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윤제홍”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5)
사전(16)
- 윤제홍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것을 보면 교우 관계도 넓었을 법한데, 그의 화명(畫名)을 알려 주는 기록은 신위(申緯)가 “청풍수(淸風守) 윤제홍의 산수는 한때의 선(選)이다.”라고 한 것밖에 확인되지 않는다. 그러나 유작 중에는 높은 화격을 보여 주는 작품이 전해지며 특히 지두화(指頭畫)에...이칭별칭 경도(景道)| 학산(鶴山), 찬하(餐霞)
- 輪蹄鬨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H1_D_0133 輪蹄鬨 전쟁 兵鬪, 鬫聲 稼亭 D_13_01_20 대동운부군옥 13권 1장 20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3권 1장 2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유한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申緯)는 『경수당집(警修堂集)』에서 “청풍군수 윤제홍(尹濟弘)의 산수화와 영춘현감 유한지의 전서‧예서가 한때 뛰어났다.”고 하였고, 김정희(金正喜)는 『완당집(阮堂集)』에서 “조윤형(曺允亨)과 유한지는 예서에 조예가 깊었으나 문자기(文字氣)가 적다.”라고 평하였다. ...이칭별칭 덕휘(德輝)| 기원(綺園)
- 김이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화가. [내용] 호는 화은(花隱). 생애와 행적 등이 알려져 있지 않다. 유작으로 1803년(순조 3) 김홍도(金弘道)‧김득신(金得臣)‧이인문(李寅文)‧윤제홍(尹濟弘) 등과 함께 그린 「고산구곡담총도(高山九曲潭...이칭별칭 화은(花隱)
- 서원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한 것이 있어 이들의 시사가 대체로 헌종조에 활발했던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그들은 함께 읊은 시들을 사대부시인인 신위(申緯)‧윤제홍(尹濟弘) 등에게 비평을 받기도 하며, 사대부들과의 교유도 확대하였다. 송석원시사의 맥을 이은 정통시사임을 자처하면서 활동을...이칭별칭칠송정시사
고서·고문서(9)
- 대정현(大靜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洪羲祖爲承旨, 洪羲瑾爲大司諫, 朴升鉉爲執義, 沈鈁爲司諫, 安光直·徐萬修爲掌令, 安孝述·李旭馨爲持平, 李嘉愚爲獻納, 吳致淳·鄭在絅爲正言, 李憲球爲副應敎, 朱樂浩爲淑陵奉事, 尹濟弘爲大靜縣敬差官。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정현(大靜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判尹, 李肇源爲左副賓客, 李玄始爲社稷令, 李羲甲爲軍器提調, 李肇源爲宗廟提調, 沈能岳爲惠民提調, 李文會爲氷庫提調, 訓鍊都監提調單李羲甲, 禁衛提調單李羲甲, 御營提調單李羲甲, 兼掌令尹濟弘, 大靜縣推考敬差官減下, 以李在鶴爲兵曹正郞。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배(島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後於在廷諸臣乎?” 兩司【執義尹羽烈、司諫徐有沂、掌令張錫胤、獻納金孝秀、正言尹濟弘。】 聯疏, 不允。출처전거純祖實錄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배(島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勝之凶心, 擧措頑悖, 背國死黨, 如此凶獰奰慝之類, 亦豈可議到宥釋乎? 至若李東萬之出沒跳踉, 而蹤跡詭祕, 奔走吮䑛, 而心術鄙悖, 以至於悖疏悖通, 排布凶計, 而締結同謀之狀, 渠已承款, 李秀林之半夜淸禁, 做出變怪, 而顯有參涉之跡, 不可以尋常雜犯論, 至如黃基天·尹濟弘·金處巖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배(島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擧措凶頑, 此皆煥之、達淳輩傳神影子。 尙使之生在地上, 眞可謂國無三尺。 量移疏放之典, 豈或議到於此流乎? 至若李東萬之天生怪鬼, 奔走跳踉, 欲售乘機網打之計者, 有萬可殺。 李秀林之夜半禁廬, 釀出變怪, 顯有參涉之跡者, 無一可原。 以至黃基天、尹濟弘、金處巖等諸人, ...출처전거純祖實錄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4)
-
윤제홍 / 尹濟弘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선비화가(1764∼?). 1794년(정조 18) 문과급제 후 대사간에 이르렀다. 산수화에 뛰어났으며 지두화에 능하여 지두화첩들을 남겼다. 정선·심사정·이인상의 화풍을 익혔다. 대표작으로 〈산수인물도〉·〈고사도〉 등이 있다.
-
청풍향교 / 淸風鄕校 [교육/교육]
륜당을 중수하고, 1882년(고종 19) 부사 윤제홍(尹濟弘)이 중수하였다. 이후 1926년·1949년·1954년에 각각 중수하였다.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釋奠)을 봉행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다.
-
계사유타 / 溪社遺唾 [문학/한문학]
5년(영조 31)에 지어 친구인 김시벽(金時璧)에게 준 칠언절구이다. 나지막한 초가에서 곁에 흐르는 시내를 보며 유한(幽閑)을 즐기는데, 짙푸른 그림자를 드리우며 오동나무 위로 비가 뿌린다는 내용이다. 이 책은 서두에 목록이 있고, 그 다음에는 윤제홍(尹濟弘)의 서문이
-
정일당유고 / 靜一堂遺稿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여류문인 정일당 강씨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6년에 간행한 시문집. 1책. 신연활자본. 권두에 윤제홍(尹濟弘)의 초간서문과 김창석(金昌碩)의 중간서문이 있고, 권말에 송치규(宋穉圭)·윤수경(尹守慶)의 초간발문과 김석곤(金晳坤)의 중간발문이 있다. 시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