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윤인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4)
사전(46)
- 윤인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76(성종 7)∼1548(명종 3).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경지(鏡之). 순(惇)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계흥(繼興)이고, 아버지는 부사정 구(昫)이며, 어머니는 유종(柳琮)의 딸이다. [생애...이칭별칭 경지(鏡之)| 효성(孝成)
- 윤인경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중종 때 판서 윤헌의 다섯 번째 막내아들이다. 재질과 문장이뛰어나 뭇사람들의 사랑을 받는다. 16세 때 전염병이 일어나자 친척인 최흥일 참판 집으로 피신하였다가 이씨부인의 딸 최연애에게 반하여 혼인하기를 청하나 청루에 드나든다는 이유로 거절당한다. 그러던 중 우연히 둘...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윤인경(尹仁鏡)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윤인경 윤인경 尹仁鏡 정치·행정가관료/문신 인물 한국 조선 연산군~명종 이현숙 이범직 2011 경지(鏡之) 파성 부원군(坡城府院君) 효성...
- 윤양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글씨를 잘 썼다. 글씨로는 「영상윤인경비(領相尹仁鏡碑)」와 「엄흥도묘갈(嚴興道墓碣)」 등이 있다. 시호는 익헌(翼獻)이다. 『숙종실록(肅宗實錄)』 『경종실록(景宗實錄)』이칭별칭 계형(季亨)| 회와(晦窩)| 익헌(翼獻)|비주서(飛注書)
- 강경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43(세종 25)∼1510(중종 5).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자문(子文), 호는 초당(草堂). 원우(元佑)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중선(中善)이고, 아버지는 순민(舜民)이며, 어머니는 윤인경(尹仁卿)...이칭별칭 자문(子文)| 초당(草堂)|효열(孝烈)
고서·고문서(26)
- 윤인경이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尹寅炅拜。伏拜滿紙情話、雙手奉讀분야문학 | 유형문헌
- 골포(骨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安骨浦, 皆防緊, 軍馬不可抄出事。 其十一, 固城、加背梁, 亦當其要, 勢不可革, 仍舊事。】議得單子入啓。 洪彦弼、尹仁鏡、權橃、金麟孫、丁玉亨、柳仁淑、禹孟善、任權、許磁、申光漢、林百齡、申瑛、安玹、具壽聃議: “加德島 ...출처전거中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다대포(多大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8339 B038339 다대포 多大浦 군사교통 中宗實錄 三十九年(1544) 九月 중종실록_13909012_002 ○政院以備邊司堂上【洪彦弼、尹仁鏡、成世昌、丁玉亨、曺潤孫、尹熙平、禹孟善。】意啓曰: “體察使【李芑】啓本,【“加德島鎭堡城基, 親審監築, 而全革鎭軍及防歇處軍(事)...출처전거中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가덕도(加德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9 B000059 가덕도 加德島 도서 경상남도 中宗實錄 三十九年(1544) 九月 중종실록_13909012_002 ○政院以備邊司堂上【洪彦弼、尹仁鏡、成世昌、丁玉亨、曺潤孫、尹熙平、禹孟善。】意啓曰: “體察使【李芑】啓本,【“加德島鎭堡城基, 親審監築, 而全革鎭軍及防歇處軍(事)...출처전거中宗實錄 | 지역분류경상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가덕도(加德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擧大役(使)〔事〕, 恐民力困疲, 不能支也。 入居事目內逃亡人, 無分一二名竝罷, 今當依事目施行。 但西方有可虞之事, 守令雖有例犯, 姑存之, 以除民弊何如?” 尹仁鏡議: “加德島築城, 事關重大, 其道雖有左、右兵使, 各其本鎭, 防備最緊, 海島 ...출처전거中宗實錄 | 지역분류경상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1)
- 실업교육 효율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윤인경, 게재일 : 200112362 윤인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농업교육학회 2001 실업교육 효율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유형논문 | 게재일2001
기타자료(1)
- 고도산업 사회에 대비한 실업, 가정 교과의 내용 체계 및 운영 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1)-실업, 가정 교과의 성격 정립과 편제 개선을 중심으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김영주, 윤인경, 이용순, 김선태, 박선영, 류길현, 오정인 1988 한국교육개발원 342범주1교육과정 | 형식단행본 | 한글저자장석민, 김영주, 윤인경, 이용순, 김선태, 박선영, 류길현, 오정인
주제어사전(6)
-
윤인경 / 尹仁鏡 [종교·철학/유학]
1476(성종 7)∼1548(명종 3). 조선 중기의 문신. 순의 증손, 할아버지는 계흥, 아버지는 구, 어머니는 유종의 딸이다. 1506년 별시 문과에 정과로 급제해 성균관학록에 선발되었고, 예문관검열이 되었다. 그 뒤 봉교에 이어 다시 성균관전적에 올랐으며, 예조
-
윤지경전 / 尹知敬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한문 필사본. 이 작품은 선조조의 인물 윤지경이 아니라 중종조의 윤인경(尹仁鏡)을 소재로 한 작품으로 보인다. 주인공의 행적이 윤인경의 행적과 일치하는 점이 많을 뿐 아니라 한문필사본 「윤인경전」의 존재가 이를 뒷받침한다
-
윤양래 / 尹陽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73∼1751). 1746년 지중추부사로 있을 때에 유생 60여명과 연명상소로 소론 박문수 등이 탕평론을 벌임에, 신임사화에 관련된 소론들을 뿌리 뽑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가 한때 삭직되었다. 경사에 밝고 글씨를 잘 썼다. 글씨로는〈영상윤인경비〉
-
대전후속록 / 大典後續錄 [역사/조선시대사]
되어 영의정 윤은보(尹殷輔), 좌의정 홍언필(洪彦弼), 우의정 윤인경(尹仁鏡), 좌찬성 유관(柳灌), 공조판서 유인숙(柳仁淑), 호조판서 성세창(成世昌)이 편찬당상(編纂堂上)이 되었다.
-
계사왕복서 / 癸巳往復書 [종교·철학/유학]
있으며, 끝에 편저한 상기의 설명서가 있다.「답윤인경증서(答尹仁卿拯書)」는 저자가 윤증에게 『가례원류』의 완성을 알리고 간행을 협의한 것이다. 「윤여망문거길보선거서(尹汝望文擧吉甫宣擧書)」는 윤문거와 윤선거 형제에게 보낸 것으로, 『가례원류』의 저자에 대한 의견을 반박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