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율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9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50)
사전(674)
- 율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한시 형식의 하나. 4운 8구로 된 근체시를 율시라고 한다. [내용] 1구의 자수에 따라 5언‧7언의 구별이 있다. 1구 5자인 경우는 오언율시, 1구 7자인 경우는 칠언율시이다. 같은 근체시인 절구보다 형식이 까다롭다. 대우(對偶)‧성...
- 율시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4운 8구로 된 근체시로 한시 형식의 하나.정의4운 8구로 된 근체시로 한시 형식의 하나.[국어국문학자료사전] | 문광부표기yulsi | MR표기yuls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律詩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3_J_0035 律詩 시 古詩, 絶句, 八句, 七言律, 五言律, 五言絶, 七言絶 嚴羽 J_09_01_01 지봉유설 9권 1장 1절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9권 1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율시(律詩)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율시 율시 律詩 시체(詩體) 근체시(近體詩), 절구(絶句), 오언율시(五言律詩), 칠언율시(七言律詩) 문화인문학/어문학 개념용어 대한민국, 중국 조선 박종훈 [정의] 근체시 중 하나로, 4...상위어시체(詩體) | 관련어근체시(近體詩), 절구(絶句), 오언율시(五言律詩), 칠언율시(七言律詩)
- 오언율시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여덟 구로 되어 있는 한시체(漢詩體)로, 한 구가 다섯 자로 되어 있는 것.정의여덟 구로 되어 있는 한시체(漢詩體)로, 한 구가 다섯 자로 되어 있는 것.[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oeon yulsi | MR표기oŏn yuls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634)
- 7언율시(七言律詩)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시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시 | 현소장처부여‧강화‧영주 창원황씨
- 5언율시(五言律詩)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시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시 | 현소장처부여‧강화‧영주 창원황씨
- 5언율시(五言律詩)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시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시 | 현소장처부여‧강화‧영주 창원황씨
- 7언율시(七言律詩)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시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시 | 현소장처부여‧강화‧영주 창원황씨
- 7언율시(七言律詩)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시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시 | 현소장처부여‧강화‧영주 창원황씨
구술자료(1)
- 조율시이의 의미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박채규의 살아온 이야기가 10여분 이상 계속되었다. 옆에서 이야기를 듣고 있던 제보자가 제사에 관한 다음 이야기를 구연했다. #1청 중 - 장한종조사일시2010.02.26 | 조사장소전남 광양시 옥룡면 운평리 상평마을 옥룡면사무소 | 제보자서동석
기초학문(3)
- 李鳳煥 三代의 七言律詩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현일, 게재일 : 201552696 이현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한문학회 2015 李鳳煥 三代의 七言律詩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유형논문 | 게재일2015
- 晩唐 七言律詩와 新羅 漢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서성, 게재일 : 200822839 서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어문연구회 2008 晩唐 七言律詩와 新羅 漢詩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유형논문 | 게재일2008
- 李嶠 詠物 五言律詩 硏究− ≪雜詠詩≫120수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강민호, 게재일 : 201449938 강민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어문학회 2014 李嶠 詠物 五言律詩 硏究− ≪雜詠詩≫120수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35)
- 염불보권문(念佛普勸文) 1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염불보권문(念佛普勸文) 11 念佛普勸文 염불보권문 형태서지 [明衍 編] [朝鮮] [韓國] 木板本 信川 興律寺 1765年(英祖 42) 1冊[50張] ...대표표제어염불보권문(念佛普勸文) 11 | 대표서명念佛普勸文 | 한글서명염불보권문 | 서지형태형태서지
- 염불보권문(念佛普勸文) 4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염불보권문(念佛普勸文) 4 念佛普勸文 염불보권문 형태서지 明衍 集 朝鮮 韓國 木板本 信川 興律寺 1765年(英祖 41) 東裝 1冊 28.6x...대표표제어염불보권문(念佛普勸文) 4 | 대표서명念佛普勸文 | 한글서명염불보권문 | 서지형태형태서지
- 염불보권문(念佛普勸文) 18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염불보권문(念佛普勸文) 18 念佛普勸文 염불보권문 형태서지 念佛普勸文 明衍 編 朝鮮 韓國 木版本 信川 興律寺 1765年(英祖 41) 1冊 刊...대표표제어염불보권문(念佛普勸文) 18 | 대표서명念佛普勸文 | 한글서명염불보권문 | 서지형태형태서지
- 염불보권문(念佛普勸文) 2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염불보권문(念佛普勸文) 21 念佛普勸文 염불보권문 형태서지 念佛普勸文 明衍 編譯 朝鮮 韓國 木版本(後刷本) 信川 興律寺 1765年(英祖 41) ...대표표제어염불보권문(念佛普勸文) 21 | 대표서명念佛普勸文 | 한글서명염불보권문 | 서지형태형태서지
- 염불보권문(念佛普勸文) 24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염불보권문(念佛普勸文) 24 念佛普勸文 염불보권문 형태서지 念佛普勸文 [明衍 編] 朝鮮 韓國 信川 興律寺 1765年(英祖 41) 乾隆 三十年 三月日...대표표제어염불보권문(念佛普勸文) 24 | 대표서명念佛普勸文 | 한글서명염불보권문 | 서지형태형태서지
기타자료(3)
- 전원직;全圓稷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3141 남한 전남 광주고등보통학교 2-08 校友會誌 제4호 1929―02―25 99면 전원직;全圓稷 곡성군 玉果面 栗寺里 188 제3회학교소재지역전남 | 학교명광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발해 宣王이 일본 嵯峨天皇에게 보내는 王啓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即仁秀蒙免 承英等至 伏奉書問 用院勤佇 俯存嘉貺 慄戠伏増 但以 貴国弊邦 天海雖阻 飛風転幣 風義是敦 音符毎嗣於歳時 恵賚幸承於珍異 眷念之分 一何厚焉 仁秀不才 幸修先業 交好庶保於終始 延誠冀踵於尋修 伏惟 照鑑幸甚 謹遣政堂省左充王文矩等 賚啓入覲 遠修国禮 以固勤情 奉少土毛 謹録別紙...대표표제어발해 宣王이 일본 嵯峨天皇에게 보내는 王啓 | 주제분류외교문서
- 굴불사-유적발굴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으로는 폭 2m 내외의 석축 배수로가 설치되어 있어 지대가 낮은 서편으로 배수처리를 하고 있었으며, 이 배수로의 남쪽 부분은 비교적 넓은 평지를 이루는데 현재 栢栗寺로 올라가는 길로 이용되고 있었다. 사면석불은 자연암석 사면에 여러 형태의 불상이 양각 또는 선각되어 있...발행연도1986 | 발굴기관문화재연구소/경주고적발굴조사단 | 발굴지역경상북도
주제어사전(148)
-
율시 / 律詩 [문학/한문학]
한시 형식의 하나. 1구의 자수에 따라 5언·7언의 구별이 있다. 1구 5자인 경우는 오언율시, 1구 7자인 경우는 칠언율시이다. 같은 근체시인 절구보다 형식이 까다롭다. 대우(對偶)·성운(聲韻)·자수(字數)·구수(句數)가 모두 엄정한 규율에 맞아야 한다. 율시는 양
-
칠언율시지구집 / 七言律詩志彀集 [언론·출판]
저자 옹방강(1733-1818). 필사본. 4권 1책. 이 책은 옹방강이 당송 및 원대의 칠언율시를 뽑은 <당인칠률지구집>에서 자하 신위가 다시 뽑은 책이다. 권1은 17장(성당), 권2는 20장(중당, 만당), 권3은 18장(북송), 권4는 10장(남송, 원)으로
-
한객건연집 / 韓客巾衍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신 유련이 이덕무·유득공·박제가·이서구의 시를 초록하여 1777년에 간행한 시집. 『한객건연집』의 내용을 작가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 이덕무는 육언시 1, 칠언절구 28, 오언율시 14, 칠언율시 48, 오언고시 3, 칠언고시 5로 모두 99수이다. 유득공
-
학천집 / 鶴泉集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문인 성여학의 오언절구·오언율시·오언고시 등을 수록한 시문집. 2권 2책. 목판본. 이 책은 외손 한후명(韓厚明)이 편집하고, 이무(李壄)가 간행하였다. 『학천집』 권두에 이돈(李塾)의 서문이 있다. 권1에 오언절구 30수, 칠언절구 51수, 오언율시 185
-
반포유고 / 伴圃遺稿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여항시인(閭巷詩人) 김광익(金光翼)의 시집. 2권 1책. 목활자본. 상권에 오언절구 11수, 칠언절구 12수, 오언율시 20수, 하권에 칠언율시 32수, 오언배율 1수, 오언고시 3수, 연구(聯句) 1수, 습유에 오언절구 5수, 육언절구 3수, 칠언절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