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윤이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
사전(3)
- 일민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에 윤이후(尹爾厚)가 지은 가사. [구성 및 형식] 작자의 친필일기인 『지암일기(支庵日記)』 제3권 1698년(숙종 24) 무인 6월 26일조에 ‘일민가 62구’라는 제목 아래에 적혀 있으며, 그 끝에는 시조 1수도 있다. 본문...
- 김변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94(숙종 20)∼?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경실(景實). 소(素)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승지 구만(龜萬)이고, 아버지는 남식(南栻)이며, 어머니는 윤이厚(尹爾厚)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재지(才智)가...이칭별칭 경실(景實)
- 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들이 지속적으로 창작된다. 강호가사로 고응척(高應陟)의 <도산가 陶山歌>, 박인로의 <사제곡>, 윤이후(尹爾厚)의 <일민가 逸民歌>, 조우인의 <매호별곡 梅湖別曲>이, 연군가사로 조우인의 <자도사 自悼詞>가, 유배가사로 송주석의 <북관곡> 등이 이어졌다. 기행가...
고서·고문서(14)
- 임신년 윤이후(尹爾厚)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1658년 윤이후(尹爾厚) 초사(招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초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초사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下戊六 出納朕命 【梅云:“聽下言納於上,受上言宣於下。” ○蔡云:“敷奏復逆,必使審之,旣允而後入。” ○陳櫟云:“審君命之當否,當者出之,否者納之,如後世批勅審覆之官。”】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860 與猶堂全書補遺○尙書知遠錄 洌水 丁鏞 述 ITKC_MP_0597A_1860_020_0210 下戊六 出納朕命 【梅云:“聽下言納於上,受上言宣於下。” ○蔡云:“敷奏復逆,必使審之,旣允而後入。” ○陳櫟云:“審君命之當否,當者出之,否者納...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尙書知遠錄 洌水 丁鏞 述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남경사신(南京使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3211 B033211 남경사신 南京使臣 인물 全羅道邑誌 海南縣邑誌 海南縣 島嶼 ... 竹島在縣南二十里花山面連陸小島也叢篁羅生其中有民居四五戶故持平尹爾厚江亭在燕島在縣西二十里屹立波頭西面石壁其上平垣距洲數里聚沙成路世傳高麗朝南京使臣渡海時留燕子娥於島臺上期以槎廻更見娥朝暮跂待而竟不...출처전거全羅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건어(乾魚)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露梁兩別將, 旣以不勝任汰去, 則交代差送, 不可少緩。 兵曹開政, 遲速難知, 卽令口傳差出, 何如? 上曰, 依爲之。 出擧條 李曰, 鹽醢乾魚三廛, 爲方今之痼弊, 臣意則莫如罷三廛矣。 上曰, 有節目乎? 曰, 臣從當以節目仰稟矣。 傳曰, 右尹李, 以禮堂備擬, 故頃者特差, 因其...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
- 코리아평론_1988_318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五輪以後の韓半島の国際関係 安秉俊 18 ゴルバチョフ演説と金日成演説 武貞秀士 26 春を迎えたソ連文化界 金鶴秀, 小林美恵 訳 3...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88
주제어사전(2)
-
윤이후 / 尹爾厚 [종교·철학/유학]
1636~1699. 조선후기의 학자. 윤선도의 손자, 윤의미의 둘째 아들이다. 1679년 생원이 되었고 1689년 증광시에 급제, 승문원, 성균관전적, 병조좌랑, 정랑, 선혜청랑, 사간원정원을 역임, 1691년 함평현감을 1년 여 지낸 뒤 고향으로 돌아왔다. 다음해에
-
일민가 / 逸民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에 윤이후(尹爾厚)가 지은 가사. 작자의 친필일기인 『지암일기(支庵日記)』 제3권 1698년(숙종 24) 무인 6월 26일조에 ‘일민가 62구’라는 제목 아래에 적혀 있으며, 그 끝에는 시조 1수도 있다. 본문은 국한문체로 되어 있고, 가다가 소주(小注)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