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윤의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
사전(3)
- 득첩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과거에 급제함. 舍兄見屈 一家缺望 何可言狀 子安兄得捷雖云人事之意外 實是科場之例也 本非怪事 栢悅萬萬, 윤의미(尹義美), 8-61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묵경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먹. 먹을 의인화(擬人化)한 말. 下示墨卿 布衣案上 所儲元. 而散盡於兩科 只遺一笏 故冒愧呈上 倍償之敎 莫非涉於世態耶 伏呵伏呵, 윤의미(尹義美), 8-61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견굴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과거에) 낙방함. 舍兄見屈 一家缺望 何可言狀 子安兄得捷雖云人事之意外 實是科場之例也 本非怪事 栢悅萬萬, 윤의미(尹義美), 8-61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9)
- 1615년 윤의미(尹義美) 화회문기(和會文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상속/증여-분재기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1615년 윤의미(尹義美) 화회문기(和會文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상속/증여-분재기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1673년 윤인미(尹仁美) 남매 분재기(分財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673년(현종 14) 에 윤선도 가 죽은 뒤, 그의 아들, 딸(서자는 제외)들이 모여 재산을 나눠가지면서 작성한 문서이다. 아들은 정자(正字) 라는 벼슬을 하고 있던 윤인미 , 진사 윤의미 , 생원 예미 가 있었고,...내용분류경제-상속‧증여-분재기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1673년 윤인미(尹仁美) 남매 분재기 초본(分財記草本)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문서는 윤선도 가 죽은 후 3년상을 마치고 그 자식 중 서자를 제외한 5남매가 모여 재산을 나누고 작성한 문서의 草本이다. 상속 대상자는 그의 아들 윤인미 , 윤의미 , 윤예미 와 두 사위인 심광면 , 이보만내용분류경제-상속/증여-분재기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속자치통감장편_續資治通鑑長編498 哲宗 元符元年五月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擢之必有議論 恐并以故栖不保 不若默已為佳爾 [㞦故栖 當考 是年八月八日 自鴻臚少卿改太僕] 丙子 布白上 累曾奏以都承旨闕人 亦屢與三省論議未合 昨欲除趙㞦 又以其曾為元祐言官 終恐未安 上曰 三省必不肯 布曰 士人中熟朝廷事 容止詞令可觀 如韓治 亦可用 但以忠彥子 恐亦不免人言 上曰 章惇...국가중국 | 서명속자치통감장편 | 왕대숙종(肅宗) 3
주제어사전(2)
-
윤의미 / 尹義美 [종교·철학/유학]
1612~1636. 윤선도의 둘째 아들이다. 1630년 진사가 되었는데, 25살의 짧은 삶을 살다 갔다.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재예가 뛰어났으며, 천성이 온량하고 효우가 남달랐다. 20살이 되기 전에 문학에 매진하여 윤선도의 총애를 받았다.
-
윤이후 / 尹爾厚 [종교·철학/유학]
1636~1699. 조선후기의 학자. 윤선도의 손자, 윤의미의 둘째 아들이다. 1679년 생원이 되었고 1689년 증광시에 급제, 승문원, 성균관전적, 병조좌랑, 정랑, 선혜청랑, 사간원정원을 역임, 1691년 함평현감을 1년 여 지낸 뒤 고향으로 돌아왔다. 다음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