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윤이명”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
사전(3)
- 조태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며, 어머니는 윤이명(尹以明)의 딸이다. 태구(泰耉)‧태채(泰采)의 종제이다. 최석정(崔錫鼎)의 문인이다. [생애와 활동사항] 1693년(숙종 19) 진사가 되고, 1702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 검열‧지평‧정언 등을 지냈다. 1707...이칭별칭 대년(大年)| 겸재(謙齋), 태록당(胎祿堂)| 문충(文忠)
- 조태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65(현종 6)∼1707(숙종 33)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양주(楊州). 자는 관도(貫道). 존성(存性)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계원(啓遠)이고, 아버지는 이조참의 사석(師錫)이다. 어머니는 윤이명(尹以明)의 딸이다.이칭별칭 관도(貫道)
- 윤계(尹棨)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씨(慶州金氏): 김덕민(金德民)의 딸 (1자)윤이흠(尹以欽) (2자)윤이명(尹以明) 『삼절유고(三節遺稿)』 [총론] [1603년(선조 16)∼1636년(인조 14) = 34세.] 조선 중기 인조 때 활동한 문신. 행직(行職)은...
고서·고문서(22)
- 삼절유고(三節遺稿)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덕진(德津)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9662 B049662 덕진 德津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景宗 3年 10月 2日_002 ○下直, 廣州府尹李明誼, 馬梁僉使李世進, 德津萬戶趙泰億, 長峯萬戶趙震傑, 龍津萬戶邊鎭邦。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國內城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采,箚陳燕行所經沿途民瘼,請兩西被災邑諸般身布,各衙門貸債,限今年停捧,畿內災邑南·北漢賑聽移轉穀,竝許停捧.又言"義州府尹李明彦,疏請移邑於國內城,臣亦往見形便,信是天作之地,可以得力.請令道臣·師臣,更加看審狀聞."上遣史官,諭以箚陳得宜,令廟堂稟處.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경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亨逵讀奏統制使李昌運狀啓, 平安監司洪樂純狀啓, 繕工監草記。 民始讀奏義州府尹李命植狀啓, 秉模讀奏平安監司啓本, 敬養讀奏慶尙左水使柳鎭恒狀啓, 東萊府使林鼎遠狀啓訖。 命書判付。 民始讀奏刑曹回啓及禁府草記訖。 上曰, 長淵, 是兼營將乎? 民始曰, 然矣。 上曰, 黃海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민(島民)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條 尙喆曰, 此平安監司洪樂純狀啓也。 枚擧義州府尹李命植牒呈, 以爲本府民家失火, 延燒爲三十二戶, 從前失火民人處, 有會付耗穀分等題給之例, 今此義州失火民人等, 考例施行事, 請令廟堂稟旨, 分付矣。 失火民人, 分等顧恤, 自是應行之典, 依狀請擧行之意,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멀티미디어(1)
- 광주 충효동요지-분청사기∙백자가마 퇴적층 조사- (부록. 광주 고려시대 도요지 발굴조사 -무등산 금곡요지-)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jpg yy3-0044_1 유물 도 190 분청公명귀얄문발(굽편) 2014-10-09_0.5927851_도 190 분청公명귀얄문발(굽편).jpg yy3-0044_1 유물 도 19 분청丁閏二명인화국문대접 2014-10-09_0.830제목광주 충효동요지-분청사기∙백자가마 퇴적층 조사- (부록. 광주 고려시대 도요지 발굴조사 -무등산 금곡요지-)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주제어사전(2)
-
윤이명 / 尹以明 [종교·철학/유학]
1629년(인조 7)∼1682년(숙종 8). 윤계의 아들이다. 송시열의 문인이다. 1636년(인종 14) 병자호란에 아버지와 형을 모두 잃어 고아가 되었다. 효종 때 왕의 특지로 참봉에 등용되었다. 1660년(현종 1) 군위현감에 이르렀다. 문장에 능했고 전서‧예서에
-
조태억 / 趙泰億 [종교·철학/유학]
1675(숙종 1)∼1728(영조 4). 조선 후기의 문신. 존성 증손, 할아버지는 계원이다. 아버지는 가석, 어머니는 윤이명의 딸이다. 태구·태채의 종제이다. 최석정의 문인이다. 1702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 검열·지평·정언 등을 지냈다. 1707년 문과중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