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은결” 에 대한 검색결과 29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4)

사전(5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전세(田稅)의 부과대상에서 부정‧불법으로 누락시킨 토지. [내용] 전주(田主)나 전호(佃戶) 그리고 지방관서 관리의 부정수단으로 발생하는 탈세전(脫稅田)이다. 이란 본래 양전(量田)을 실시할 때 비옥한 전답의 일부를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탈세를 목적으로 전세의 부과 대상에서 부정‧불법으로 누락시킨 토지
    정의탈세를 목적으로 전세의 부과 대상에서 부정‧불법으로 누락시킨 토지 | 문광부표기eun-gyeol | MR표기ŭn’gyŏ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전결(田結) 은루결(隱漏結), 은여결(隱餘結) 대거양전(大擧量田), 추생양전(抽栍量田), 여결(餘結), 누결(漏結), 도결(都結) 경제재정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박도식 [정의]...
    상위어전결(田結) | 동의어은루결(隱漏結), 은여결(隱餘結) | 관련어대거양전(大擧量田), 추생양전(抽栍量田), 여결(餘結), 누결(漏結), 도결(都結)
  • 여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 삼정문란(三政紊亂)의 한 사례인 전정(田政)의 폐해. [내용] 토지대장에서 빠진 것으로 ()과 여결이 있다. 그 중 여결은 양전(量田) 때 전답의 결수를 실제보다 줄여서 토지대장에 기록해놓고 그 나머지 부분에서 관리가
  • 근대신어 : 동일선상(同一線上)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1579 동일선상 다항 同一線上 手段과目的斷코同一線上에列을不得者니라 수단과 목적은 결단코 동일선상에 나열함을 부득할 것이니라 兪星濬 法學通論 普昌學校 1905 347 판단
    출전法學通論[普昌學校] | 계통분류 [예술감각] 판단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178)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굳심 고 남자 경상남도 산청군 흑룡강성(黑龙江省) 의란현(依兰县) 영란향 광성촌 2 2 굳심, 담당자, 힘...
    대표표제어굳은결심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좋책 임 남자 길림성(吉林省) 연길시(延吉市) 신흥가(新兴街) 2 2 좋책, 말씀, 같이, 통지, 이곳, 많은사람...
    대표표제어좋은결책 | 성씨
  • 3681 중국 총서 전송문 032 기타 全宋文3856 納高麗人箚子 竊聞明州申 有高麗人劉待擧等附船到州事 契勘高麗自神宗以至前朝 許之來貢 賜書入學 燕樂賡詩 其甚至於臨遣王人 罷黜言者 所以爲之賜者甚寵 而屬意者亦深 艱難以來 首鼠兩端 坐觀成敗 終賴 謀...
    국가중국 | 서명전송문 | 왕대기타  
  • 나주군의 을 속히 살펴서 이충하라는 훈령.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羅州 儒生 李圭亮의 狀에 따르면 陳結과 관련하여 呈訴하였더니 題音이 내리기를 나주군의 結獘는 로 보충해야 할 폐단이니 나주군에 호소하여 좋은 방법을 강구하라고 하였다 함. 그러나 訓令이 없으면 을 살피는 것이 어려우니 發訓하여 을 조사함으로써 民結의 陳廢를...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조선부동산용어약해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이 자료는 조선총독부 관방토목국이 기록한 자료로 자료명은 “조선부동산용어약해(朝鮮不動産用語略解)”로 표기되어 있으며 1913년(대정 2)에 생산되었다. 조선총독부 관방토목국에서 조선의 부동산용어를 설명해 놓은 자료이다. 373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본어로 작성되었다...
    분류민사 | 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출판사발행처불명

신문·잡지(61)

  • 査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원쥬셰무관 엄쥬완씨가 그관하각군에 은루된결셰 샤야 탁지부에 보고얏 원쥬에 오십이결십이부요 홍쳔에 팔십이결칠십부요 령월에 오결구십칠부오속이요 평창에 이십일결삼십삼부 뎡션에 이십일결부구속이오 양구에 삼십구결구부구속이라더라
    게재일1907년 5월 28일 | 기사분류잡보
  • 査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평북 곽찰셔리 쟝효근씨가 탁지부에보고기를 본도이십일군에 병신년경장시에 은루된결셰를 일일이 죠즉 창셩에 이십구결 팔십일부요 가산군에 이결 칠십이부구속이오 초산군에 십칠결칠십부 이속인 삼군에셔 년 수봉건몰것을 징츌면 경이젹지안을터이니 금년위시야 승춍케...
    게재일1907년 2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陞緫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진쳔군슈 리응씨 군에 유 팔십결을 샤 승춍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11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査得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젼라북도에셔일인이각군을 됴샤단말은 이왕긔얏거니와 이왕사득거시 이쳔팔팔십결이오 그밧계도 방장 엄즁이 됴샤즁인 오쳔결은 무려다더라
    게재일1906년 9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 査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동부참셔관 최덕씨가 탁지부에보고기를 본관이 비록셰무에 상관이업스나 부윤무를 협찬고 법관의 임을겸얏슨측 셩의폐를 실피지안을슈 업지라 각군에 소위은 셩에게 징슈야 국고에 상랍지안코 그관쟝된자가 리속로더부러환롱야 졍공을흠츅난것인 본부
    게재일1907년 3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주제어사전(3)

  • /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전세의 부과대상에서 부정·불법으로 누락시킨 토지. 이란 본래 양전(量田)을 실시할 때 비옥한 전답의 일부를 원장부에서 누락시켜 그 조세를 사취하는 것이다. 여결(餘結)이란 전답의 면적을 실제보다 감소시켜 토지대장에 올려 놓고 그 남는 부분에 대하여 개별

  • 조선 / 朝鮮 [지리/인문지리]

    관둔전(官屯田)의 확장, 민전(民田)의 탈입(奪入)과 투탁(投托), ()의 격증 등이 그것이다.

  • 여결 / 餘結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삼정문란의 한 사례인 전정의 폐해. 토지대장에서 빠진 것으로 과 여결이 있다. 그 중 여결은 양전 때 전답의 결수를 실제보다 줄여서 토지대장에 기록해놓고 그 나머지 부분에서 관리가 개별적으로 전세를 수납하였다. 예를 들면 3결의 전답을 2결로 사정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