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은횡과” 에 대한 검색결과 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

사전(11)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의장(儀仗)의 하나. 나무로 만든 참외 모양에 은칠을 하여 붉은 칠을 한 장대에 가로로 꿰었다. 금물을 칠한 것은 금횡과이다. 一今此禮葬敎是時吉儀仗中銀文倚一脚踏一坐子一倚子一金橫瓜一一等物乙酉謄錄及王世子乙巳册禮時不爲造作是乎矣, (예장1729/044ㄴ12~045ㄱ...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모절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金粧刀二銀盂子一銀灌子一銀立瓜二金立瓜二二金橫瓜二毛節四內二仍修補銀鉞斧二金鉞斧二雀扇六內四仍修補二新造, (책례1651/061ㄴ02~04)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금횡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금색을 칠한 참외 모양의 의장(儀仗). 나무로 만든 참외 모양의 표면에 금칠을 하고 붉은 장대 위에 가로로 꽂았다.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 의하면, 대가(大駕)가 움직일 때 은립과ㆍ금립과 다음에 금횡과 2개와 4개를 좌우로 나누어 은교자(銀轎子) 위에 올려놓...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은교의(銀交倚)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와 같이 좌우로 나뉘어 진열된 의장 사이에 진열되었다. 은교의 뒤에는 교의(交椅) 아래에 두고 쓰는 발판인 각답(脚踏)이 배치되었다. 1명의 군사가 1개의 은교의를 받들고 나아갔는데, 이때 군사는 자의(紫衣)에 자건(紫巾)을 착용하였다. 중궁(中宮)의...
    상위어가례(嘉禮), 길례(吉禮), 흉례(凶禮) | 동의어은교의(銀交椅) | 관련어노부(鹵簿), 발인반차(發引班次), 의장(儀仗)
  • 금횡과(金橫瓜)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위해 각종 깃발, 부채, 덮개, 병기, 악기 등 다양하고 화려한 의장 용품이 사용되었다. 금횡과는 이러한 의장 용품 가운데 하나로, 노부에 참여한 군사들이 좌우로 나뉘어 들고 가는 몽둥이를 가리킨다. [연원 및 변천] 왕의 가마인 어연(御輦) 앞쪽에 (...
    상위어가례(嘉禮), 군례(軍禮), 길례(吉禮), 흉례(凶禮) | 관련어노부(鹵簿), 발인반차(發引班次), 의장(儀仗)

고서·고문서(1)

  • 유금강산일기(遊金剛山日記)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 在此無亭前, 東入于海. 海口之入目者, 不如海山之濶大. 然亭後岡阜, 遮絶邑居, 啾喧不及. 前臨江水, 水碧沙明, 東坡有“去江無十步”之語, 似若指此而言矣. 螺鬟幾點, 疊見西南, 楓岳巖巖之勢, 無遜於海山所望, 而其幽闃蕭灑, 雖謂之有加焉, 可也. 還登海山亭, 日已下舂矣...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송상윤(宋相允)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주제어사전(2)

  • / [생활]

    의장의 하나. 나무로 만든 참외 모양에 은칠을 하여 붉은 칠을 한장대에 가로로 꿰었다. 금물을 칠한 것은 금횡과이다.

  • 금횡과 / 金橫瓜 [정치·법제]

    금색을 칠한 참외 모양의 의장. 나무로 만든 참외 모양의 표면에 금칠을 하고 붉은 장대 위에 가로로 꽂았다. <국조오례의>에 의하면, 대가가 움직일 때 은립과ㆍ금립과 다음에 금횡과 2개와 4개를 좌우로 나누어 은교자 위에 올려놓고 따라간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