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윷점” 에 대한 검색결과 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

사전(1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정초에 윷을 가지고 그 해의 운수를 점치는 점법. [내용] ‘사점(柶占)’이라고도 한다. 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는 집단으로 편을 갈라 윷놀이를 하여 그 승부로써 그해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것이다. 이것은 옛날에 농촌에서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초에 윷을 가지고 그 해의 운수를 점치는 점법.
    정의정초에 윷을 가지고 그 해의 운수를 점치는 점법.[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yutjeom | MR표기yutchŏ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아패영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함께 놀게 한 것이 특색이다. 민속에 의하면 정월 초승에 여러 가지 놀이로 그해의 흉풍과 길흉을 점치는 행사가 있는데, 과 골패점과 화투점이 이에 속한다. 지방에 따라서는 정월 초하루보다 정월대보름에 과 골패점으로 일년신수를 가리는 곳도 있고, 또 정...
  • 제야(除夜)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흉(吉凶)을 점쳤는데, 그 점치는 법은 64괘로 분류되었다. 새해 첫날 아침[元旦]에도 마찬가지로 을 통해 한 해의 운세를 점치기도 하였다.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경도잡지(京都雜誌)』 ...
    동의어제석(除夕) | 관련어구나의식(驅儺儀式), 수세(守歲), 연종포(年終砲)
  • 성진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의 윷가락은 함경북도 일대가 콩윷을 쓰고 있으나 이곳에서는 대부분 나무윷을 쓰며, 북부 지방은 실내 오락으로 국한되어 있으나 옥외에서도 많이 행해진다. 그리고 부녀자들은 달맞이이라는 것이 있어서 소반 위에 청아수를 떠 놓고 한쪽 면을 깎아 흰 칠을 한 4가...

기초학문(2)

  • 유득공 󰡔경도잡지󰡕 의 易哲學的 해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임채우, 게재일 : 2012
    40168 임채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학연구원 2012 유득공 󰡔경도잡지󰡕 의 易哲學的 해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난중일기 擲字占의 易學的 의미: 版本과 典故 문제에 대한 문헌고증적 분석을 통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임채우, 게재일 : 2013
    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25530&local_id=10047313 이순신 〈난중일기〉의 擲字占과 법의 易學的 의미 - 版本과 典故 문제에 대한 문헌고증을 통해 https://www
    유형논문 | 게재일2013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민간신앙]

    윷으로 새해의 길흉을 점치는 점법의 하나. <동국세시기>의 제석조에 "제야와 설날에 윷을 던져서 괘를 보아 새해의 길흉을 점친다. 점치는 법은 64괘로 나누어 각각 요사가 있다. 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사람이 편을 짜서 집단으로 하는 것과 또 하나는 개인이

  • 고래실봉답윷놀이 / [생활/민속]

    슬러 올라가는 오래된 놀이로, 오락에서 벗어나 내기를 하기도 하며 을 치기도 한다. 계원리에서는 이러한 의례적 윷놀이가 언제부터 성행했는지 알 수 없지만, 풍년을 바라는 주민들의 바람이 윷놀이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