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윷놀이” 에 대한 검색결과 17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9)

사전(13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놀이의 명칭이 인 것은 나무막대기 넷을 가지고 노는 놀이이므로, 도‧개‧걸‧윷‧모 중 넷을 뜻하는 윷과 놀이가 복합된 것이라 추측된다. 윷의 한자어 사(柶)도 나무막대기 넷을 가지고 논다는 뜻이다. 가 어느 때부터 시작되었는지에 대하여 이익(李瀷)...
    이칭별칭사희|척사희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윷가락을 던지고 말[馬]을 사용하여 승부를 겨루는 놀이.
    정의윷가락을 던지고 말[馬]을 사용하여 승부를 겨루는 놀이.[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yunnori | MR표기yunnor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시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황해도 장연 지방에서 전승되던 민속놀이. [내용] 정월 대보름에 행하였으며, 행사에 앞서 벌이는 를 통해서 그해 농사의 흉풍(凶豐)을 점치는 까닭에 이와 같이 불린다. 또 이 놀이에는 씨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미 섣달 그믐 무렵부터 즐기기 시작하여 대보름 무렵까지 즐긴다. 연날리기는 섣달 그믐 무렵부터 시작하여 대보름까지 즐긴다. 보름날의 연은 액연(厄鳶)이라 하여 멀리 날려보낸다. 원래 보름날 이후에는 연을 날리지 않는 것이다. 그밖에 설날 무렵 ‧널뛰기‧승경도놀이...
    이칭별칭설날|원일(元日)|원단(元旦)|원정(元正)|원신(元新)|원조(元朝)|정조(正朝)|세수(歲首)|세초(歲初)|연두(年頭)|연수(年首)|연시(年始)|신일(愼日)|달도(??)|구정(舊正)
  • 저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노는 방법과 비슷하였으므로, 우리나라에서는 를 나타내는 이름인 유(杻‧忸‧流‧由), 윷[遊齒]‧사희(柶戱) 등과 저포(摴蒲, 樗蒲)가 혼용되었기 때문이다. 즉, 고려말 이색(李穡)의 ≪목은집시고 牧隱集詩藁≫ 권35에 있는 <저포시 摴蒲詩>는 를...

고서·고문서(11)

  • *앞부분 자료 훼손으로 판독 불가□□□□ 틱망하야 □□□□ 명문이요□□□□ 옥골낭자 □인□ □튼니흥명이 되단말가칠십연 묵은횡사 산산이 썩은회포압$연%물의 엇든가$울%풍진 하든의 춘정월 춘정월: 春正月. 봄이 시작되는 음력 정월. 게모로다제남의 청$첩%바다 자동차 잡...
    가사유형가사 | 소장처김윤규 | 시대해방이전
  • 중국, 전통, 민속, 놀음, 화투, , 한창, 찰력, 송편, 음식, 기름, 등불, 목단강시, 불야성, 서울, 수고, 서울, 의과, 대학, 이씨, 내과, 교수, 116명, 현재, 정황, 감사, 전염병학, 연구, 옥체, 건강, 축복
    대표표제어존경 | 성씨
  • 문화대혁명, 말기, 귀방송, 청취자, 행렬, 애청, 사전, 화보, 요구, 소식정확, 한반도정세, 리해, 도움, 우리마을, 로인, 중년패, 춘절, 보름, 일주일전, 춤, 집집마다, , 귀방송국, 직원, 명절인사
    대표표제어1월 | 성씨
  • 리, 소인, 장군, 비길수없지만, 우리민족, 풍속, 습관, 설날, 세배, 보름, , 단오, 그네, 귀하, 귀인, 우리, 한자리, 모일그날, 바라며, 고향, 노래
    대표표제어관운장 | 성씨
  • , 조선족, 동포들, 가정식구들, 항해, 결심, 다지면서, 유쾌한, 오락, 전통적인, , 보름날, 옷차림, 형상, 근로인민들, 무궁한, 지혜, 과시, 하늘, 떠나갈, 거리
    대표표제어김선생님 | 성씨

구술자료(11)

  • 똥강아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윷놀이의 한 방법을 재미있게 엮어 나가는 이야기다. 민속유희로 주목이 간다.*
    조사일시1981-08-11 | 조사장소경기도 강화군 양도면 | 제보자박옥순
  • 강원도 속초시 이원군 민속놀이 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해 조사하였다. 2) B면이 I-391과 같은데, 내용상 I-391에서 연결된 것으로 보인다. 3) 음질 중. 강원 속초 민속 놀이 줄다리기 다리밟기 방애굴리기 연띄우기 씨름 훌기 꽃놀이 (버들피리 돌던지기 꼬모지 천렵놀이 활쏘기 경로회 정경도놀이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최윤호
  • 는 놀이다. 그리고 일본식 인 ‘스고로쿠’가 있는데, 주사위와 말을 사용한다. 그리고 ‘카루타’라는 카드놀이는 아이들이 히라가나를 배울 때 많이 하는 놀이이며, 순발력이 필요하다. 전통 방식은 시를 읊거나 노래를 부르는 놀이로 ‘햐꾸닌잇슈’라고 한다. 설날, 전
    국가일본 | 제보자코마츠 미호 [일본, 여, 1969년생, 결혼이주 20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친지들이 모이면 샤가이(Шагай)라는 전통 놀이를 하는데, 한국의 와 유사한 놀이이다. 바야르사이한, 몽골, 민속, 문화, 설, 명절, 물, 만두, 요구르트, 우유 차, 하닥, 하다크, 하득, 하드크, 인사, 샤가이, 말, 낙타, 양, 염소, 복숭아 뼈, 인천
    국가몽골 | 제보자바야르사이한 [몽골, 여, 1966년생, 결혼이주 10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한장군놀이 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음식은 없고, 씨름은 진장, 그네는 서림숲, 는 시장에서 하였다. 진장에서 말을 달리는 사람은 전쟁의 모습을 재현하기 위해서 여러 명이었다. 일제강점기때는 제사만 지내고, 말은 타더라도 전쟁의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5. 무당의 복식: 갓을 쓰고, 칼 또는 부채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연희음악;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호기

기초학문(1)

  • 국내성에서 발견된 고구려 판과 그 천문우주론적 상징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3
    35659 한국연구재단 고구려연구회 2003 국내성에서 발견된 고구려 판과 그 천문우주론적 상징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03

신문·잡지(11)

주제어사전(7)

  • / [생활/민속]

    윷가락을 던지고 말[馬]을 사용하여 승부를 겨루는 놀이. 한자어로는 ‘사희(柶戱)’라고 한다. 2인이 대국(對局)하여 각각 4말을 가지고 29밭이 있는 윷판을 쓰는데, 말 길은 원근(遠近)과 지속(遲速)의 방법으로 승부를 가리는 것이다. 인원수가 많을 때에는 두 패 또

  • 고래실봉답 / [생활/민속]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계원리에 전승되는 . 고래실과 봉답으로 편을 갈라 놀면서 풍년을 점치는 놀이이다. 고래실은 기름진 논이고 봉답은 척박한 논으로, 봉답 쪽이 이기면 풍년이 든다고 하고 고래실 쪽이 이기면 흉년이 든다고 한다. 는 삼국시대까지 거

  • 저포 / 樗蒲 [생활/민속]

    런데 이 놀이가 우리 나라에 언제 들어와서 언제까지 행해졌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왜냐하면, 이 놀이방법이 우리 나라의 노는 방법과 비슷하였으므로, 우리나라에서는 를 나타내는 이름인 유(杻·忸·流·由), 윷[遊齒]·사희(柶戱) 등과 저포(摴蒲, 樗蒲)가

  • 구구가 / 九九歌 [문학/구비문학]

    구구법(九九法)에 따라서 말놀이하는 전래동요. 일종의 어희요(語戱謠)이다. 정월에 를 즐기다가 이긴 편이 춤을 추면서 부르는 노래로, 구구법에 좇아 거침없이 외워나가는 그 자체를 즐기는 노래이다. 구구팔십 일광로는 여이동빈 찾아가고 팔구칠십 이적선은 채색강에

  • 밀양법흥상원놀이 / 密陽法興上元─ [생활/민속]

    을 지나던 도승(道僧)의 지시대로 당목에 짝을 지어주고 당사(堂祠)를 만들어 법고(法鼓)를 안치하고 대보름날 동제를 모시자 태평해졌다는 것이다. 놀이의 내용은 앞마당인 용왕제에 이어 지신밟기와 신랑 다루기를 한다. 다음 놀이마당에서는 ·널뛰기·다리밟기를 하며, 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