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윤원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4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39)
사전(267)
- 윤원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大尹), 윤원형 일파를 소윤(小尹)이라 하여 외척간의 세력 다툼이 시작되었다. 이 해 성절사(聖節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듬해 좌부승지‧좌승지‧공조참판이 되었는데, 인종이 즉위하자 정권을 장악하게 된 대윤의 송인수(宋麟壽)의 탄핵으로 삭직되었다...이칭별칭 언평(彦平)
- 尹元衡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4203 尹元衡 인물 分囑, 賓天, 國柄, 附會, 臺諫, 大臣, 大逆, 乙巳反逆之人, 己卯之餘櫱 嘉靖乙巳 我仁廟, 鄭順朋, 李芑, 柳灌, 柳仁淑 本錄補 D_18_02_14 대동운부군옥 18권 2장 14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8권 2장 1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이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545년(명종 즉위년) 예문관봉교로 있으면서 중국에 보내는 자문(咨文)의 글씨를 잘 써서 칭찬을 들었으며, 이어 정언이 되어 윤원형(尹元衡)ㆍ윤춘년(尹春年)과 결탁, 사류를 공격하는 데 가담하였다. 이어 사헌부ㆍ홍문관의 요직을 두루 거쳤으며, 특히...이칭별칭 언신(彦信)
- 윤춘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는 장여관(鄭汝寬)의 딸이다. [내용] 1534년(중종 29) 생원이 되고, 1543년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이후 문한직(文翰職)을 역임하다가 1545년(명종 즉위년) 을사사화가 일어나자 친족인 소윤 윤원형(尹元衡)에게 아부하여 대윤...이칭별칭 언구(彦久)| 학음(學音), 창주(滄洲)
- 이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궁(東宮)에 불이 났는데, 윤원형(尹元衡)이 범인으로 지목되어 여론이 분분하자 임금의 총애가 한쪽으로 치우쳐 일어난 일이라는 소를 올려 윤원형 일파로부터 미움을 받았다. 문장 역시 뛰어나 1541년 동지사(冬至使) 허자(許磁)와 함께 진위사(進慰使)로서 중국에...이칭별칭 중망(仲望)
고서·고문서(69)
- 論(尹元衡)疏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三 疏箚 一 11 論(尹元衡)疏 03_078_010.jpg 論(尹元衡)疏 伏以人君以宗社爲一身, 與萬姓爲一心。 以宗社之安危, 爲己之安危; 以萬姓之憂樂, 爲己之憂樂。 則宗社安而萬姓悅, 感召和氣, 而祈天永命焉。 如或只念一身, 而不計宗社之安危;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十一月。 尹元衡死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八 經筵日記一 51 十一月。 尹元衡死 28_119_011.jpg ○十一月。 尹元衡死。 元衡旣失職, 百姓聚于街路, 罵詈投瓦石, 至有欲射殺者。 元衡潛往交河, 又恐怨家尋逐, 遂潛徙于江陰, 與其妾蘭貞日日含憤對泣。 時元衡前妻金氏之繼母姜氏呈狀于刑曹, 告蘭...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八月 削尹元衡官爵 放歸田里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八 經筵日記一 51 八月 削尹元衡官爵 放歸田里 28_119_006.jpg ○八月 八月: 두주에 “元本, 月數別行. 今用 丁卯以後例加圈”. 외연 및 대규에는 원본과 마찬가지로 월마다 별행으로 하였음.。 削尹元衡官爵, 放歸田里。 元衡, 文定王后之...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덕진(德津)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0006 B050006덕진 德津 군사교통 明宗實錄 十三年(1558) 七月 명종실록_11307007_002 ○領議政尙震、左議政尹漑、【持身端重, 然規模狹隘, 不務徑邦遠大之猷, 而察察於細微之事, 君子譏其無大臣之量也。】右議政尹元衡【性貪險, 威行列邑, 徵索日甚。 家積鬻獄之貨...출처전거明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萊府使。○【史臣曰: “弘渡, 以瑣瑣鄙夫, 患得患失, 以其女, 女于尹元衡之孽男, 自以爲假威之狐, 誰敢我何, 恣行其慾。 頃者厭其星州之凋弊, 托於老母之未將, 欺罔規免, 而及陞授東萊 ...출처전거明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3)
- 본조(本朝) 명신록(名臣錄)의 요약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과 일화를 소개한 글 상진(尙震), 김안로(金安老), 정광필(鄭光弼), 고인주(古麟州), 포주(抱州), 의주(義州), 임권(任權), 이윤경(李潤慶), 이기(李芑), 이준경(李浚慶), 윤원형(尹元衡) 조양보번역문.pdf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10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본조(本朝) 명신록(名臣錄)의 요약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과 일화를 소개한 글 남치근(南致勤), 서림(徐林), 백인걸(白仁傑), 김식(金湜), 조광조(趙光祖), 인순왕후(仁順王后), 윤임(尹任), 윤원형(尹元衡), 민제인(閔齊仁), 김광준(金光準), 송희규(宋希奎), 박광우(朴光佑), 유희춘(柳希春), 이황(李滉), 허자...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11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본조(本朝) 명신록(名臣錄)의 요약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소개한 글 이준경(李浚慶), 이연경(李延慶), 정종영(鄭宗榮), 윤원형(尹元衡), 김안국(金安國), 박순(朴淳), 이탁(李鐸), 이황(李滉), 김계휘(金繼輝), 이이(李珥), 성혼(成渾), 박응남(朴應男), 기대항(奇大恒), 이량(李樑), 이준경(李浚慶), 이후백(...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12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주제어사전(9)
-
윤원형 / 尹元衡 [종교·철학/유학]
?∼1565(명종 20). 조선 중기의 문신. 계겸 증손, 할아버지는 욱, 아버지는 지임, 어머니는 이덕숭의 딸이다. 중종의 계비인 문정왕후의 동생이다. 1533년 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벼슬길에 올랐다. 수찬, 응교, 좌부승지, 공조참판, 예조참의 등을 역임하였
-
김세겸 / 金世謙 [종교·철학/유학]
1593~1646. 조선 중기의 문신. 부친은 김류이다. 생원시와 진사시에 모두 합격하여 참봉에 제수되었다. 1545년(인종 1)에 윤원형을 탄핵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남해로 귀양을 갔다. 아들 김영이 경학으로 천거되어 찰방에 제수되었다.
-
이지번 / 李之蕃 [종교·철학/유학]
?∼1575(선조 8).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치,『토정비결』로 유명한 지함의 형, 산해의 아버지이다. 천문지리에 모두 정통하였다. 인종 때 문음으로 추천되어 장례원사평이 되었으나 당시 윤원형이 국권을 잡아 횡포하므로 벼슬을 버리고 단양의 구담에 집을 짓고 정
-
대방세가언행록 / 帶方世家言行錄 [종교·철학/유학]
윤효손(尹孝孫)은 좌참찬으로서 『경국대전』과 『국조오례의 國朝五禮儀』를 편저할 때 참여하였다. 윤형(尹衡)은 불교배척에 앞장섰으며, 윤강원(尹剛元)은 사간으로서 윤원형(尹元衡)이 세도를 잡아 사림을 탄압하고 국권을 농락하자 이를 탄핵하였고, 윤자신(尹自新)은 임진왜란
-
문정왕후 / 文定王后 [종교·철학/유학]
1501(연산군 7)∼1565(명종 20). 조선 제11대 왕 중종의 계비. 아버지는 영돈녕부사 윤지임, 명종의 어머니이다. 1517년(중종 12) 왕비에 책봉되었으며, 1545년 명종이 12세의 나이로 왕위에 오르자 8년간 수렴청정을 하는 동안 동생인 소윤 윤원형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