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윤안국” 에 대한 검색결과 3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1)

사전(1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69(선조 2)∼1650(효종 1). 조선 중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양주(楊州). 자는 정경(定卿), 호는 설초(雪樵). 아버지는 우수운판관(右水運判官) 응상(應商)이며, 어머니는 전주이씨(全州李氏)로 교하현감(交河縣監) 원...
    이칭별칭 정경(定卿)| 설초(雪樵)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치·행정가문신 인물 한국 조선 선조~인조 윤경수, 이현숙 김구진 2010 정석(廷碩)『방목』 설초(雪樵) 양반 ...
  • 이언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25) 임진왜란 때 왕을 모시고 의주에 가서 사자관(寫字官)에 보직되어 명나라에 발송하는 주요문서를 도맡아 썼으므로 예빈시주부(禮賓寺主簿)로 특채되었다. 1629년(인조 7) 사은사(謝恩使) ()의 수행원으로 아들 상고(尙古)와 함께 명나라에 가던 도...
    이칭별칭 여실(汝實)| 거천(巨川)
  • 박세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19(광해군 11)∼1683(숙종 9).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반남(潘南). 자는 중고(仲固), 호는 단애(湍厓). 할아버지는 동선(東善)이고, 아버지는 이조참판 정(炡)이며, 어머니는 강원도관찰사 ()의 딸...
    이칭별칭 중고(仲固)| 단애(湍厓)
  • 이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14년(광해군 6) 장단부사, 1621년 종부시정(宗簿寺正)을 거쳐 1623년 인조반정 후에 지제교가 되었으며, 1627년(인조 5) 정묘호란 때는 왕을 강화에 호종하였다. 1629년 사은사가 되어 동지사(冬至使) ()과 함께...
    이칭별칭 상중(尙中)| 설정(雪汀), 오계(梧溪)| 충장(忠章)

고서·고문서(17)

  • 15129 B015129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1年 3月 19日_011 ○以李重老爲 江華府尹。 出故監司私家日記所謄朝報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5130 B015130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1年 3月 19日_011 ○以李重老爲江華府尹。 出故監司私家日記所謄朝報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4486 B064486 도중 島中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仁祖 8年 2月 7日_002 ○平安監司書目, 島中譯官告目云, 冬至使, 上年九月十七日洋中渰沒事。 入啓。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人事門3_朝天渰死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朝天渰死 自天啓元年辛酉瀋陽陷, 朝天路絶, 不得已由海進貢, 前後奉使者, 渰死甚多. 朴彜敍、柳澗、鄭應斗、尹昌立漂死, 康昱卒於道中, 惟李必榮、李祗先得歸. 此在辛酉始開海路時也. 其後崇禎二年己巳, 又渰沒洋中; 旣達, 而李忔以明年庚午卒於玉河館.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九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正孫省身號笠巖文科官至吏曺參議曽孫梓號䨇溪官至校理 李凖 字平卿 定宗王子徳泉君厚生六代孫也文科 宣祖己丑以平難㓛封全城君丁内艱居廬本縣壬辰復拜運餉使殫竭心力饋給天兵歴官 光海政亂棄官賦臣韓纘男李爾瞻願與一交皆不許反正 後一赴 召命猶閉門罕與人接 楊州人號雪樵生本縣文科仕 宣祖朝爲蔚山通判時...
    출처전거京畿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1569(선조 2)∼1650(효종 1).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응상, 어머니는 이원우의 딸이다. 박세당은 그의 외손자이다. 1591년 명경과에 급제, 승문원정자, 공조정랑, 예조참의, 울산판관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설초유고』1책이 있다.