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윤임” 에 대한 검색결과 44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40)

사전(26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윤원형(尹元衡) 일파는 소위 을사사화를 일으켜 평소 반목하던 대윤 일파를 모두 숙청하였으며, 마침내 은 남해로 귀양가다가 충주에 이르러 사사(賜死)되었다. 후일 대의를 보면 그에 대한 평가는 이이(李珥)는 죄가 없다 하였고, 이황(李滉)은 사직에 대한 죄가...
    이칭별칭 임지(任之)| 충의(忠義)
  • 이성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그 해 명종이 즉위할 때는 대윤인 ()을 탄핵하여 명종을 보위에 오르게 하는 데 공이 컸으므로 위사공신(衛社功臣) 1등에 책록되었다. 시호는 장평(章平)이다.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이칭별칭 장평(章平)
  • 윤춘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14(중종 9)∼1567(명종 22).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언구(彦久), 호는 학음(學音)ㆍ창주(滄洲). 계겸(繼謙)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임(琳)이고, 아버지는 이조참판 안인(安仁)이며, 어머니는...
    이칭별칭 언구(彦久)| 학음(學音), 창주(滄洲)
  • 이덕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和)의 딸이다. 정(挺)에게 입양되었고, ()의 사위이다. [내용] 1543년(중종 38) 진사시에 합격하고, 1544년(중종 39)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정원주서가 되었다. 이어서 인종이 즉위하자 총애를 받아 측근에서 기사관(...
    이칭별칭 계윤(季潤)
  • 이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아버지 윤여필(尹汝弼)의 딸이다. 1545년(명종 즉위년) 인종의 외척 대윤 () 일파와 소윤 윤원형(尹元衡) 일파 사이에 정권쟁탈전이 벌어졌을 때 을 축출하기 위하여 경기감사 김명윤(金明胤)이 밀계를 올리기를 “인종의 병환이 위중하자 은 자...
    이칭별칭 언진봉(彦珍封)|유(瑠)|계림군(桂林君)

고서·고문서(148)

  • 한성부판윤이 임기를 마치고 인사이동을 할 때, 조선 주재 외국 영사들에게 이러한 사실을 알리는 한편, 새롭게 부임하는 한성부판윤이 부임 사실을 알리고, 향후 업무 협조를 청하는 내용의 조회문과 조복문으로 구성
    작성국가중국 | 원소장처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檔案館 | 발신일1901.04.~1901.09.
  • 陪家君至慶州,於州公【濟遠】新樓夜宴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010 詩集 卷一 ITKC_MP_0597A_0010_020_1950 陪家君至慶州,於州公【濟遠】新樓夜宴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
    권차명詩集 卷一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대사헌 허자(許磁)가 왕에게 아뢰기를, “()의 흉악한 모의의 대강은 이미 드러났으나 곡절은 다 드러나지 않았습니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
    1545_254_144 1545년9월 ○대사헌 허자(許磁)가 왕에게 아뢰기를, “()의 흉악한 모의의 대강은 이미 드러났으나 곡절은 다 드러나지 않았습니다 1545년 9월 8일 무진, 흐림. ○대사헌 허자(許磁)가 왕에게 아뢰기를, “()...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몰래 ()을 추종하여 2가지 마음을 품고 넓게 사람들의 뜻을 모아 간사한 모의를 하는 것을 도왔고, 휘(煇)를 문초하고 두 차례의 형신을 했으나 자복하지 않았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
    1545_254_146 1545년9월 ○몰래 ()을 추종하여 2가지 마음을 품고 넓게 사람들의 뜻을 모아 간사한 모의를 하는 것을 도왔고, 휘(煇)를 문초하고 두 차례의 형신을 했으나 자복하지 않았다 1545년 9월 10일 경오, 맑음. ○몰래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의 사위 이덕응(李德應)이 초사(招辭)에서 라숙(羅淑)이 윤원로(尹元老)는 간사하니 제거하는 것이 좋다고 말하고, 곽순(郭珣)이 현명한 군주를 가려서 세운다면 무슨 시비를 가려 정할 것이 있겠는가 라는 등의 말을 했고, 이휘(李煇)가 제게 이야기해서 제가 듣게 되었습니다 라고 하여, 휘가 저물녘에 붙잡혀 옥에 갇혔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
    1545_254_142 1545년9월 ○()의 사위 이덕응(李德應)이 초사(招辭)에서 라숙(羅淑)이 윤원로(尹元老)는 간사하니 제거하는 것이 좋다고 말하고, 곽순(郭珣)이 현명한 군주를 가려서 세운다면 무슨 시비를 가려 정할 것이 있겠는가 라는 등의 말...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구술자료(1)

  • MBC한국민요대전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F-019.jpg jpg F-019A.mp3 F-019B.mp3 mp3 이보형 이 1930 여자
    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윤임

신문·잡지(11)

  • 捆履惠民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문경군 무릉동거 동씨 집신장로 데 작년부터 동리거 빈민 호에  두되식 분급야 금년지 진민데 금츈에  돈구십량을 담당야 이십호 호포젼을 상납지라 관찰 죠기하씨가 부로 보고고 포장을 쳥엿더라
    게재일1902년 5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 본조(本朝) 명신록(名臣錄)의 요약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과 일화를 소개한 글 남치근(南致勤), 서림(徐林), 백인걸(白仁傑), 김식(金湜), 조광조(趙光祖), 인순왕후(仁順王后), (), 윤원형(尹元衡), 민제인(閔齊仁), 김광준(金光準), 송희규(宋希奎), 박광우(朴光佑), 유희춘(柳希春), 이황(李滉), 허자...
    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11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시종원경 리극 李載克으로 홍문관학...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션許璇으로 임고 셩균관박 김동슈 리승룡 손호관에 리린셩李寅性 重 뎡대하丁大夏로 임고 경남관찰부쥬 김경일에 젼우셕全禹錫 임고 츙북관찰부쥬방의직에 신명균申明均임고 구품김한근金漢根으로 진위뎨삼대 군의를 임고 최상진崔相鎭 최익희崔益熙로 혜민院쥬...
    게재일1902년 10월 31일 | 기사분류관보
  • 표지 및 목차 권두사 조성진 1 간행사 현 3 노후화담의 객토에 의한 개...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6
  • 뎡삼품 젼우긔로 륙군참령을 임고 뎡...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를 임고 임원로 경셩뎐보쥬를 임고 리호필로 츙쥬뎐보쥬를 임다 以上三月四日 관리셔쥬 즁 고찬쥬 박창훈 지려 쟝홍 고슌룡에 리희슈 졍곤 리은우 신언쳘 김명호 강신문으로 임고 죠경묘참봉 박하쥰에 김한경으로 임고 경긔뎐참봉 안홍원에 리긔룡으로 임...
    게재일1903년 3월 10일 | 기사분류관보

기타자료(19)

  • 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9848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53면 구;求 제3회 1944-03-20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9012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46면 구;求 제2회 1942년 3월 19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3724 북한 경기 호수돈고등여학교 3-13 호수돈고등여학교 제19회 졸업기념 1939 11면 - 김;金 개성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호수돈고등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金 개성부 지정 325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金 개성부 경정 127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8)

  • / [종교·철학/유학]

    1487(성종 18)∼1545(명종 즉위년). 조선 중기의 무신. 아버지는 윤여필, 장경왕후의 오빠이다. 무과에 급제, 여러 벼슬을 거쳐 경주부윤이 되었다. 1523년(중종 18) 충청도수군절도사로 왜선과 싸우다가 패하여 충군되었다. 형조판서, 찬성을 역임하였다.

  • 조동명문서 / 趙東命文書 [정치·법제]

    배종무관장 조동윤(趙東潤)을 황태자 이은(李垠)의 일본 유학시 배종으로 임명하는 문서. 1907년 11월 19일 순종황제는 조령을 내려 황태자 이은을 일본에 유학시키도록 명하였다. 순종은 당시 이토히로부미(伊藤博文)을 태자태사로 삼았다.

  • 문정왕후 / 文定王后 [종교·철학/유학]

    게 정권을 쥐게 한 결과 인종의 외척인 대윤 일파를 제거하기 위하여 을사사화를 일으켜 윤원로를 해남으로 귀양보내고 등을 사사하였다. 능호는 태릉으로 서울 노원구 공릉동에 있다.

  • 을사사화 / 乙巳士禍 [정치·법제/정치]

    1545년(명종 즉위년) 왕실의 외척인 대윤과 소윤의 반목으로 일어나, 대윤이 소윤으로부터 받은 정치적인 탄압. 윤원형은 및 그 일파인 영의정 유관·유인숙 등과 그 배경을 이루는 사림을 배제하기 위해 정순붕·이기·임백령·허자 등을 심복으로 삼아 계책을 꾸미고,

  • 유성원 / 柳誠源 [종교·철학/유학]

    ?∼1456(세조 2). 조선 전기의 문신. 수 증손, 할아버지는 호, 아버지는 사근, 어머니는 의 딸이다. 1444년(세종 26)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박사, 지평, 직집현전에 임명되었다. 노량진의 민절서원, 홍주의 노운서원, 영월의 창절사 등에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