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은장도” 에 대한 검색결과 8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0)

사전(5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은으로 만든 작은 칼. [내용] 평복에 차는 노리개의 하나이다. 남녀가 장도를 차는 풍습은 고려가 원나라에 복속한 뒤부터 시작되어 조선시대에는 널리 일반화되었다. 1498년(연산군 4)의 사치금제에서도 서인의 사용을 금하였으나 잘...
    연계항목은장도(銀粧刀)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의장(儀仗)의 하나. 나무로 칼 모양을 만들어 은칠을 하고 끈을 달았다. 칼집에 여러 가지 무늬를 아로새겼다. 금장도도 이와 같으나 다만 금으로 색을 칠한다. 靑衣紫巾哥舒捧十軍十三名金鐙子十軍十三名金粧刀二軍三名二軍三名以上紅衣皮笠白虎幢一軍二名朱雀幢一軍二名靑龍幢一...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小)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4501 물품도구 소(小) 소 작은 (). 는 칼자루와 칼집을 은으로 장식한 작은 칼. 는 노리개로 차고 다니기도 하고 호신용으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1764년 정사 조엄(趙曮)...
    유형분류물품도구
  • 금장도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금색을 칠한 칼 모양의 의장(儀仗). 나무로 만들며 겉에 무늬를 새기고 금칠을 하고 끈을 달았다. 임금이나 왕비, 세자의 행차 때 다음으로 행렬 좌우에 각각 2개씩 가지고 따랐다. 二前排修補金粧刀二前排修補銀罐子一前排, (국장1834/187ㄴ08~10)...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도적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옥찬의 무리 중의 하나로, 박판서의 집에 침략해 박씨부인의 미모를 보고 희롱하려 하다가, 박씨가 로 목을 찔러 자결하니, 그 절개에 감동해 칼을 빼려하나 빠지지 않자, 벽에 ‘만고열녀’라는 글자를 남기고 간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25)

  • 에…… 성은 청가래도 뛰는 멋으로 댕긴다 [③] 에― 개천에 빠져서 허덕저덕한다 에…… 수렁에 빠져서 만석당혜(萬舃唐鞋)를 잃었네 [④] 에― 개고리 집을 찾으려면 미나리 밭으로 가거라 에…… 뚜꺼비 집을 찾으려면 장독대로 돌아라 [⑤] 에― () 차려다 작...
    구분잡가 | 편저자李昌培
  • 리라. 에…… 성은 청가래도 뛰는 멋으로 댕긴다. [③] 에― 개천에 빠져서 허덕저덕한다. 에…… 수렁에 빠져서 만석당혜(萬舃唐鞋)를 잃었네. [④] 에― 개고리 집을 찾으려면 미나리 밭으로 가거라. 에…… 뚜꺼비 집을 찾으려면 장독대로 돌아라. [⑤] 에― (...
    구분잡가 | 편저자李昌培
  • 세게 짓첫고나 씨아버니 거둥보게 라 드는 칼노 댓닙가티 갈아메고 이 내 몸을 빌나하네  놀사 유리잔은 갑슬 주면 보려니와 오날 아츰 봉성아는 인제 가면 다시 울가 〈d〉1930.08.30.〈/d〉
    구분창가
  • 75081 B075081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顯宗 0年 11月 11日_036 知之, 可矣。 鄭維城曰, 前日勅使之還, 以銀器及賜給以送, 彼極感幸矣。 上曰, 粧刀, 今亦造來以置耶? 許積曰, 己丑年, 則無銀器造給之事, 只以粧刀給之, 所謂銀器造給者, 丁酉焰焇...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5143 B075143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顯宗 0年 11月 11日_036 知之, 可矣。 鄭維城曰, 前日勅使之還, 以銀器及賜給以送, 彼極感幸矣。 上曰, 粧刀, 今亦造來以置耶? 許積曰, 己丑年, 則無銀器造給之事, 只以粧刀給之, 所謂銀器造給者, 丁酉焰焇...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1)

  • 대를 이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황천석씨가 이야기를 마치고 손님이 왔다 하면서 집으로 가자, 모두들 제보자에게 이야기를 하라고 권했다. 제보자는 마이크를 잡고 행패를 부린 사람이 집안 동생이라면서 여러 사람에게 미안하다고 정중히 사과를 하고 나서 황천석씨가 오기까지 자기가 이야기를 하겠다면서 이...
    조사일시1980-08-11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창군 마리면 | 제보자박종기

신문·잡지(4)

  • 작일에 루동궁 동편대문압 사 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에 루동궁 동편대문압 사 려규남의 칼날을 파져교다리 근쳐에셔 일헛스니 누구던지 엇은 친구가잇거든 루동으로 보쥬시기를 바라오  쳥인영당 뎐당국에 무어슬 잡헛지 돈삼쳔오이라고 쓴뎐당표를 슌학교 사 리흥록이가 엇어보엿시니 그표일흔 사은 본샤로...
    게재일1899년 3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長 席 閒 談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쓰 사은 흔가보데 시쳬에모직이안이면 입지안코 인력거안이면 츌입지안코 양료리안이면 먹지안코 히이로안이면 물지안테 진쇼위 업네업네면셔 만야먹고 몸동이 벌거벗더도 차고 모가지 업셔도 억바람이지 양
    게재일1906년 11월 26일 | 기사분류기타
  • 장개석의 처세술 45 치레거리- 47 공포속에서 생활한 녀인 위아화 48 ...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98
  • 의 설화 김보성 59 시추천사 신석정 69 소설추천완료소감 홍석영 69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0

주제어사전(2)

  • / [생활/의생활]

    의장의 하나. 나무로 칼 모양을 만들어 은칠을 하고 끈을 달았다. 칼집에 여러 가지 무늬를 아로새겼다. 금장도도 이와 같으나 다만 금으로 색을 칠한다.

  • 금장도 / 金粧刀 [정치·법제]

    금색을 칠한 칼 모양의 의장. 나무로 만들며 겉에 무늬를 새기고 금칠을 하고 끈을 달았다. 임금이나 왕비, 세자의 행차 때 다음으로 행렬 좌우에 각각 2개씩 가지고 따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