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윤지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9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92)
사전(379)
- 윤지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국조인물지(國朝人物志)』 『서당집(西堂集)』 윤지완(1635-1718) 1635(인조 13)∼1718(숙종 44)...이칭별칭 숙린(叔麟)| 동산(東山)| 충정(忠正)
- 윤지완(尹趾完)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6589 인물 윤지완(尹趾完) 윤지완 尹趾完 1635 1718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숙린(叔麟), 호는 동산(東山). 이조판서 윤강(尹絳)의 아들. 1657년 사마시를 거쳐, 1662년 증...유형분류인물
- 박양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77(숙종 3)∼1746(영조 22).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사룡(士龍), 호는 매옹(梅翁). 아버지는 군수 심((鐔)이며, 어머니는 우의정 윤지완(尹趾完)의 딸이다. 1696년(...이칭별칭 사룡(士龍)| 매옹(梅翁)
- 윤지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27(인조 5)∼1704(숙종 30).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중린(仲麟), 호는 두포(杜浦). 엄(儼)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민현(民獻)이고, 아버지는 이조판서 강(絳)이며, 어머니는 정광성(鄭廣成)...이칭별칭 중린(仲麟)| 두포(杜浦)
- 이삼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56(효종 7)∼?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설월당(雪月堂). 아버지는 익신(翊臣)이다. 1681년(숙종 7) 사은사 이필(李泌)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의 연경(燕京)에 다녀오고, 이듬해 통신사 윤지완(尹趾...이칭별칭 설월당(雪月堂)
단행본(1)
- 조선후기 통신삼사의 국내활동 [조선후기 통신삼사의 국내활동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임선빈 ... | 출판사 : 경인문화사 | 출판일 : 20240530조선후기 통신삼사에 대해 통신사 파견의 추이, 통신삼사의 인물별 개황, 통신사 인물 사례 연구로 나누어 살폈다. 조선후기 통신사 파견의 추이는 본 연구의 배경에 해당한다. 조선후기 통신사행은 선조 40년(1607)에 처음 다녀왔으며, 순조 11년(1811)에 끝났다...
고서·고문서(112)
- 1680년 윤지완(尹趾完) 교서(敎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교령-교서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교서 | 현소장처나주 회진 나주임씨 창계 후손가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511 B006511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13年 12月 26日_012 ○江華留守尹趾完, 承旨李思永, 假注書李東馣, 記事官沈季良·宋相琦入侍。 上曰, 卿器度沈深, 且練事務, 江華乃保障之地, 著實奉職, 可也。 尹趾完曰, 臣才分空疎, 前後歷試, 涓埃未報,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8119 B008119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13年 12月 26日_012 ○江華留守尹趾完, 承旨李思永, 假注書李東馣, 記事官沈季良·宋相琦入侍。 上曰, 卿器度沈深, 且練事務, 江華乃保障之地, 著實奉職, 可也。 尹趾完曰, 臣才分空疎, 前後歷試, 涓埃未報,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거제현(巨濟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8105 B018105 거제현 巨濟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6年 10月 15日_014 ○備邊司郞廳, 以領議政意啓曰, 慶尙監司尹趾完, 以巨濟縣監裵正徽以按律論啓, 臺諫不敢行公啓聞, 罷黜矣。 臺啓所論, 只擧竝發者, 而不及隨參之人, 則邊邑守令, 不當因其引嫌, 輕許遞改,...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거제현(巨濟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8106 B018106 거제현 巨濟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6年 10月 15日_014 ○備邊司郞廳, 以領議政意啓曰, 慶尙監司尹趾完, 以巨濟縣監裵正徽以按律論啓, 臺諫不敢行公啓聞, 罷黜矣。 臺啓所論, 只擧竝發者, 而不及隨參之人, 則邊邑守令, 不當因其引嫌, 輕許遞改,...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윤지완 / 尹趾完 [종교·철학/유학]
1635(인조 13)∼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 엄 증손, 할아버지는 민헌, 아버지는 강, 어머니는 정광성의 딸이다. 좌의정 지선의 아우이다. 1662년(현종 3) 증광 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함경도관찰사, 어영대장, 예조판서, 우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
매옹한록 / 梅翁閑錄 [문학/구비문학]
조선 후기에 박양한(朴亮漢)이 펴낸 야담집. 저자 박양한은 현종 때에 이조판서를 지낸 장원(長遠)의 손자요, 숙종 때에 우의정을 지낸 윤지완(尹趾完)의 외손자로서, 당시 소론파의 명문 출신이었으나, 그의 경력은 별로 화려하지 못한 듯하다. 이 책 속에서 저자는 가끔
-
김상석 / 金相奭 [종교·철학/유학]
탄핵하는 데 앞장섰고, 남구만·최석항·윤지완 등의 종묘배향을 반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