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윤자덕” 에 대한 검색결과 3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3)

사전(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27(순조 27)∼1890(고종 27). 조선 말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중수(仲樹), 호는 국헌(菊軒). 아버지는 주진(周鎭)의 아들이다. [생애와 활동사항] 1848년(헌종 14) ...
    이칭별칭 중수(仲樹)| 국헌(菊軒)| 문헌(文獻)
  • 영관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특별히 생각하는 마음. 寄惠衣資 認由.款 領有感銘, (), 051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전주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수령의 업무. 第篆朱之撓 不甚爲惱否耶, (), 051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통리내무아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務)에 민태호(閔台鎬)‧()‧김병시(金炳始)‧김유연(金有淵), 협판사무(協辦事務)에 김윤식(金允植), 참의사무(參議事務)에 홍영식(洪英植)‧어윤중(魚允中)‧신기선(申箕善) 등이었다. 그러나 같은해 12월 4일에 통리아문을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統理交涉通...
  • 군무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 중앙과 지방의 군대를 통솔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청. [내용] 1880년(고종 17) 설치 당시에는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에 소속된 12사의 하나였으며, 군무당상(軍務堂上)에는 민겸호(閔謙鎬)와 ()...

고서·고문서(26)

  • 32788 B032788 낙제 絡蹄 경제산업 承政院日記 高宗 15年 2月 30日_016 ○以京畿監司狀啓, 薦新生蛤·絡蹄, 春寒尙峭, 未及産出, 限內不得封進, 惶恐待罪事, 傳曰, 勿待罪事, 回諭。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7801 B017801 거문도 巨文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高宗 24年 7月 19日_018 ○兵批, 判書以下缺。 知事作闕單李玄翼, 知事單, 同知單林龜成, 副司果徐宜相·柳長煥·高大奎, 巨文島鎭水軍僉節制使兼守防將單申錫孝, 巨文島鎭管古今島水軍同僉節制使單李秉喜,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36229 B236229 황해 黃海 바다 承政院日記 高宗 14年 12月 15日_029 ○政院啓曰, 卽伏見諸道今秋冬等褒貶啓本, 則江原監司閔泳緯, 黃海監司李根弼, 咸鏡監司李會正, 守令無一人居中居下, 京畿監司, 平安監司金尙鉉, 慶尙監司朴齊寅, 無一人居下, 殊無嚴明殿...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縣監李承沼, 開寧縣監尹周鎭, 陽德縣監李邦熙, 玉果縣監權應駿, 諫院則雖已署經, 憲府則大司憲徐英淳, 執義牌不進, 掌令金政源·吉履元, 持平崔遇亨·金正奎在外, 執義旣有只推之命, 與大司憲徐英淳, 更爲牌招, 以爲署經之地, 何如? 傳曰, 一司除署經。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李太王實錄資料10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3022572015302257_001 李太王實錄資料10 자료제71호 李太王日省錄 궁내청 공문서관 85332 010 73 1877년 10월 18일(음력) 京畿監司 이, ‘일본의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11. 06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27∼1890). 1848년(헌종 14) 증광문과에 갑과로 급제한 뒤 사헌부대사헌·공조판서·지중추부사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신사유람단이 귀국하여 관제를 재개편할 때 개혁정권의 핵심적 역할을 하였다.

  • 군무사 / 軍務司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중앙과 지방의 군대를 통솔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청. 1880년 설치 당시에는 통리기무아문에 소속된 12사의 하나였으며, 군무당상에는 민겸호와 이 임명되었다. 1882년 11월 통리기무아문이 통리아문과 통리내무아문으로 분화되고, 그 해 12월에 통리아

  • 정순왕후추상존호옥책문 / 貞純王后追上尊號玉冊文 [역사/조선시대사]

    하였다. 옥책문은 이 짓고, 이용원이 책문의 글씨를 썼으며, 조병호가 금보의 전문을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