 시기는 명성황후 시해사건(을미사변)에서부터 을미개혁, 아관파천, 대한제국 수립에 이르기까지 조선으로서는 매우 급박하...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명성황후홍릉산릉도감의궤(明成皇后洪陵山陵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도설(圖說)에 이르기까지 매우 상세하고 구체적인 기록을 통해 그 내용을 후세에 전하고 있다. 본 의궤에서 다루고 있는 1895년부터 1897년에 이르는 시기는 명성황후 시해사건(을미사변)에서부터 을미개혁, 아관파천, 대한제국 수립에 이르는 시기로 조선으로서는 매우...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신문·잡지(1)
- 법전월보_1965_01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한국법제의 근대사과정(7)-2개월에 70건의 법령을 제정공포한 을미개혁 남만성 16 법령정비자료 18 외국판례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5
주제어사전(6)
-
을미개혁 / 乙未改革 [역사/근대사]
1895년 명성왕후 시해사건 이후 김홍집 내각이 추진한 근대적 개혁운동. 제3차 갑오개혁을 을미개혁이라고 한다. 을미개혁은 시기적으로 명성왕후 시해사건이 일어난 직후에 국민의 반일감정이 극도에 이른 상황에서 강행된 것이었다. 따라서 개혁에 대한 국민의 저항은 높을 수
-
광무개혁 / 光武改革 [역사/근대사]
아래로부터의 개혁과 자주 비교된다. 국가의 자주독립과 근대화를 지향하여 비교적 외세의 간섭 없이 자주적으로 개혁을 추진하였다는 점에서 갑오개혁, 을미개혁을 대체로 그대로 이어 추진했다는 평가가 있다.
-
교전소 / 校典所 [역사/근대사]
나머지 위원과 지사원은 대개가 개화당으로 갑오개혁, 을미개혁에 참여하였거나 독립협회의 핵심적 인물들로 구성되었다.
-
구군복 / 具軍服 [생활/의생활]
행차 때에는 대신 이하 시위하던 모든 신하들이 갖추어 입었다. 갑오경장 다음 해인 1895년에 을미개혁의 일환으로 서구식 신식군복에 의한〈육군복장규칙〉이 반포됨으로써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
대신관방 / 大臣官房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총무에 관한 사항을 관장하던 관서. 1894년(고종 31) 갑오경장으로 설치된 8아문에 소속되어 있던 총무국을 이듬해 을미개혁 때 개칭한 것이다. 각 부에 소속되어 기밀에 관한 사항, 관리의 진퇴와 신분에 관한 사항, 대신의 관인과 부인의 간수에 관한 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